위는 불☲이요 아래는 하늘☰이라 이 괘의 이름을 화천대유(火天大有)라 한다.
대유(大有)란 크게 소유한다는 뜻이다.
윗괘의 불은 태양이다. 중천(中天)에 떠있는 태양처럼 기운이 왕성하고 운수가 가장 성대한 때이다.
이 괘의 모양을 보면 여러 남성들의 호위를 받는 여성이다. 그렇다고 하여 이 여성은 더욱 몸가짐을 잘 하여야 한다.
군자는 이 괘상을 본떠 권선징악(勸善懲惡)으로 백성들을 다스린다.
이 괘를 얻은 사람은 지금의 좋은 기회를 놓치지 않게 조심한다. …
작성자쟈스민
작성일 12-02-03 15:38
조회 2562
더보기
|
위는 하늘☰이요 아래는 불☲이라 이 괘를 천화동인(天火同人)이라 한다.
동인9同人)이란 남들과 같이 한다는 뜻이다.
무엇을 하든 혼자서 함이 아니라뜻이 맞는 사람들과 같이 협력한다는 말이다.
괘의 모양을 보면 아래에서 불이 하늘로 향하여 타오르는 모습으로 잘 호응하고 있다.
군자는 이괘를 본떠서 널리 뜻이 맞는 동지를 구한다. 이 괘를 얻은 사람은 서로 협력하고 노력해야 한다.
작성자쟈스민
작성일 12-02-03 15:37
조회 2504
더보기
|
위는 하늘☰ 아래는 땅☷이라 이 괘의 이름이 천지비(天地否)이다.
비(否)는 막힌다는 뜻으로 이 괘는 주역의 4대 난괘에 속하는 아주 나쁜 괘이다.
이 괘상에서 보듯 하늘은 위에서 너무 높고 땅은 아래에서 너무 낮아서 서로 위화감이 심각하다. 또한 음기(陰氣)가 점차 위로 올라가고 양기(陽氣)가 상대적으로 아래로 내려 옴으로 무든 것이 불리하다. 군자는 이 괘상을 본받아 어지러운 세상에서 멀리 사라진다. 즉 자연 속에 은신한다는 뜻이다.
이 괘를 얻은 사람은 절대적으로 은인자중(隱忍…
작성자쟈스민
작성일 12-02-03 15:36
조회 2357
더보기
|
위는 땅☷ 아래는 하늘☰이니 이 괘의 이름이 지천태(地天泰)이다.
태(泰)는 태평하다 통창하다는 뜻으로 모든 일이 잘 풀린다는 의미이다.
위에 있어야 할 하늘이 아래에 있고 아래에 있어야 할 땅이 위에 있어 일핏 보면 거꾸 된 듯하지만, 그러나 주역의 속성이 아래에서 위로 움직이므로 머잖아 하늘이 위로 올라가고 대신 땅은 아래로 내려 옴으로 대단히 조화로운 괘이다.
옛날의 제왕들은 이 괘를 본받아 백성과의 관계에 조화를 잃지 않도록 힘썼다.
이 괘를 얻은 사람은 순풍에 돛을 …
작성자쟈스민
작성일 12-02-03 15:34
조회 3268
더보기
|
위는 하늘☰ 아래는 못☱이라 이 괘를 천택이(天澤履)라 한다.
이(履)는 밟다 실천하다는 의미이다. 실천에는 위험이 따른다. 그래서 ‘범의 꼬리를 밟는 괘’라고도 한다.
그렇지만 자기보다 나은 사람의 말을 따른다면 무난하다.
괘의 모양에서 보듯 유순하고 나약한 못(澤)이 건장한 하늘(天)의 밑에서 순종하므로 아무런 거리낌이 없다.
이 괘를 얻은 사람은 윗 사람의 뜻을 따라서 난국을 타개하도록 해야 한다.
작성자쟈스민
작성일 12-02-03 15:33
조회 1963
더보기
|
위는 바람☴ 아래는 하늘☰이라 이 괘를 풍천소축(風天小畜)이라 한다.
축(畜)이란 모으다 머물게하다는 의미를 가지므로, 소축(小畜)이란 ‘조금 모으거나 머물게 하다’는 뜻이다.
하늘 위에서 바람이 불기 때문에 좀 더 기다려야 한줄기 비가 내릴 것이다.
군자는 이 괘상을 본받아 때를 기다리면서 자기 수양에 힘써야 한다.
이 괘를 얻은 사람은 때를 기다려야 한다. 뭍 남성 사이에 끼인 연약한 하나의 여성인 현재로서는 별 다른 도리가 없다. 멀지 않아 큰 뜻을 이룰 …
작성자쟈스민
작성일 12-02-03 15:31
조회 2526
더보기
|
위는 물☵이요 아래는 땅☷이니 이 괘를 수지비(水地比)라 한다.
비(比)는 가깝다 친근하다는 뜻이다. 물과 땅이 서로 친근하게 지내므로 풍요로운 수확을 기대 할 수 있다. 현명한 제왕들은 물이 땅 속으로 스며들어 친근함을 본받아 아래 사람들과 친근하게 지낸다.
이 괘를 얻은 사람은 화평(和平)한 내일을 기약 할 수 있다. 그러나 호사다마(好事多魔)라 하였으니 인화단결(人和團結)에 더욱 노력하여야 한다.
작성자쟈스민
작성일 12-02-03 15:30
조회 2249
더보기
|
위는 땅☷이요 아래는 물☵이라, 이 괘의 이름을 지수사(地水師)라 한다.
사(師)는 집단이나 군대를 뜻하므로 이 괘는 군대의 지휘자의 덕을 의미한다.
집단의 크고 작음을 막론하고 지휘자라면 언제나 고충은 있게 마련. 그러므로 지휘자와 부하는 혼연일체가 되어 상호 유기적이어야 한다.
물이 비록 땅 밑에 있지만 땅과 물이 서로 떨어져 있다면 땅과 물은 자신의 구실을 제대로 못한다. 땅 밑에 있는 물이 땅위로 스며나와 땅에 물기를 공급했을 때, 비로소 땅에 초목이 돋아나고 자라나는 이치이다.
&…
작성자쟈스민
작성일 12-02-03 15:29
조회 2720
더보기
|
위는 하늘☰ 아래는 물☵이라, 이 괘의 이름을 천수송(天水訟)이라 한다.
송(訟)의 의미는 부정적이다. 즉 재판하다 또는 싸움하다는 뜻이니까.
하늘은 위에 위치하고 물은 아래에 있는데, 이 괘상은 물이 하늘을 밀치는 형국이므로, 그래서 싸우는 것이다.
군자는 이 괘상을 본받아 어떤 일이든 처음부터 신중하게 생각하고 일을 시작하여야 한다. 왜냐면 문제는 미리 예방함이 최선일테니.
이 괘를 얻은 사람은 남과 싸우지 않도록 각별히 조심해야 한다. 비록 자기가 우세한 위치에…
작성자쟈스민
작성일 12-02-03 15:27
조회 2613
더보기
|
위는 물☵이며 아래는 하늘☰이라, 이 괘의 이름을 수천수(水天需)라 한다.
수(需)는 수(須)라 기다림이다.
물이 증기가 되어 하늘로 올라가 구름이 되었지만 아직 비가 되어 땅으로 내릴려면 좀더 기다려야 한다.
즉 아직까지는 기회를 기다려야 한다는 뜻이니, 군자는 이 괘상을 본받아 서두르지 않고 기회를 기다리면서 덕을 길러야 한다.
이 괘를 얻은 사람은 유유자적하면서 때를 기다려야 한다.
작성자쟈스민
작성일 12-02-03 15:26
조회 2142
더보기
|
윗괘는 산이요 아랫괘는 물이라 괘의 이름을 산수몽(山水蒙)이라한다.
몽(蒙)은 어리다 어리석다 어둡다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지금은 비록 어리고 몽매하다 해도 노력 여하에 따라서 발전할 여지는 있다.
군자는 이괘상을 본받아 장래를 바라보고 산처럼 무겁게 덕을 기르고 물처럼 지혜로움을 길러야 한다. 이 괘를 얻은 사람은 앞길이 양양(前途洋洋)하다.
지금은 비록 산골짜기에서 흘러나오는 물처럼 보잘 것 없어도 꾸준히 노력한다면 근원이 긴 강물이 되어 드넓은 바다로 나아갈 것이다…
작성자쟈스민
작성일 12-02-03 15:24
조회 2420
더보기
|
윗괘는 물이요 아랫괘는 우뢰이므로 괘의 이름이 수뢰둔(水雷屯)이다.
물은 험하고 빠질 우려가 있으며 천둥(우뢰)은 움직인다.
그러므로 결코 일이 순조롭지 못하다. 그러므로 군자는 이를 본받아 어지러운 사회를 바로 잡을 계획을 세운다.
이 괘를 얻은 사람은 어려움 속에 있을 지라도 언제나 희망을 가지고 참고 견뎌야 한다.
이 둔(屯)은 막힌다는 뜻이 있어 이른바 주역의 4대난괘(四大難卦)에 속한다. 그러나 더욱 신중하게 난국을 헤쳐간다면 국면을 전환 할 수 있다.
…
작성자쟈스민
작성일 12-02-03 15:23
조회 2432
더보기
|
아래위가 모두 땅이므로 괘의 이름이 곤위지(坤爲地)이다.
곤은 땅이라 온순한 암말에 견준다. 마치 땅이 만물을 포용하고 기르는 것처럼 군자는 덕을 쌓아 천하의 백성들을 포용하여야 한다.
이 괘를 얻은 사람은 암말처럼 온순하게 자신을 지키고 있으면 만사가 순조롭게 이루어 진다.
작성자쟈스민
작성일 12-02-03 15:22
조회 2267
더보기
|
말 그대로 겹쳐진 하늘이며 이 괘의 이름은 건위천(乾爲天)이다.
건은 하늘을 뜻하므로 이 괘는 바로 하늘을 가리킨다.
하늘의 운행은 질서 정연하다.
따라서 군자는하늘의 도를 본받아 질서있는 생활을 영위해야 한다.
이 괘를 얻은 사람은 사실 전성기가 지난 내리막 길에 들어선 사람이다.
왜냐하면 높이 올라간 용에게는 내려 올 일만 남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자신의 행동을 조심하고 경솔한 행위를 삼가야 할 것이다.
작성자쟈스민
작성일 12-02-03 15:20
조회 2219
더보기
|
고대의 귀갑(龜甲)이나 수골(獸骨)에 의한 점(占)은 그것들을 불에 구웠을 때 생긴 금(線)을 판단의 재료로 하여 길흉을 점쳤다. 한편 서죽을 써서 길흉을 점치는 방법이 주대에는 행해졌다. 이러한 점(占)의 말이나 점법의 정신을 해설한 것이 《역경(易經)》이다. 주대의 점서(占書)라고 하는 데서 《주역(周易)》이라고도 호칭한다.
서죽(筮竹)을 조작하여 남은 수가 기수(奇數)일 때는 양(陽) 즉(-), 우수(偶數)일 때는 음(陰) 즉 (--)이라 하여 그것을 세 번 반복하여 괘(卦)의 상(象)을 얻는다. - 이냐 -- 이냐를 결정하…
작성자쟈스민
작성일 12-02-03 13:50
조회 2297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