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십육계 삼십육계 제19계: 적의 기세를 꺽어라, 부저추신
페이지 정보
작성자 칵테일 댓글 0건 조회 3,045회 작성일 10-05-20 05:39
본문
◐ 부저추신(釜底抽薪) ◑ - 병법 삼십육계 (兵法 三十六計)중 제19계
▶ 적의 기세를 꺾어야 한다.
힘으로는 대항할 수 없어도 적의 기세를 꺾을 수는 있다. 즉, 유(柔)하게 하는 것으로 능히 강(剛)함을 이기는 방법으로 적을 굴복시키는 것이다.
'부저추신'이란 솥 밑의 장작을 빼낸다는 뜻으로, "장작을 꺼내 물이 끓는 것을 그치게 하고, 풀을 먼저 베고 그 뿌리를 뽑는다"에서 나온 말이다. 즉, 적의 계략을 근본적으로 부수어 버리라는 뜻이다.
▶ 후한 초에 오한(吳漢)이 대사마였을 때, 한밤중에 적이 진지를 습격해 온 일이 있었다.
그 때 온 부대가 당황하여 우왕좌왕하는데, 오직 오한 만은 태연히 누운 채 꼼짝도 하지 않았다. 군사들은 이러한 태연스런 오한의 태도를 보고 곧 평정을 되찾았다.
뒤이어 오한은 지체없이 정예부대를 가려 뽑아 밤을 이용, 반격을 감행하여 적을 무찔렀다. 이것이 직접 적과 부닥치지 않고 계략으로 적의 기세를 꺾는 방법이다.
▶ 하비태수가 우이의 승인 손견에게 장독목(張獨目)이란 도적의 토벌을 의뢰하자, 손견은 골짜기에서 넓은 들판으로 도적떼를 유인하기 위해 그들이 보는 앞에서 무질서하게 쉬고 있는 것 처럼 보여 그들을 끌어내어 장독목 일당을 토벌함.
▶ 적의 기세를 꺾어야 한다.
힘으로는 대항할 수 없어도 적의 기세를 꺾을 수는 있다. 즉, 유(柔)하게 하는 것으로 능히 강(剛)함을 이기는 방법으로 적을 굴복시키는 것이다.
'부저추신'이란 솥 밑의 장작을 빼낸다는 뜻으로, "장작을 꺼내 물이 끓는 것을 그치게 하고, 풀을 먼저 베고 그 뿌리를 뽑는다"에서 나온 말이다. 즉, 적의 계략을 근본적으로 부수어 버리라는 뜻이다.
▶ 후한 초에 오한(吳漢)이 대사마였을 때, 한밤중에 적이 진지를 습격해 온 일이 있었다.
그 때 온 부대가 당황하여 우왕좌왕하는데, 오직 오한 만은 태연히 누운 채 꼼짝도 하지 않았다. 군사들은 이러한 태연스런 오한의 태도를 보고 곧 평정을 되찾았다.
뒤이어 오한은 지체없이 정예부대를 가려 뽑아 밤을 이용, 반격을 감행하여 적을 무찔렀다. 이것이 직접 적과 부닥치지 않고 계략으로 적의 기세를 꺾는 방법이다.
▶ 하비태수가 우이의 승인 손견에게 장독목(張獨目)이란 도적의 토벌을 의뢰하자, 손견은 골짜기에서 넓은 들판으로 도적떼를 유인하기 위해 그들이 보는 앞에서 무질서하게 쉬고 있는 것 처럼 보여 그들을 끌어내어 장독목 일당을 토벌함.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