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십육계 제12계: 적의 작은실수를 찌른다, 순수견양 > 인생매뉴얼 삶의지침서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인생매뉴얼 삶의지침서


 

삼십육계 삼십육계 제12계: 적의 작은실수를 찌른다, 순수견양

페이지 정보

작성자 칵테일 댓글 0건 조회 2,898회 작성일 10-05-20 05:32

본문

순수견양(順手牽羊) ◑ - 병법 삼십육계 (兵法 三十六計)중 제12계

▶ 작은 이익일지라도 손이 닿기만 하면 챙겨라.

원문에 보면,

"조그마한 틈이라고 생기면 놓치지 말고 이용해야 하고 보잘 것없는 이익이라고 생기면 있는 힘을 다해 손에 넣어라. 적의 조그마한 실수가 아군에게는 승리의 발판이 된다.

대군이 움직일 때는 작은 헛점과 실수가 생기게 마련이다. 이런 기회를 잘 이용하면 전쟁을 치루지 않고도 상대로부터 승리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전법은 승자도 활용할 수 있다."고 적혀있다.

▶ 작은 실수를 찌른다.

'순수견양'은 손에 잡히는 대로 양을 끌고 간다는 뜻인데, 한 가지 일에만 열중하지 말고 널리 눈을 돌려 이용할 수 있는 이익을 모두 이용하라는 말이다. 아무리 작은 이익이라도 무시할 수 없다. 티끌모아 태산이 된다는 말이다.

명심할 만한 충고이지만 이 계략에는 위험이 따른다. 그것은 사소한 이익에 눈이 어두워 본래의 목적에 소홀해지는 수가 있기 때문이다. 이른바 소탐대실(小貪大失)의 어리석음을 경계하는 말이다.

작은 허점이라도 시기적절하게 이용해야 하고, 작은 이익이라도 적극 쟁취할 수 있어야 한다. 이렇게 하면, 적의 작은 손실이 아군의 작은 승리로 탈바꿈할 수 있게 된다. 이것은 풍괘와 정괘의 원리를 응용한 것이다.

▶ 범수가 진소왕에게 다음과 같이 건의했다.

"대왕께서 이웃 나라를 치게 되면 한 치의 땅을 얻오고 대왕의 땅이 되며 한 자의 땅을 얻어도 대왕의 땅이 되는 것입니다. 이것이 유명한 '득촌즉왕지촌이요 득척역왕지척'이라는 계책이다.

손 가까이 있는 것부터 철저히 챙겨 이득을 얻으라는 것이다. 비록 작더라도 이득을 얻을 수만 있다면 소홀히 넘기지 말아야 한다. 장사의 비결 같은 말이지만 싸움에서도 필요 불가결한 자세이다.

▶ 후한(後漢)의 헌제는 역신(동탁)들의 난동 때문에 장안으로 납치되어 연금 상태에 있었다. 그는 학대에 못 이겨 몰래 탈출, 낙양으로 도망가다가 도중에 도적 기마대에게 쫓기게 되었다.

헌제는 수레를 타고 있었는데 수레와 그를 추격하는 기마대와는 속력에 차이가 있었다. 쫓기고 쫓기다가 어느덧 곧 붙잡히게 되었다. 그때 헌제를 시종하던 늙은 신하 동승이 소리를 질렀다.

"갖고 있는 패물이나 돈을 있는 대로 길바닥에 버려라!"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