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근담 남의 나쁜 점을 너무 엄하게 공격하지 말라
페이지 정보
작성자 파슬리 댓글 0건 조회 1,858회 작성일 11-11-08 13:18
본문
攻人之惡 毋太嚴 要思其堪受
공인지악 무태엄 요사기감수
敎人之善 毋過高 當使其可從
교인지선 무과고 당사기가종
공인지악 무태엄 요사기감수
敎人之善 毋過高 當使其可從
교인지선 무과고 당사기가종
남의 나쁜 점을 너무 엄하게 공격하지 말아야 하니, 그가 감당할 수 있는가를 생각해야 한다. 남에게 선(善)을 가르칠 때 너무 높은 것으로 하지 말아야 하니, 그가 실천할 수 있는 것인가 생각해야 한다.
사람을 질책할 때는 너무 지나치지 말아야 하고, 사람을 가르칠 때는 너무 큰 기대를 두지 말아야 한다.
『열자』「양주편」에서는 큰 것과 작은 것에 대해 이렇게 말하고 있다. 양주가 양나라 왕을 만나서 말했다.
“천하를 다스리는 일은 손바닥 안의 물건을 굴리듯이 쉬운 일입니다.” 왕이 말했다. “선생은 처첩들도 제대로 다스리지 못하고, 작은 논밭의 김도 제대로 매지 못하는 주제에 어찌 천하를 다스리는 일이 손바닥 안의 물건을 굴리듯이 쉽다고 할 수 있소?”
양주가 대답했다. “왕께서는 양치는 아이를 본 적이 있습니까? 백여 마리의 양이 무리를 지어도 어린 양치기는 채찍 하나로 몰고 가는데, 이때 동쪽으로 가게하면 동쪽으로 가고 서쪽으로 가게 하면 서쪽으로 갑니다. 그러나 요 임금이 양 한 마리를 이끌거나 순 임금이 회초리를 들고 몬다고 해도 양은 쉽사리 앞으로 나아가지 않을 것입니다. 그리고 저는 또 이런 말을 들은 적이 있습니다. ‘배를 삼킬 만한 커다란 물고기는 지류에서 살지 않고, 고니는 더러운 늪에는 내려서 쉬지 않는다.’ 무엇 때문입니까? 그것은 그들의 지향이 원대하기 때문입니다. 황종(黃鐘)과 대려(大呂) 같은 음률은 다른 사소한 음률과 합주하지 못합니다. 무엇 때문입니까? 그것은 황종과 대려가 너무나 큰 음률이기 때문입니다. 큰 일을 하고자 하는 사람은 자질구레한 일에 신경 쓰지 않을 것이며, 큰 공을 세우고자 하는 사람은 작은 일에 힘쓰지 않을 것입니다.”
사람을 질책할 때는 너무 지나치지 말아야 하고, 사람을 가르칠 때는 너무 큰 기대를 두지 말아야 한다.
『열자』「양주편」에서는 큰 것과 작은 것에 대해 이렇게 말하고 있다. 양주가 양나라 왕을 만나서 말했다.
“천하를 다스리는 일은 손바닥 안의 물건을 굴리듯이 쉬운 일입니다.” 왕이 말했다. “선생은 처첩들도 제대로 다스리지 못하고, 작은 논밭의 김도 제대로 매지 못하는 주제에 어찌 천하를 다스리는 일이 손바닥 안의 물건을 굴리듯이 쉽다고 할 수 있소?”
양주가 대답했다. “왕께서는 양치는 아이를 본 적이 있습니까? 백여 마리의 양이 무리를 지어도 어린 양치기는 채찍 하나로 몰고 가는데, 이때 동쪽으로 가게하면 동쪽으로 가고 서쪽으로 가게 하면 서쪽으로 갑니다. 그러나 요 임금이 양 한 마리를 이끌거나 순 임금이 회초리를 들고 몬다고 해도 양은 쉽사리 앞으로 나아가지 않을 것입니다. 그리고 저는 또 이런 말을 들은 적이 있습니다. ‘배를 삼킬 만한 커다란 물고기는 지류에서 살지 않고, 고니는 더러운 늪에는 내려서 쉬지 않는다.’ 무엇 때문입니까? 그것은 그들의 지향이 원대하기 때문입니다. 황종(黃鐘)과 대려(大呂) 같은 음률은 다른 사소한 음률과 합주하지 못합니다. 무엇 때문입니까? 그것은 황종과 대려가 너무나 큰 음률이기 때문입니다. 큰 일을 하고자 하는 사람은 자질구레한 일에 신경 쓰지 않을 것이며, 큰 공을 세우고자 하는 사람은 작은 일에 힘쓰지 않을 것입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