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근담 자연의 순응에는 능하지만 인위적인 것에는 서툴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파슬리 댓글 0건 조회 1,962회 작성일 11-11-08 13:17
본문
十語九中 未必稱奇 一語不中 則愆尤騈集
십어구중 미필칭기 일어부중 즉건우병집
十謀九成 未必歸功 一謀不成 則?義叢與
십모구성 미필귀공 일모불성 즉자의총여
君子所以寧?毋躁 寧拙毋巧
군자소이녕묵무조 영졸무교
십어구중 미필칭기 일어부중 즉건우병집
十謀九成 未必歸功 一謀不成 則?義叢與
십모구성 미필귀공 일모불성 즉자의총여
君子所以寧?毋躁 寧拙毋巧
군자소이녕묵무조 영졸무교
열 번 말해서 아홉 번을 맞아도 필경 대단하다고 칭찬하지는 않지만, 한 번이라도 어긋나면 탓하는 소리가 사방에서 모여든다. 열 가지 계책에서 아홉 가지가 성공하여도 필경 공로를 돌리려고 하지는 않지만, 하나의 계책만 이루지 못해도 비방(誹謗)하는 소리가 벌 떼같이 일어난다.
이 때문에 군자는 침묵할지언정 떠들지 않으며, 서툴지언정 능란함을 보이지 않는다.
이 때문에 군자는 침묵할지언정 떠들지 않으며, 서툴지언정 능란함을 보이지 않는다.
『장자』「경상초편」에 이런 이야기가 실려 있다. “예(?)는 바늘귀도 맞힐 수 있는 뛰어난 활 솜씨를 가지고 있었지만, 사람들이 자기를 칭찬하지 않게 하는 데는 능숙하지 못했다. 성인은 자연의 순응에는 능하지만 인간의 행위 방식에 적응하는 데는 서툴다.
자연에도 잘 순응하고 세속의 인간관계도 빈틈없이 처리할 수 있는 것은 오직 전인(全人)만이 할 수 있다. 벌레나 곤충들은 그 자신의 본성에 의해서 능히 하늘과 하나가 되지만, ‘전인’이 하늘을 미워하는 것은 인간의 행위로 이루어진 하늘을 미워하는 것이다.
하물며 내 하늘이라 하고 사람의 하늘이라 하는 것이랴? 한 마리 작은 새가 예를 향해 날아오면 예는 반드시 그 새를 떨어뜨리는데, 이는 예가 갖고 있는 위력이다. 넓은 천하를 하나의 큰 새장으로 본다면, 그 안의 새들은 하나도 빠져나가지 못한다.
이 때문에 상나라의 탕왕은 요리사라는 새장을 이용해 이윤(伊尹)을 옆에 두었고, 진나라의 목공은 다섯 자의 양가죽으로 백리해를 차지했으니 좋은 점이 없다면 새장에 갇히지 않게 된다.”
자연에도 잘 순응하고 세속의 인간관계도 빈틈없이 처리할 수 있는 것은 오직 전인(全人)만이 할 수 있다. 벌레나 곤충들은 그 자신의 본성에 의해서 능히 하늘과 하나가 되지만, ‘전인’이 하늘을 미워하는 것은 인간의 행위로 이루어진 하늘을 미워하는 것이다.
하물며 내 하늘이라 하고 사람의 하늘이라 하는 것이랴? 한 마리 작은 새가 예를 향해 날아오면 예는 반드시 그 새를 떨어뜨리는데, 이는 예가 갖고 있는 위력이다. 넓은 천하를 하나의 큰 새장으로 본다면, 그 안의 새들은 하나도 빠져나가지 못한다.
이 때문에 상나라의 탕왕은 요리사라는 새장을 이용해 이윤(伊尹)을 옆에 두었고, 진나라의 목공은 다섯 자의 양가죽으로 백리해를 차지했으니 좋은 점이 없다면 새장에 갇히지 않게 된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