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생매뉴얼 삶의지침서 1 페이지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인생매뉴얼 삶의지침서


 

Total 65건 1 페이지
인생매뉴얼 삶의지침서 목록
위는 불이요 아래는 물이라 이 괘를 화수미제(火水未濟)라 한다.   미제(未濟)란 아직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뜻이다. 괘의 모양을 보면 음효와 양효가 서로 잘 호응하고는 있지만 정당한 위치는 아니다. 즉 아직은 완전하지 못하다는 뜻이다. 그러나 그리 나쁜 괘는 아니다. 아직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것은 잘만하면 멀지 않아 이루어진다는 말도 되니까.   군자는 이 괘상을 본받아 질서를 바로 잡으려 노력한다.   이 괘를 얻은 사람은 때가 올 때까지 무리하지 말고 기다린다. 그냥 기다림이 아니라 때…
작성자쟈스민 작성일 12-02-03 16:40 조회 3811 더보기
위는 물이요 아래는 불이라 이 괘를 수화기제(水火旣濟)라 한다.   기제(旣濟)란 이미 이루어졌다는 뜻이다. 괘의 각 효를 보면 음과 양이 서로 잘 응하고 있어 가장 이상적이다. 이미 일이 이루어졌다는 것은 다른 말로 앞으로는 얼마간의 문제가 있을 수 있다는 의미이니 현재가 좋다고 지나치게 자만하거나 방심해서는 아니된다. 마치 달이 가득 차면 다시 기울어지듯.   군자는 이 괘상을 본받아 내일의 재앙에 대하여 만반의 준비를 한다.   이 괘를 얻은 사람은 지금 한창 왕성한 운세에 놓여 있다.…
작성자sun 작성일 12-02-03 16:39 조회 4767 더보기
위는 우뢰요 아래는 산이라 이 괘를 뇌산소과(雷山小過)라 한다.   소과(小過)란 약간 지나치다는 의미다. 여기서 말하는 작다(小)는 것은 음효(陰爻)를 가리키는데 여기서는 양효(陽爻)보다 음효가 너무 많다. 즉 소인들이 수 가 많아 득세함으로써 군자의 도가 빛을 발하지 못한다.   군자는 이 괘상을 본받아 행동을 조심한다. 남을 대할 때는 지나칠 정도로 겸손해야하며 상(喪 )을 치룸에는 지나칠 정도로 슬퍼해야 한다.   이 괘를 얻은 사람은 소인배들로 말미암아 곤란을 당하고 있다. 동업자…
작성자쟈스민 작성일 12-02-03 16:38 조회 4079 더보기
위는 바람이요 아래는 못이니 이 괘를 풍택중부(風澤中孚)라 한다.   중부(中孚)는 성실(誠實)이란 뜻이다. 괘의 모양을 보면 바람이 못 위에 불어 잔잔한 파도(파문)을 일으킨다. 즉 윗사람의 뜻이 아래 사람들에게 미치는 것이다.부(孚)자는 발톱(爪)과 새끼(子)가 합성 된 글자이다. 즉 새가 발톱 사이에서 새끼를 까는 것을 의미하므로 지극한 사랑과 정성을 나타낸다(남극에 집단 서식하는 펭귄을 보면 이해가 감). 지극한 정성은 어떤 난관도 극복 할 수 있다.   군자는 이 괘상을 본받아 사랑으로 송사(訟…
작성자쟈스민 작성일 12-02-03 16:37 조회 3980 더보기
위는 물이요 아래는 못이라 이 괘를 수택절(水澤節)이라 한다.   절(節)은 절제(節制) 절도(節度)라는 의미이다. 괘의 모양을 보면 못속에 물이 담겨 있다. 물은 밖으로 넘쳐나지도 부족하지도 않으니 절도 있는 못이라 하겠다. 인간생활에 있어서도 최고의 미덕은 중용이다.   군자는 이 괘상을 본받아 절도를 정하고 덕행의 기준을 마련한다.   이 괘를 얻은 사람은 음식을 절제하여 건강을 지켜야 한다. 더욱이 사업을 할 경우 투자 할 시기가 아니다. 그렇지 않으면 자칫 원금마저 잃어버리게 될 …
작성자쟈스민 작성일 12-02-03 16:36 조회 4379 더보기
위는 바람이요 아래는 물이라 이 괘를 풍수환(風水渙)이라 한다.    환(渙)은 속에 있는 것을 밖으로 드러냄을 의미한다. 괘의 모양은 물위에 바람이 부는 모습이다. 물 위에 떠있는 가랑잎들이 이리저리 바람에 밀려나는 모습이 연상되며, 울적한 기분이 상쾌해 질 것 같은 기분이 든다.    군자는 이 괘상을 본받아 하늘에 제사하고 종묘(宗廟)를 세워 백성들의 마음을 한데 모으기에 힘쓴다.   이 괘를 얻은 사람은 새로운 전환기를 맞이했다. 그러나 미지의 세계로 항해함에는 언…
작성자쟈스민 작성일 12-02-03 16:34 조회 4713 더보기
아래위가 모두 못이라 이 괘를 태위택(兌爲澤)이라 한다.   태(兌)는 셋째딸 즉 나이어린 소녀이며 기쁨을 의미한다. 어여쁜 소녀들이 모여서 즐겁게 웃는 형상이다. 소녀들이 대수롭지도 않는 일에도 깔깔대며 웃듯이 자칫 경솔에 빠질 우려가 있으니 조심하고 말을 주의한다.   군자는 이 괘상을 본받아 친구들과 사귀면서 덕을 닦기에 노력한다.   이 괘를 얻은 사람은 말을 조심하여 구설수를 대비한다. 그러나 말과 관계되는 직업을 가진 이는 크게 이로울 수가 있다.  
작성자쟈스민 작성일 12-02-03 16:33 조회 4093 더보기
아래위가 모두 바람이니 이 괘를 손위풍(巽爲風)이라 한다.   바람은 그리 세지는 않고 산들산들 부는 바람이다. 그러므로 바람처럼 마음이 흔들릴 수도 있고 이곳저곳을 떠돌 수도 있으며 남의 말을 무작정 따를 수도 있다.   이것은 결국 겸손함 때문인데, 왜냐하면 바람은 위에서 아래로 부는 겸손한 미덕을 지녔기 때문이다.   군자는 이 괘상을 본 받아 항상 겸손한다.   이 괘를 얻은 사람은 자칫 겸손이 지나쳐 우유부단 할 수도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이 괘는 무역업을 하는 사…
작성자쟈스민 작성일 12-02-03 16:32 조회 4743 더보기
위는 불이요 아래는 산이라 이 괘를 화산여(火山旅)라 한다.   여(旅)는 나그네를 의미한다. 나그네는 고달프다. 요즘도 ‘집 나가면 고생이다’라 하지지 않던가? 괘의 모양을 보면 산위에 높이 타오르는 불이다. 불은 제대로 된 용도로 사용 되었을 때 비로소 불의 효능이 빛난다. 그러나 쓸데없이 산정에서 바람결에 따라 이리저리 옮겨 다니는 불이니 이것은 곧 인간에 비유하면 나그네와 같다.   군자는 이 괘를 본받아 스스로를 경계하면서 신속하고 현명하게 송사(訟事)를 치룬다.   이 괘를 얻은…
작성자쟈스민 작성일 12-02-03 16:31 조회 4132 더보기
위는 우뢰요 아래는 불이라 이 괘를 뇌화풍(雷火豊)이라 한다.   풍(豊)은 넉넉함을 의미한다. 그렇지만 오늘 풍족하다하여 내일도 풍족하다는 보장은 없다. 괘의 모양을 보면 우뢰소리가 힘차게 울리고 햇빛이 찬란하게 빛난다. 그러나 머잖아 우뢰소리도 멈추고 해도 기울 때가 올 것이다. 지금은 비록 전성기를 구가해도 이를 정점으로 오래잖아 내리막길을 맞게 된다는 것이다.   군자는 이 괘를 본받아 우뢰처럼 준엄하고 태양처럼 밝게 송사(訟事)를 다스린다.   이 괘를 얻은 사람은 다음을 대비…
작성자쟈스민 작성일 12-02-03 16:30 조회 4219 더보기
위는 우뢰요 아래는 못이라 이 괘를 뇌택귀매(雷澤歸妹)라 한다.   귀매(歸妹)는 정상적인 절차를 밟지 않고 혼인한 젊은 여자를 말한다. 아래의 태괘(못)는 셋째 딸 또는 젊은 여자를 의미하고 위의 진괘(우뢰)는 큰 아들 또는 나이 많은 남자를 의미하는데, 여자가 오히려 남자에게 접근하고 있으니 상도에 벗어난다. 그리하여 정상적인 혼례절차를 밟지 못하고 혼인하여 살림을 차린 것이다.   군자는 이 괘를 본받아 한 때의 잘못 된 감정이 영원한 부끄러움을 초래함을 알아 선택에 유의해야 한다. &nbs…
작성자쟈스민 작성일 12-02-03 16:28 조회 4090 더보기
위는 바람이요 아래는 산이라 이 괘를 풍산점(風山漸)이라 한다.   점(漸)이란 점차 또는 순서대로 앞으로 나아감을 의미한다. 괘의 모양을 보면 산위에 서 있는 나무(바람)가 눈에 띄지 않는 속도로 천천히 자라는 모습이다. 본문에서는 기러기가 차례로 날아간다고 하였으니 처음에는 물 위에 있다가 바위위로 올라와서 육지로 날아가며, 다음에는 나뭇가지에 앉았다가 산위로 올라가 구름 속으로 사라진다 하였다.   군자는 이 괘를 본받아 어진 덕으로 나라의 풍속을 고쳐 나아가되 점진적으로 고쳐 간다. &…
작성자쟈스민 작성일 12-02-03 16:27 조회 3584 더보기
아래위가 모두 산☶이라 이 괘를 간위산(艮爲山)이라 한다.   산에 산이 겹쳐 있다. 산이란 장중하여 덕을 산으로 표현한다. 그러므로 이 괘의 모양은 중후한 산이 겹쳐져 있으므로 대단히 진중하다.   군자는 이 괘상을 본받아 산처럼 무겁게 덕을 기르고 지조를 지킨다.   이 괘를 얻은 사람은 굳은 신념으로 때를 기다려야 한다. 산은 움직이지 않으므로 수동적이다. 그러므로 어떤 일을 하되 적극적이서도 안된다. 그리고 협조를 해 줄 사람도 없다. 그렇다고 하여 이 괘가 나쁘다는 것은 아니므로,…
작성자쟈스민 작성일 12-02-03 16:26 조회 4782 더보기
아래위가 모두 우뢰☳라 이 괘를 진위뢰(震爲雷)라 한다.   우뢰 소리가 거푸 난다. 우뢰소리는 대단히 크며 사람들로 하여금 두려움에 떨게 한다. 그러나 단지 소리만 웅장하지 그리 피해는 주지 않음이 우뢰다. 다시 말해서 이 괘는 겉만 클 뿐 실제 그리 두려워 할 것이 없다는 뜻이 된다.   군자는 이 괘를 본받아 근신하면서 자신을 뒤돌아본다.   이 괘를 얻은 사람은 크게 놀랄 일이 있어도 피해는 없을 것이다. 그리고 어떤 일을 함에 있어 계획은 거창해도 실속은 없으므로 사전에 면밀한 검…
작성자쟈스민 작성일 12-02-03 16:25 조회 4261 더보기
위는 불☲이요 아래는 바람☴이라 이 괘를 화풍정(火風鼎)이라 한다.   정(鼎)은 세발이 달린 솥을 말한다. 세 발은 안정적임으로 이 괘는 안정 협력 등을 의미한다. 괘의 모양을 보면 나무(바람)에 불이 붙어 있다. 나무와 불은 상생(相生)이므로 모든 일이 순조롭다.   군자는 이 괘를 본받아 질서를 세우고 자신의 임무에 충실한다.   이 괘를 얻은 사람은 동료간에 조화를 잘 이루며, 모든 일에 협력하여 상상을 도모해야 한다.  
작성자쟈스민 작성일 12-02-03 16:24 조회 3698 더보기
위는 못☱이요 아래는 불☲이라 이 괘를 택화혁(澤火革)이라 한다.   혁(革)은 개혁 변혁 혁명 등을 가리킨다. 괘의 모양이 물과 불이 아래 위에서 충돌한다. 서로 상극이 되는 두 물질이 충돌함으로써 여기서 변혁이 생긴다. 여기서 말하는 변혁은 올바른 방향으로의 변혁을 말하니, 어지러운 정치를 바른 정치로 헌것에서 새것으로의 혁신이다.   군자는 이 괘상을 본받아 달력을 정리하여 때를 명확히 함으로써 개혁을 시작한다.   이 괘를 얻은 사람은 일신상이나 주변에 변화가 있을 시점에 서 있다.…
작성자쟈스민 작성일 12-02-03 16:22 조회 3814 더보기
위는 물☵이요 아래는 바람☴이라 이 괘를 수풍정(水風井)이라 한다.   정(井)은 우물이다. 바람은 오행으로 나무이므로 우물 속에 들어 있는 두레박이라는 의미다. 매우 희망적이긴 해도 우물이 우물답기 위해서는 자주 물을 길러내야 하며 아울러 두레박도 자주 수선해 줘야 한다. 더욱이 우물 속의 물은 제대로 쓰기 위해서는 물을 질러내는 수고도 따른다.   군자는 이 괘상을 본받아 널리 백성들을 위로하고 은혜를 베푼다.   이 괘를 얻은 사람은 열심히 노력 하되 타인을 위하는 이타적(利他的)…
작성자쟈스민 작성일 12-02-03 16:21 조회 4450 더보기
위는 못☱이요 아래는 물☵이라 이 괘를 택수곤(澤水困)이라 한다.   곤(困)은 곤란하며 또한 나무가 무엇에 갇혀져 있는 모양이다. 나무는 당연히 탁 터진 곳에서 마음껏 자라나야 한다. 그런데 사방이 에워싸여 그 뜻을 펼 수가 없다. 그러므로 이 괘는 주역의 4대 난괘(難卦)에 속한다.   괘의 모양을 보면 못에 물이 없고 바닥으로 모두 빠져 버린 상태다.   군자는 이 괘상을 본받아 힘들더라도 온 정성을 다하고 지조를 굳건히 한다.   이 괘를 얻은 사람은 아주 힘든 상황에…
작성자쟈스민 작성일 12-02-03 16:20 조회 3557 더보기
위에는 땅☷이요 아래는 바람☴이라 이 괘를 지풍승(地風升)이라 한다.   승(升)은 곧 승(昇)이라 올라간다는 뜻이다. 바람은 오행으로 동방의 나무이다. 나무가 땅 속에서 움이 돋아나 무럭무럭 자라나는 나무를 말한다.   군자는 이 괘상을 본받아 작은 것을 쌓아서 큰 것을 이룬다(積小成大).   이 괘를 얻은 사람은 희망적이다. 그러나 적극적이기에는 아직 시기가 이르다. 출세의 기미가 보이긴 해도 성급하게 굴지 말고 실력양성에 주력해야 한다.  
작성자쟈스민 작성일 12-02-03 16:19 조회 3788 더보기
위에는 못☱이요 아래는 땅☷이라 이 괘를 택지췌(澤地萃)라 한다.   췌(萃)는 모인다 모으다 무성하다의 뜻이다. 땅위에 연못이 있어 물 공급이 원활하므로 초목이 무성하며 인간사회에서는 사람들이 많이 모여든다. 이럴 경우 사람들의 모임으로 인하여 활기를 띠게 되는 이점도 있는 반면 여러 가지 일이 생길 수도 있다.   군자는 이 괘상을 보고 생각지도 않았던 일들을 준비한다(전쟁 등).   이 괘를 얻은 사람은 어떤 사람 또는 어떤 일 경쟁하는 상태에 놓여 있다. 그리고 이 괘는 ‘잉어가 황…
작성자쟈스민 작성일 12-02-03 16:18 조회 4512 더보기
위는 하늘☰이요 아래는 바람☴이라 이 괘를 천풍구(天風姤)라 한다.   구(姤)는 우연히 만나다는 뜻이다. 괘의 모양을 보면 하늘 아래에서 바람이 분다. 여기저기 흩어진 구름을 모아 한 줄기 단비를 내릴 징조이며, 맨 아래 하나의 음효가 위의 다섯 양효를 받치고 있어 음기(陰氣)가 왕성하다.   군자는 이 괘상을 본받아 천하에 법령을 선포한다.   이 괘를 얻은 사람은 주변에서 여러 가지 일을 경험하게 되며, 또한 생각하지도 않았던 재물을 얻기도 한다.   
작성자쟈스민 작성일 12-02-03 16:16 조회 3877 더보기
위는 못☱이요 아래는 하늘☰이라 이 괘를 택천쾌(澤天夬)라 한다.   쾌(夬)는 걸단(決斷)을 뜻한다. 괘의 모양을 보면 맨 위에 음효가 하나 있을 뿐 모두가 양효로 되어 있다. 굳센 양기가 위로 힘차게 올라가 맨 위의 음기를 밀어내는 형국이니 음기로 보면 하극상(下剋上)이며 아래 위가 마찰이 많다. 이럴 때는 윗사람으로서는 어떤 결단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미 세력으로도 안되니 자연히 원만한 타협이 요구된다.   군자는 이 괘상을 본받아 아래 백성들에게 선정을 베풀고 자신의 사리사욕은 버린다. &…
작성자쟈스민 작성일 12-02-03 16:15 조회 4443 더보기
위는 바람☴이요 아래는 우뢰☳라 이 괘를 풍뢰익(風雷益)이라 한다.   익(益)은 이익이며 사사로운 이익보다는 공익(公益)에 가깝다. 괘의 모양을 보면 바람과 우뢰이니 모두가 움직이는 것으로 적극성을 함유한다.   군자는 이괘를 본받아 옳은 일은 지체없이 행하고 잘못이 있으면 바로 고친다.   이 괘를 얻은 사람은 모든 일에 적극적이어야 한다. 특히 공익에 관계되는 일이면 지체할 이유가 없다. 그 결과 하는 일마다 잘 되고 덩달아 사회적인 지위도 높아진다. 그러나 일을 착수함에 계획 없는 …
작성자쟈스민 작성일 12-02-03 16:14 조회 4275 더보기
위는 산☶이요 아래는 못☱이라 이 괘를 산택손(山澤損)이라 한다.   손(損)은 금전적인 손해 보다는 희사(喜捨) 봉사(奉事) 투자(投資) 등과 같은 의미와 상통한다. 다시 말하면 현재는 나의 재물이 손해인 듯하지만 장래에 반드시 이익을 가지고 올 지출을 말한다. 괘의 모양을 보면 높다란 산의 아래에 연못이 있는 형국이라 산은 더욱 높아 보인다. 이는 못의 희생으로 말미암아 산이 더욱 돋보이는 것이다.   군자는 이 괘상을 본받아 보다 원대한 포부를 위해 작은 일에는 관심하지 않는다. …
작성자쟈스민 작성일 12-02-03 16:13 조회 3874 더보기
위는 우뢰☳요 아래는 물☵이라 이 괘를 뢰수해(雷水解)라 한다.   해(解)는 풀린다는 뜻이다. 괘의 모양을 보면 위에서는 우뢰 소리가 나고 아래서는 물이 흐르는 형국이다. 지금까지 얼어붙었던 삼라만상이 봄을 맞은 것이다. 긴 겨울잠에서 깨어나 만물이 소생함이다.   군자는 이 괘상을 본받아 백성들에게 어진 정치를 베푼다.   이 괘를 얻은 사람은 이제야 일을 할 때를 만났다. 지금까지 불운을 떨쳐버리고 새로운 계획을 세워 그 일을 힘차게 시작 할 때이다. 어제까지만 해도 시기와 질투 모략…
작성자쟈스민 작성일 12-02-03 16:11 조회 3750 더보기
게시물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