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짜친구 가짜친구“나이들수록 친구 없어져”…진짜 친구 판별법 14가지 - 조선일보 (chosun.com)
작성자Angel
작성일 22-01-29 00:28
조회 749
더보기
|
일꾼
작성자Angel
작성일 22-01-28 02:14
조회 556
더보기
|
삶은 모험입니다당신이 이룰 업적은당신이 꿈을 꾸는 범위에서 이루어집니다꿈을 꾼다면 이룰것이고실패의 유일한 길은 포기입니다루턴과 봉킴의 대화
작성자Angel
작성일 19-04-03 19:51
조회 1093
더보기
|
중국 저장성의 경제계 인물 중에 왕쥔야오가 한창나이에 죽었는데 그 부인이 한화로 약 380억원의 예금을 가지고 왕쥔야오 운전기사와 재혼을 했다고 한다.
그 운전기사가 말하기를 "전에는 내가 왕 사장님을 위해 일한다고 생각했는데 이제 보니 왕 사장님이 나를 위해 일했던 것이구나"하며 행복해했다는 것이다.
왕쥔야오가 자신의 재물과 아내가 딴 사람의 것이 될 수도 있다는 상상은 꿈에도 해본 적 없을 것이다. 전도서는 이 허무한 삶의 모습을 이렇게 쓰고 있다.
"어떤 사람은 그 지…
작성자Angel
작성일 14-11-26 11:54
조회 3387
더보기
|
왜 걱정하십니까?선생님이 가르쳐 주신 삶의기술! 살면서 어려움이 닥쳐오는 순간 순간마다 주옥같은 내인생의 매뉴얼을 펼쳐본다.이럴때는 이렇게 저럴때는 저렇게 풀어갈수있는 삶의 기술과 생활의 지혜가 담겨있다. 기쁨 슬픔에 너 자신을 넘겨주지 말고 일부러 너 자신을 괴롭히지 마라. 마음의 기쁨은 곧 사람의 생명이며 즐거움은 곧 인간의 장수이다. 긴장을 풀고 마음을…
작성자Angel
작성일 09-08-06 12:10
조회 4303
더보기
|
Life is about creating yourself
작성자basil
작성일 13-05-03 10:24
조회 2910
더보기
|
미술가의 명언집
작성자basil
작성일 13-02-08 12:12
조회 3135
더보기
|
홈데코 격언
작성자basil
작성일 13-02-03 22:51
조회 3083
더보기
|
홈데코 격언 3
작성자basil
작성일 13-01-24 23:22
조회 3167
더보기
|
홈데코 격언 2
작성자basil
작성일 13-01-24 23:21
조회 3343
더보기
|
홈데코 격언 1
작성자basil
작성일 13-01-24 23:20
조회 3281
더보기
|
'정의란 무엇인가'라는 저서로 유명한 마이클 샌델 미국 하버드대 교수가 영국 노동당원들 앞에서 '돈으로 살 수 없는 것들'에 대해 열변을 토했다.
영국 일간 데일리메일에 따르면 올해 '돈으로 살 수 없는 것들'이라는 제목의 신작을 발표하기도 한 샌델 교수는 맨체스터에서 열린 노동당 연례 컨퍼런스에 기조 연설자로 참석해 약 45분 간 연설 겸 세미나를 진행했다.
샌델 교수는 "삶의 더 큰 영역에서 돈을 내고 새치기하는 것이 가능해졌다"고 물질 만능주의를 비판하면서 일례로 "콘서트장, 극장, 스포츠 경…
작성자google
작성일 12-10-01 21:45
조회 3115
더보기
|
배우는 인생 매뉴얼
작성자sun
작성일 12-09-27 19:54
조회 3339
더보기
|
잘 알려지지 않은 돈에 관한 6가지 규칙1. 돈이 당신 인생의 일차적 관심이 돼 버리면 당신이 얻게 되는 것은 돈밖에 없다.
2. 돈이 없는 사람은 가난할지 모른다. 그러나 돈밖에 없는 사람보다 더 가난하지는 않다.
3. 풍요는 당신이 바라는 돈을 많이 얻는 것과 관련이 없다.
풍요는 현재 자신이 가진 것에 얼마나 행복해 하는가에 관련이 있다.
4. 돈을 벌기 위한 새로운 창조적 생각에서 벗어나는 것보다 돈에서 벗어나는 것이 더 좋다.
5. 돈을 많이 쓰다 보면 돈을 많이 쓸 때만 좋은 시간을 보내…
작성자Friday
작성일 10-06-19 14:25
조회 3659
더보기
|
一.부모에게 효도하지 않으면, 돌아가신 후에 뉘우친다.
(不孝父母, 死後悔 불효부모 사후회)
一.가족에게 친절히 하지 않으면, 멀어진 뒤에 뉘우친다.
(不親家族, 疎後悔 불친가족 소후회)
一.젊을 때 부지런히 배우지 않으면, 늙어서 뉘우친다.
(少不勤學, 老後悔 소불근학 노후회)
一.편안할 때 어려움을 생각하지 않으면, 실패한 뒤에 후회한다.
(安不思難,…
작성자파슬리
작성일 10-05-20 05:10
조회 3323
더보기
|
그리우면 그립다고 말을 할 줄 아는 사람이 좋고, 불가능속에서도 한줄기 빛을 보기 위해 애쓰는 사람이 좋다. 다른 사람을 위해 호탕하게 웃길 줄 아는 사람이 좋고, 화려한 옷차림이 아니더라도 편안함을 줄 수 있는 사람이 좋다. 바쁜 가운데에서도 여유를 누릴 줄 아는 사람이 좋고, 어떠한 형편에서도 자기 자신을 지킬 줄 아는 사람이 좋다. 노래를 잘하지 못해도 부를 줄 아는 사람이 좋고, 어린아이와 어른들에게 좋은 말벗이 되어 줄 사람이…
작성자harvard
작성일 11-04-21 11:49
조회 2908
더보기
|
목민심서 (牧民心書) : 조선시대 지방 장관이 지켜야 할 준칙을 서술한 책. 저자인 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이 지방관으로 있던 때의 체험과 1801~1818년 강진(康津)으로 귀양가 있을 때에 보고 들은 여러 가지 사실에 기초하여, 지방 관헌의 윤리적 각성을 도모하고 농민경제의 정상화를 위하여 이 책을 지었다. < 목민심서(牧民心書) (8)번째 글 중에서 >아전을 단속하는 근본은 자기 몸을 다스리는 데 있다. 그 몸이 바르면 명령하지 않아도 행하여질 것이고 그 몸이 바르지 않으면 비록 명령해도 시행되지 않을 것이다. …
작성자뽕킴
작성일 10-06-19 14:45
조회 3247
더보기
|
명심보감 (明心寶鑑) : 고려 충렬왕 때 예문관제학을 지낸 추적이 중국 고전에서 선현들의 금언·명구를 모아 만든 청소년 수신서. < 명심보감 (明心寶鑑) (5)번째 글 중에서 >마음가짐을 안정하여서 사물을 대한다면, 비록 글을 읽지 않았더라도 덕이 있는 군자가 될 수 있다. -명심보감 마음은 편안하게 하더라도 육체는 수고롭게 하지 않을 수 없고, 도를 즐기더라도 마음은 근심하지 않을 수 없다. 육체가 수고롭지 않으면 게을러서 허물어지기 쉽고, 마음이 근심하지 않으면 주색에 빠져서 행동이 일정하지 않다. 그러므로…
작성자뽕킴
작성일 10-06-19 14:43
조회 2982
더보기
|
사마천( 司馬遷, BC 145경~BC 85경 ) : 중국 전한시대(前漢時代) 역사학자. 자는 자장(子長). 태자공(太子公) 또는 태사공(太史公)이라고 높여 부르기도 한다. 아버지 사마 담의 유지로《사기(史記)》저술을 시작했다. 이릉 장군을 변호, 황제의 노여움을 사서 궁형(宮刑, 거세형)을 받았다. 후에 신임을 회복, 중서령이 되었다. 기원전 91년《사기(史記)》130권을 완성하였다. < 사마천( 司馬遷 ) (4)번째 글 중에서 >선인들도 불행을 극복해서 위대한 업적을 남겼거늘, 나도 불구의 몸이지만 비통함을 참으며 채찍…
작성자뽕킴
작성일 10-06-19 14:40
조회 2999
더보기
|
증자( 曾子, BC 506∼BC 437 ) : 중국 춘추시대(春秋時代)의 유학자. 공자 말년의 제자로 공자의 도(道)를 계승하였으며, 그의 가르침은 공자의 손자 자사(子思)를 거쳐 맹자(孟子)에게 전해져 유교사상사상(儒敎思想史上)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증자(曾子)는 공자(孔子), 안자(顔子), 자사(子思), 맹자(孟子)를 비롯한 동양 5성(五聖)의 하나이다.
관리는 지위가 생기면 게으름을 피우게 된다. 병이 조금 낳을 만하면 마음을 놓아 오히려 중하게 되기 쉽다. 증자(曾子)가 한 말. -소학 …
작성자뽕킴
작성일 10-06-19 14:38
조회 3062
더보기
|
고문진보( 古文眞寶 ) : 주(周)나라 때부터 송(宋)나라 때에 이르는 고시(古詩) ·고문(古文)의 주옥편(珠玉篇)을 모아 황견(黃堅)이 편찬한 중국의 시문집(詩文集).
나무를 심을 때에는 마치 자식을 기르듯이 조심조심해야 하지만 한 번 심어 두면 마치 버린 것처럼 그대로 두어야 한다. 이것이 나무를 키우는 비결이다. -고문진보
내가 살아 있다는 것은 단지 자연에 따라서 순종하는 것이고 죽는다는 것은 단지 편안하게 저세상으로 돌아가는 것뿐이다. -고문진보
둔한 자는 오…
작성자뽕킴
작성일 10-06-19 14:37
조회 2978
더보기
|
토크 쇼 사회자 오프라 윈프리의 10가지 처세 원칙1. 남들의 호감을 얻기 위해서만 살지는 말자. 2. 앞으로 나아가기 위해서 외적인 것에 의존하려고 하지 말자. 3. 일과 삶이 최대한 조화를 이루도록 하자. 4. 주변에 험담하는 사람을 멀리하자. 5. 다른 사람들에게 친절하자. 6. 중독된 것을 끊자. 7. 나에 버금가는, 또는 나보다 나은 사람들로 주위를 채우자. 8. 돈 때문에 하는 일이 아니라면 돈 생각은 아예 잊는게 좋다. 9. 나의 권한을 남에게 넘기지 말자. 10. 포기하지 말자.
작성자뽕킴
작성일 10-06-19 14:31
조회 3119
더보기
|
개구리 세 마리가 우유통 속에 빠졌다.첫 번째 개구리는 ‘모든 것은 하느님의 뜻에 달렸다’고 생각하고 아무것도 하지 않다가 빠져 죽었다. 두 번째 개구리는 ‘우유가 너무 깊어서 이 통을 빠져나간다는 것은 도저히 불가능하다’고 생각하면서 역시 아무것도 하지 않다가 빠져죽었다. 그러나 세 번째 개구리는 비관도 낙관도 하지 않고 현실을 잘 판단했다.‘아무래도 일이 단단히 잘못되었군. 어쩌면 좋지?’그렇게 고민하면서 코를 우유 밖으로 내밀고 천천히 뒷다리를 움직이기 시작했다. 그러던 중 딱딱한 무언가가 발에 닿았다. 그래서 뒷다리를 딛고 …
작성자뽕킴
작성일 10-06-19 14:29
조회 2994
더보기
|
< 승자와 패자의 9가지 법칙 >1 승자는 실수했을 때 '내가 잘못했다'고 말하지만 패자는 실수했을 때 '너 때문이야'라고 말한다. 승자의 입에는 솔직함이 가득하고 패자의 입에는 핑계가 가득하다. 승자는 '예'와 '아니오'를 분명히 하지만 패자는 '예'와 '아니오'를 적당히 한다. 승자는 어린아이에게도 사과할 수 있지만 패자는 노인에게도 고개를 못 숙인다. 승자는 넘어지면 일어나 앞을 보고 패자는 넘어지면 뒤를 본다. 2 승자는 패자보다 더 열심히 일하지만 여유가 있고 패자는 승자보다 게으르지만 늘 '바쁘다'고 말한다. …
작성자뽕킴
작성일 10-06-19 14:27
조회 3031
더보기
|
한비자( 韓非子, BC 280?∼BC 233 ) : 중국 전국시대(戰國時代) 말기 사상가 한비(韓非)와 그 문류(門流)의 저서. 한자(韓子)라고 불렸으나, 송(宋)나라 이후 당(唐)나라 한유(韓愈)의 한자와 혼동을 막기 위해 변경되었다. 법의 지상(至上)을 강조한 법가사상(法家思想)의 대표적 고전으로, 한비가 죽은 뒤 BC 2세기말 전한(前漢)시대에 지금의 형태로 정리된 것으로 추정된다. < 한비자( 韓非子 ) (6)번째 글 중에서 >삼류는 자기 능력을 쓰고, 이류는 타인의 힘을 부려 먹고, 일류는 타인의 능력을 써 먹는…
작성자뽕킴
작성일 10-06-19 14:42
조회 3231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