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느 대기업 회장의 은퇴준비
페이지 정보
작성자 verbena 댓글 0건 조회 1,691회 작성일 13-08-23 00:36
본문
우리 사회에 ‘은퇴 생활 문화’ 라는 것이 존재할까?
문화심리학자 김정운 교수는 ‘가장 훌륭한 노후대책은 자기가 좋아하는 것을 발견하고, 그것을 공부하는 일이다’라고 말했다.
필자는 우리 사회 ‘오피니언 리더’들의 은퇴 생활과 은퇴에 대한 생각을 살펴보려고 한다.
LIG 손해보험의 구자준 회장의 이야기이다.
그는 부유한 집에서 태어나 큰 어려움이 없이 생활을 하다가, 1974년 사회에 진출해 방위산업체에서 26년을 보냈다. 그러던 그가 갑자기 제 2의 인생을 시작했다. 공대 출신인 그가 보험업에 뛰어든 것이다. 그는 1999년 적자기업이었던 ‘럭키생명’을 현재의 ‘LIG 손해보험’으로 발전시켰다. 나아가 최근에는 제3의 인생인 은퇴이후의 삶을 위해 준비를 하고 있다.
대기업 오너일가라 하더라도 공대 출신인 그가 생소한 분야인 ‘금융업’에 뛰어들기란 쉽지 않았을 것이다. 무엇보다 대단한 것은 삶의 여유를 즐길 50세 가까운 나이에 새로운 분야를 개척했다는 것이다. 그는 금융업에 뛰어들기 위해 미국 유학을 가서 보험공부를 처음부터 시작했고, 결국 오늘날의 LIG 손해보험을 만들어냈다.
필자는 대기업 총수의 성공스토리를 이야기하려는 것이 아니다. 늦은 나이에 미지의 세계인 금융업에 뛰어든 용기, 가능성만을 보고 만성적자인 회사를 맡은 결단력, 책임감과 도전정신을 이야기하고 싶은 것이다.
구회장은 1999년에 산악인 姑박영석을 만났다. 그리고 2년 후, 구회장은 2001년부터 2012년까지 13번의 해외원정을 직접 이끌며 6명의 대원을 잃었다고 했다. 산악인 姑박영석의 ‘나는 1%의 가능성만 있어도 도전한다’는 말이 도움이 되었다 라고 회고한다. 64세의 나이인 구회장은 금년 11월에 본인과 함께했던 대원들을 추모하기 위해 다시 히말라야를 찾을 계획이라고 한다.
몇 달에 걸쳐 이루어지는 원정생활, 떠날 때는 같이였지만 돌아올 때는 묻고 돌아와야만 했던 대원들의 죽음, 삶과 죽음이 교차하는 그 현장에서 그가 느끼고 얻은 것은 무엇일까?
문화심리학자 김정운 교수는 ‘가장 훌륭한 노후대책은 자기가 좋아하는 것을 발견하고, 그것을 공부하는 일이다’라고 말했다.
필자는 우리 사회 ‘오피니언 리더’들의 은퇴 생활과 은퇴에 대한 생각을 살펴보려고 한다.
LIG 손해보험의 구자준 회장의 이야기이다.
그는 부유한 집에서 태어나 큰 어려움이 없이 생활을 하다가, 1974년 사회에 진출해 방위산업체에서 26년을 보냈다. 그러던 그가 갑자기 제 2의 인생을 시작했다. 공대 출신인 그가 보험업에 뛰어든 것이다. 그는 1999년 적자기업이었던 ‘럭키생명’을 현재의 ‘LIG 손해보험’으로 발전시켰다. 나아가 최근에는 제3의 인생인 은퇴이후의 삶을 위해 준비를 하고 있다.
대기업 오너일가라 하더라도 공대 출신인 그가 생소한 분야인 ‘금융업’에 뛰어들기란 쉽지 않았을 것이다. 무엇보다 대단한 것은 삶의 여유를 즐길 50세 가까운 나이에 새로운 분야를 개척했다는 것이다. 그는 금융업에 뛰어들기 위해 미국 유학을 가서 보험공부를 처음부터 시작했고, 결국 오늘날의 LIG 손해보험을 만들어냈다.
필자는 대기업 총수의 성공스토리를 이야기하려는 것이 아니다. 늦은 나이에 미지의 세계인 금융업에 뛰어든 용기, 가능성만을 보고 만성적자인 회사를 맡은 결단력, 책임감과 도전정신을 이야기하고 싶은 것이다.
구회장은 1999년에 산악인 姑박영석을 만났다. 그리고 2년 후, 구회장은 2001년부터 2012년까지 13번의 해외원정을 직접 이끌며 6명의 대원을 잃었다고 했다. 산악인 姑박영석의 ‘나는 1%의 가능성만 있어도 도전한다’는 말이 도움이 되었다 라고 회고한다. 64세의 나이인 구회장은 금년 11월에 본인과 함께했던 대원들을 추모하기 위해 다시 히말라야를 찾을 계획이라고 한다.
몇 달에 걸쳐 이루어지는 원정생활, 떠날 때는 같이였지만 돌아올 때는 묻고 돌아와야만 했던 대원들의 죽음, 삶과 죽음이 교차하는 그 현장에서 그가 느끼고 얻은 것은 무엇일까?

최근 구자준 회장이 생각하는 은퇴에 대해 들을 기회가 있었다.
그는 행복한 은퇴생활을 위해 네 가지 방안을 제시했다.
첫째, 말콤 그래드웰이 말한 전문가가 되기위한 1만 시간의 법칙을 적용하라. 은퇴 이후 가져야할 8만 시간을 투자한다면, 은퇴 후 누구라도 최소 8가지 분야에서 전문가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둘째, 혼자만의 시간을 가져라. 우리는 항상 누군가에 둘러싸여 생활한다. 구자준 회장은 자신만의 시간을 보낸 사람은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스트레스가 줄고 창의성이 늘어나며, 남에게 화를 덜 낸다’는 말로 그 필요성을 강조했다.
셋째, ‘내 나이가 몆 인데...’라는 말을 하지 말라. 아직도 우리 주위에는 80세, 90세까지 왕성한 활동을 하는 분들을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1927년 출생인 한상철 옹은 구회장이 이끌고 있는 회사에서 아직도 약 3억의 연봉을 받으며 근무하고 있다.
최근 우리사회를 달구고 있는 가왕(歌王) 조용필도 가수활동 뿐만 아니라 사회공헌 사업 등 왕성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그의 나이가 올해 64세이니 참으로 대단한 일이다.
마지막으로, 은퇴생활을 잘하기 위한 세븐업 (7-UP) 스킬을 강조했다. 세븐업 스킬이란 청결한 상태인 클린업(Clean Up), 단정한 상태인 드레스업(Dress Up), 경청을 위한 셧업(Shut Up), 친교를 위한 쇼업(Show Up), 밝고 유쾌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치얼업(Cheer Up), 좋은 인간관계를 위한 페이업(Pay Up), 건강한 정신 상태를 위한 기브업(Give Up)이다.
대기업 총수의 모습으로가 아닌 은퇴자로서의 그의 삶은 어떠할까? 아직 현직에 있어 단언하기는 어렵지만, 그의 모습에서, 그의 목소리에서, 또한 그가 걸어온 길을 보면서 우리나라 은퇴자 사회와 문화에 큰 기여와 역할이 되어주리라 기대해 본다.
[정양범 매일경제 은퇴경제센터장]
그는 행복한 은퇴생활을 위해 네 가지 방안을 제시했다.
첫째, 말콤 그래드웰이 말한 전문가가 되기위한 1만 시간의 법칙을 적용하라. 은퇴 이후 가져야할 8만 시간을 투자한다면, 은퇴 후 누구라도 최소 8가지 분야에서 전문가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둘째, 혼자만의 시간을 가져라. 우리는 항상 누군가에 둘러싸여 생활한다. 구자준 회장은 자신만의 시간을 보낸 사람은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스트레스가 줄고 창의성이 늘어나며, 남에게 화를 덜 낸다’는 말로 그 필요성을 강조했다.
셋째, ‘내 나이가 몆 인데...’라는 말을 하지 말라. 아직도 우리 주위에는 80세, 90세까지 왕성한 활동을 하는 분들을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1927년 출생인 한상철 옹은 구회장이 이끌고 있는 회사에서 아직도 약 3억의 연봉을 받으며 근무하고 있다.
최근 우리사회를 달구고 있는 가왕(歌王) 조용필도 가수활동 뿐만 아니라 사회공헌 사업 등 왕성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그의 나이가 올해 64세이니 참으로 대단한 일이다.
마지막으로, 은퇴생활을 잘하기 위한 세븐업 (7-UP) 스킬을 강조했다. 세븐업 스킬이란 청결한 상태인 클린업(Clean Up), 단정한 상태인 드레스업(Dress Up), 경청을 위한 셧업(Shut Up), 친교를 위한 쇼업(Show Up), 밝고 유쾌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치얼업(Cheer Up), 좋은 인간관계를 위한 페이업(Pay Up), 건강한 정신 상태를 위한 기브업(Give Up)이다.
대기업 총수의 모습으로가 아닌 은퇴자로서의 그의 삶은 어떠할까? 아직 현직에 있어 단언하기는 어렵지만, 그의 모습에서, 그의 목소리에서, 또한 그가 걸어온 길을 보면서 우리나라 은퇴자 사회와 문화에 큰 기여와 역할이 되어주리라 기대해 본다.
[정양범 매일경제 은퇴경제센터장]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