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일반 현황 현재 미국에는 약 80개 정도의 약대가 있음 약사가 되는 길은 의대, 치대처럼 대학원 과정을 마쳐야 함학부과정에서 필수과목 이수 후 약대에 진학해 2년 과정으로 36학점을 이수하면 약사자격 취득미국약학대학협회(American Association of Colleges of Pharmacy)에 따르면 매년 약대 진학률이 증가 추세에 있다고 함 2. 약대 입학을 위한 필수과목 영어(English) : 1년에 2과목 수학(Calculus) : 1-2과목 생물학(Biologica…
작성자장미
작성일 15-06-04 09:14
조회 2114
더보기
|
대학 입학사정 과정에서 핵심적인 요소 가운데 하나가 지원자가 양질의 과외 활동을 펼쳤는지의 여부다. 다시 설명한다면 대학 입학사정에서 사정관이 확인하고자 하는 것은 지원자의 활동 참여에 관한 양이 아니라 질이라는 것이다. 이를테면 지속적으로 참여하여 헌신적이고, 창조적인 과외 활동을 펼치게 되면 그만큼 대학입학에 큰 도움이 된다는 의미다. 예를 들면, 9학년에 입학한 학생이 학교 신문반에 들어가서 맨 처음 기자로 시작해 편집인으로, 그리고 편집장으로 학년이 올라가면서 갈수록 무거운 책임의 자리를 맡게 된다면 이는 곧 질적인…
작성자장미
작성일 15-06-04 09:13
조회 921
더보기
|
미국의 입시제도는 한국의 수능처럼 시험 한 방에 대세가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대학 선정부터 입학원서 작성 및 제출, 성적표와 추천서 메일링, 인터뷰 참가 등 여러가지 요구사항이 정해진 시간 안에 착오없이 진행되어야 합니다.각 대학마다 입시요강이나 제출 마감일이 조금씩 다르기 때문에 실수 없도록 신경을 바짝 써야하는데다, 12학년이 되면서 늘어난 AP 과목 때문에 학교공부에 대한 부담도 훨씬 커지고, SAT 성적이 만족스럽지 못한 경우는 시험도 한 두 번 더 봐야 하니 몸이 두개라도 모자랄 지경이지요. 대학입시를 위해 동분…
작성자장미
작성일 15-06-04 09:13
조회 905
더보기
|
대학 진학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방법은 매우 많다. 예를 들어 친구나, 친척, 가족, 책자, internet 등등. 하지만 역시 마지막 선택은 본인 자신이 해야할 것이다. 그렇다면 과연 어떻게 진학할 대학을 선택할 것인가? 이 질문에 답을 찾는데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마음으로 본인에 맞는 대학을 선택하는 4가지 계단에 대해 이야기하고자 한다.
즉, 첫째계단(나는 누구인가), 둘째 계단:(대학 교육으로부터 원하는 것은 무엇인가), 세째계단:(본인의 가장 중요한 10가지 기준 결정), 네째…
작성자장미
작성일 15-06-04 09:12
조회 1342
더보기
|
미국 대학 입학의 전형에는 특차 전형과 일반 전형이 있다. 특차 전형 제도에는 얼리 디시전(Early Decision)과 얼리 액션(Early Action)이 있다. 특차 전형이든 일반 전형이든 작문 (Essay)과 SAT(또는 ACT)를 포함하는 입학 원서를 제출해야 하는 공통점도 있으나 몇몇 가지 다른 점도 있다.
첫째로, 얼리 디시전(Early Decision)으로 입학하기를 원한다면 보통 12학년 10월 또는 11월까지 입학원서를 제출해야 하며 12월 또는 다음 해 1월까지 학교로부터 당락의 결과를 통…
작성자장미
작성일 15-06-04 09:11
조회 867
더보기
|
▲ 쉬운 과목들을 수강해 올 A를 받는것과 올 A를 받지는 못해도 어려운 과목들(예를 들면 AP 과목들)을 수강하는 것 둘 중에 어떤 것이 좋습니까?물론 어떤 학교에 지원하느냐에 따라 다릅니다. 하지만 들어가기 어려운 학교 일수록 더 많은 어려운 과목들을 성공적으로 마쳤다는것을 보여줘야 합니다.어려운 과목들을 몇 개나 했느냐도 중요하지만 언제, 또 얼마나 꾸준히 했느냐도 중요합니다. GPA를 높이겠다고 시니어 때 쉬운 과목을 하는 것은 축구선수가 1년 동안 쉬는 것과 같습니다. 1년을 쉰 축구 선수가 힘든 경기를 잘 치루어 낼 수 …
작성자장미
작성일 15-06-04 09:11
조회 789
더보기
|
웹사이트에 올라온 2011년 공통지원서 프리뷰를 보면서 매년 조금씩 바뀌는 입학 지원서에 눈길이 갔다. 2010년 지원서에서는 Test란 항목으로 SAT(혹은 ACT), AP 점수를 기입하게 돼있었는데 2011년 지원서에는 Academics로 바뀌었고 내신 성적을 직접 지원자가 기입하게 했는데 ‘가중 점수(weighted)’인지 아닌지를 기입하게 돼있는 게 달랐다. SAT 성적도 최고점(Best Scores)을 시험 본 날짜를 같이 기입하며 적게 돼있다. AP나 IB 성적 기입엔 변화가 없다. 에세이에도 변화가 있는데 20…
작성자장미
작성일 15-06-04 09:10
조회 817
더보기
|
내가 지금 대학 사정관이라고 상상해 보자. 책상 위에는 학생들이 낸 에세이가 산더미 처럼 쌓여 있고, 방금 읽은 팔십 세번째 에세이는 늘 그렇듯이 본인은 열심히 공부하고 사회봉사도 열심히 하는 학생이라는 판에 박은 듯한 이야기를 되풀이하고 있다. 우리의 미션은 무엇인가 좀 색다른 것을 써야 한다는 것이다. 우선, 본인이 누구인지를 확실하게 밝혀야 한다. 본인만의 다른점은 무엇인가? 본인의 일반적인 점수는 아무리 좋아도 절대로 이야기해서는 안된다. 다른 경쟁자들도 좋은 점수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몇 개의 팀 또는 단체에서…
작성자장미
작성일 15-06-04 09:07
조회 806
더보기
|
해커스타운대학 방문교수 홍교수는 호서대학 전자공학과 교수이다. 뉴튼 수도원에서 만나 이런저런 얘기를 나누다가 한국 대학 졸업생들의 취업률이 미미하다는 말을 하며 미국 이곳저곳을 살피고 학생들을위해 취업과 장래에 도움이되는 아이디어를 모색하고있다는 말을 한다. 한국 고교생들의 대학 진학률은 90%가넘고 대학졸업을한 고학력자들을 사회에서 받아줄 직장은 터무니 없이적어 청년 실업문제가 심각하며 학부모의 고민이 날로 심각하단 얘기를한다.인력 수요공급의 발란스가 께어진지 오래된다. 머리로 먹고살 학생과 …
작성자sun
작성일 09-08-29 07:24
조회 1937
더보기
|
룸메이트와 타협하는 법 익혀야, 캠퍼스 스케줄서 시간관리는 필수
사상최악의 대입게임이 숱한 구설수 끝에 거의 마감되는 분위기다. 지금쯤이면 1,2지망 대학 웨이팅리스트에 이름을 올린 학생들도 마음을 정리하고 입학의사를 표시한 대학에 빨리 적응할 수 있는 길을 찾아야 한다. 이제부터는 대학에 들어가서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할 것인지 생각해봐야 할 시기다. 첫 몇 주간은 캠퍼스 이곳 저곳의 위치를 확인하느라 정신이 없을 것이다. 그러나 이 기간이 성공적인 대학 생활을 위한 이모저모를 알아보고 기숙사 친구들과 가까워질 수 있는 가장 적…
작성자신선초
작성일 12-05-25 06:53
조회 1841
더보기
|
김형균 학자금 컨설턴트
한 푼도 안 내고 다닐 수는 없나요? 라고 물어 오시는 많은 부모님을 뵙게 됩니다. 옆집학생은 한 푼도 안 내고 오히려 부모님 용돈까지 주면서 다닌다며 하시는 말입니다. 이런 경우를 좀 더 상세히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경험에 따르면 한 푼도 안 내는 학생은 거의 없습니다. 전에도 수 차례 얘기한 바와 같이 대학 학비는 삼자가 같이 부담을 합니다. 학교와 정부 부모님 그리고 학생이 그 삼자입니다. 학교와 정부는 그 가정의 경제 사정을 감안을 하여서 보조를 하여 주고 부모님 또한 그 가정의 경제 사정에 맞게…
작성자신선초
작성일 12-05-25 06:52
조회 1939
더보기
|
하버드대가 중·저소득층 가정에 대한 학비지원 혜택을 한층 확대, 본인 부담 학비를 면제하는 소득기준을 6만5,000달러로 상향 조정했다.하버드대는 2012~13학년도부터 가구당 연소득 6만5,000달러 이하인 신입생에게 부모 부담금을 전액 면제한다고 발표했다. 이는 지난 2004~05학년도부터 연소득 4만달러 이하 가정에, 이후 2006~07학년도부터는 6만달러 이하인 가정에 적용해 온 혜택 기준을 확대한 것이다. 6만5,001달러부터 15만달러 이하인 소득 계층은 부모의 연소득 수준에 따라 최대 10%까지, 15만~18만달러 소득…
작성자신선초
작성일 12-05-25 06:30
조회 1968
더보기
|
매년 대학진학을 앞두고 자녀들이 가장 바빠지는 시기가 대입 원서작성 시즌이다. 무엇보다 자녀들이 진학에 성공하려면 자신들의 실력에 적합한 대학들을 잘 선정해야 하고 실질적으로 적성을 고려하여 전공하고자 하는 길도 잘 선택해 나가야 하므로 많은 스트레스를 받게 된다.하지만 학부모들은 진학준비뿐만이 아니라 대학진학 때 반드시 고려해야 하는 학자금 부담으로 인해 그 어느 때보다 더욱 심적 부담이 가중되는 시기이기도 하다. 많은 가정에서는 매년 대입원서 작성에 따른 학비보조 신청과 관련해 몇 가지 묻는 질문사항을 소홀히 답변하여 합격 후에…
작성자신선초
작성일 12-05-25 06:15
조회 1889
더보기
|
적성검사를 하는 데는 몇 가지 이유가 있는데 그중에서 가장 중요한 이유는 학생의 "교육목표를 명확하게 설정"하는 것이라 하겠다. 목표가 설정되어져 있을 때 그 목표를 가장 분명하게 달성하도록 만든다는 사실은 수많은 과학연구를 통하여 입증된 바 있다. 우리가 인생에서 목표가 불분명하면 방향(direction)을 상실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교육에서도 뚜렷한 목적과 방향을 가지고 앞으로 나아가는 학생들과 목표가 불분명한 학생들이 자신의 궁극적인 삶의 목표를 달성하는데는 엄청난 차이가 나고 있음을 분명하게 보여주고 있다. (하버드 경영대학원…
작성자세이지
작성일 11-08-12 23:18
조회 2698
더보기
|
Realistic (현실형)
Engineering, Computer Technology, Computer & IS, Biological Science, Management, Marketing, Political Science, Psychology . . . etc.
Investigative (연구형)
Biological Science, Engineering, Mathematics, History, Health & Medical Science, Computer Technology, Ps…
작성자세이지
작성일 11-08-12 23:16
조회 2038
더보기
|
Roberts-2 Social/Interpersonal Cognitive Test는 6살에서 18살 사이의 아동 및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며, 일상생활속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인간관계를 개인이 어떻게 받아드리고 처리하는지를 분석하는 투사법(projective) 검사이다. 개인의 사회행동기능, 대인관계기능, 그리고 자의식 및 정서기능 등을 분석하는 테스트로 아래 다섯가지 기능을 테스트 하여서 각 기능별로 Strengths와 Weaknesses를 분석하여 "Above Expected Range" "Expected Range" "Below …
작성자세이지
작성일 11-08-12 23:15
조회 2440
더보기
|
A majority of young people are struggling to make the leap into adulthood, and educators, parents, and communities should make a more concerted effort to help rudderless youths find a clear direction and overarching sense of purpose, according to a new book. In The Path to Purpose: Helping Our Child…
작성자세이지
작성일 11-08-12 23:13
조회 1922
더보기
|
문:제 아들 조세프가 대학 1학년을 못 마친 채 휴학을 내고 집에 머물고 있습니다. 집에 와서는 아무것도 하지 않고 하루종일 집안에서 초조한 듯 왔다갔다만 합니다. 여러가지로 걱정이 돼 조용히 이유를 물어보았더니 대학교에서 상담을 받았는데 심각한 우울증이라고 진단이 나와 항우울제를 복용하고 있다고 합니다. 엄마로서 제가 신경을 조금만 쓰거나 물어보기만 해도 귀찮아 하고 짜증을 냅니다. 우리 아들이 왜 학교공부 조차 할 수 없을 정도로 심한 우울증에 걸리게 되었는지 이해가 가질 않습니다. 애가 유치원에 다닐 때부터 애 아버지는 “맞아…
작성자베이질
작성일 11-07-24 11:33
조회 2140
더보기
|
Q : 대학교 1학년을 마친 저의 아들은 성격이 유순해서 별 반항없이 시키는대로 잘 따라왔었어요. 타주의 좋은대학에 컴퓨터 전공으로 입학해 저희 부부를 흐뭇하게했지요. 1학년이 끝난 후 처음으로 성적표를 보았는데 낙제를 했습니다. 매 주일 전화를 했을때, 항상 시험공부를 한다고해서 용돈도 넉넉하게 보내주었어요.학교당국에서는 주니어 칼리지에가서 1년동안 성적을 올리고 난 후에 재입학을 검토하겠다고 합니다. 철석같이 믿었던 아들한테 배신을 당한것같아요. 지금은 집에와 있느데 밤에는 늦게들어오고 대낮이 되어야 일어납니다. 저렇게해서 다시…
작성자베이질
작성일 11-07-24 11:27
조회 1963
더보기
|
제 딸은 대학교 2학년때 약혼하고 3학년때 결혼을 했습니다. 12학년때부터 사귀어온 첫 남자친구와 결혼했어요. 대학졸업하고 결혼하라는 양쪽집안의 강력한 반대를 무릅쓰고 아무런 경제적 준비가 안된 상태에서 자기네끼리 약혼식을 했어요. 그 후 딸아이가 임신한 사실이 드러나 울며 겨자식으로 결혼식을 올렸더니 예상대로 너무나 힘든 결혼생활의 연속입니다. 딸 아이는 시어머니가 모든면에서 간섭이 너무 심하고 남편은 항상 시어머니편만 든다고 이혼하겠다고 합니다.따님의 결혼은 처음부터 많은 위험 부담을 안고 시작되었습니다. 아직 나이가 어려서 '…
작성자베이질
작성일 11-07-24 11:21
조회 2020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