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 우울증
페이지 정보
작성자 ewha 댓글 0건 조회 990회 작성일 11-07-22 11:13
본문
문: 카운티에서 관여하는 클리닉에서 치료를 하면서 자녀를 데리고 치료를 받으러 오는 한인 부모님을 종종 본적이 있습니까?
답: 거의 드뭅니다. 한인 가정의 경우 정말 심각한 상황에 이르지 않으면 치료를 받으러 오시는 경우가 거의 없습니다. 자녀와 함께 오시는 경우는 대부분 증상이 심각해져서 자녀가 살아갈 의욕을 잃고 자살을 시도하거나, 가족간의 관계가 심하게 틀어져 어려운 고통을 겪고 있을때에 마지막 시도로 찾아오시는 경우가 많습니다.
문: 한인 사회의 학령층 환자들은 주로 어떤 증세가 있습니까?
답: 우울증, ADHD (과잉 행동 장애), 각종 강박증, 불안 공포증, 조울증 등이 있습니다. 주류 사회와 마찬가지로 그중에 가장 많은 학생들이 우울증과 ADHD를 경험하고 있습니다.
답: 거의 드뭅니다. 한인 가정의 경우 정말 심각한 상황에 이르지 않으면 치료를 받으러 오시는 경우가 거의 없습니다. 자녀와 함께 오시는 경우는 대부분 증상이 심각해져서 자녀가 살아갈 의욕을 잃고 자살을 시도하거나, 가족간의 관계가 심하게 틀어져 어려운 고통을 겪고 있을때에 마지막 시도로 찾아오시는 경우가 많습니다.
문: 한인 사회의 학령층 환자들은 주로 어떤 증세가 있습니까?
답: 우울증, ADHD (과잉 행동 장애), 각종 강박증, 불안 공포증, 조울증 등이 있습니다. 주류 사회와 마찬가지로 그중에 가장 많은 학생들이 우울증과 ADHD를 경험하고 있습니다.
문: 학생들의 우울증은 어떻게 나타납니까?
답: 대체적으로는 12살 전까지는 우울증이 피로함, 의욕 상실, 학교 숙제를 제때 제대로 못하는 등의 학업장애를 보이고, 공포증, 분리 불안장애 (separation anxiety), 수면문제나 행동 장애 문제로 나타날수 있습니다.
12세 이후에는 대개 공격적인 모습을 보이거나, 과다 수면이나, 몸이 자주 아프다든지, 자신을 사회적으로 고립시킨다든지, 가족과의 대화를 단절한다든지, 자해를 하는 등의 모습이 나타 납니다. 한인 사회의 예의 범절을 중시하는 특성상 대부분의 우울증을 경험하는 한인 자녀들은 공격적인 모습보다는 부모님과의 대화를 끊고 서로 이해하기를 포기하는 경우를 많이 봅니다.
문: 우울증의 가장 심각한 증상은 어떤 것 입니까?
답: 우울증은 많은 경우 적시에 발견하여 치료하지 않으면 삶의 이유와 목적을 잃게 되어 자살 기도로 연결이 될 때가 많습니다. 현재 미국내 약 10명의 미성년자중 한명 꼴로 자살을 시도 하고 있다고 밝혀져 있습니다.
문: 그러면 어떻게 하면 자녀가 우울증을 가지고 있는지 알수 있습니까?
답: 우울증등의 정신적인 문제는 상담소나 전문의를 만나 정확한 감별진단을 받지 않으면 단정 지을수 없습니다. 하지만 자녀의 생활속의 여러가지를 주의 깊게 관찰하면 어느정도 도움이 될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일단 자녀의 행동에 갑작스러운 변화가 있거나 공격적이고, 쉽게 흥분하고 분노하면 우울증의 초기 증세일수도 있습니다.
위험스러운 행동을 하거나, 수면과 영양 섭취에 갑작스러운 변화가 있을수도 있습니다. 자신감이 없이 행동하고 친구나 가족에게 거리를 두며 전에 즐겨하던 활동을 갑자기 멈출수가 있습니다. 자신이 평소에 아끼던 물건을 남에게 줘버리거나 예전에 있던 맺혔던 문제들을 갑자기 쉽게 쉽게 해소해버리는 경우는 우울증으로 인한 자살기도 직전의 행동일수 있다고 밝혀져 있습니다. 그리고, 환경적인 변화를 관찰하자면 가정에 이혼이나 사망, 파산 등의 심각한 충격이 있으면 우울증이 생길 가능성이 높아 집니다.
문: 어떻게 하면 자녀의 우울증을 미연에 방지 할수 있습니까?
답: 한인 부모님들은 자녀에게 사랑의 표현으로 학구적인 목표를 성취할수 있도록 인도하고 채찍질하는데 그치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한 2세 자녀와의 언어의 벽을 극복하지 못하고 자녀의 성장기 사이에 멀어지는 상황이 많이 발생하는데 이렇게 되면 정신적인 문제 발생시 가족으로서 도움을 주기 벅찬 경우가 많습니다.
적어도 자녀의 생활 습관, 수면 습관, 평상시의 집중도 등을 잘 관찰하고 계신 부모님들은 민감한 변화에 기민하게 대처할수 있습니다. 그리고 자영업 등으로 많은 시간을 가족의 경제적인 번영을 위해 노력하는 부모님들이 가장 어려워하시는 것은 자녀가 어릴때 부터 가능한 한 많은 시간을 함께 보내고 서로 이해하려고 노력하는 것입니다.
한인 사회에서 자주 보이는 것은 자녀가 우울증등 정신적인 어려움을 겪더라도 많은 경우 학업에 성공해서 명문대로 진학하는 경우가 많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집을 떠나 대학으로 진학했을때 학부 과정중이에 정신적인 어려움을 겪게 되어 대학과정을 수료하지 못하는것을 자주 관찰하게 됩니다. 대학을 정상적으로 마치지 못하거나 사회에 적응하는데 어려움을 겪는것은 대부분 그 원인이 훨씬 오래전의 성장기와 사춘기부터 있었다고 볼수 있습니다.
답: 대체적으로는 12살 전까지는 우울증이 피로함, 의욕 상실, 학교 숙제를 제때 제대로 못하는 등의 학업장애를 보이고, 공포증, 분리 불안장애 (separation anxiety), 수면문제나 행동 장애 문제로 나타날수 있습니다.
12세 이후에는 대개 공격적인 모습을 보이거나, 과다 수면이나, 몸이 자주 아프다든지, 자신을 사회적으로 고립시킨다든지, 가족과의 대화를 단절한다든지, 자해를 하는 등의 모습이 나타 납니다. 한인 사회의 예의 범절을 중시하는 특성상 대부분의 우울증을 경험하는 한인 자녀들은 공격적인 모습보다는 부모님과의 대화를 끊고 서로 이해하기를 포기하는 경우를 많이 봅니다.
문: 우울증의 가장 심각한 증상은 어떤 것 입니까?
답: 우울증은 많은 경우 적시에 발견하여 치료하지 않으면 삶의 이유와 목적을 잃게 되어 자살 기도로 연결이 될 때가 많습니다. 현재 미국내 약 10명의 미성년자중 한명 꼴로 자살을 시도 하고 있다고 밝혀져 있습니다.
문: 그러면 어떻게 하면 자녀가 우울증을 가지고 있는지 알수 있습니까?
답: 우울증등의 정신적인 문제는 상담소나 전문의를 만나 정확한 감별진단을 받지 않으면 단정 지을수 없습니다. 하지만 자녀의 생활속의 여러가지를 주의 깊게 관찰하면 어느정도 도움이 될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일단 자녀의 행동에 갑작스러운 변화가 있거나 공격적이고, 쉽게 흥분하고 분노하면 우울증의 초기 증세일수도 있습니다.
위험스러운 행동을 하거나, 수면과 영양 섭취에 갑작스러운 변화가 있을수도 있습니다. 자신감이 없이 행동하고 친구나 가족에게 거리를 두며 전에 즐겨하던 활동을 갑자기 멈출수가 있습니다. 자신이 평소에 아끼던 물건을 남에게 줘버리거나 예전에 있던 맺혔던 문제들을 갑자기 쉽게 쉽게 해소해버리는 경우는 우울증으로 인한 자살기도 직전의 행동일수 있다고 밝혀져 있습니다. 그리고, 환경적인 변화를 관찰하자면 가정에 이혼이나 사망, 파산 등의 심각한 충격이 있으면 우울증이 생길 가능성이 높아 집니다.
문: 어떻게 하면 자녀의 우울증을 미연에 방지 할수 있습니까?
답: 한인 부모님들은 자녀에게 사랑의 표현으로 학구적인 목표를 성취할수 있도록 인도하고 채찍질하는데 그치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한 2세 자녀와의 언어의 벽을 극복하지 못하고 자녀의 성장기 사이에 멀어지는 상황이 많이 발생하는데 이렇게 되면 정신적인 문제 발생시 가족으로서 도움을 주기 벅찬 경우가 많습니다.
적어도 자녀의 생활 습관, 수면 습관, 평상시의 집중도 등을 잘 관찰하고 계신 부모님들은 민감한 변화에 기민하게 대처할수 있습니다. 그리고 자영업 등으로 많은 시간을 가족의 경제적인 번영을 위해 노력하는 부모님들이 가장 어려워하시는 것은 자녀가 어릴때 부터 가능한 한 많은 시간을 함께 보내고 서로 이해하려고 노력하는 것입니다.
한인 사회에서 자주 보이는 것은 자녀가 우울증등 정신적인 어려움을 겪더라도 많은 경우 학업에 성공해서 명문대로 진학하는 경우가 많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집을 떠나 대학으로 진학했을때 학부 과정중이에 정신적인 어려움을 겪게 되어 대학과정을 수료하지 못하는것을 자주 관찰하게 됩니다. 대학을 정상적으로 마치지 못하거나 사회에 적응하는데 어려움을 겪는것은 대부분 그 원인이 훨씬 오래전의 성장기와 사춘기부터 있었다고 볼수 있습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