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소수인종 우대' 폐지했더니.. 역시 白人에게 유리 > 청소년 고민코치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청소년 고민코치


 

美, '소수인종 우대' 폐지했더니.. 역시 白人에게 유리

페이지 정보

작성자 장미 댓글 0건 조회 1,399회 작성일 15-06-03 23:22

본문

최근 미국 대법원이 소수 인종 우대 정책(Affirmative Action) 폐지가 합헌(合憲)이라고 판결하면서 많은 교육 전문가가 '백인 득세'를 우려했는데, 실제로 그렇다는 결과가 나왔다.

연방법원이 2009년 시카고 교육청의 '의무적 인종융화제도'를 금지한 뒤 이 지역 최상위권 4개 공립학교에서 지난 4년간 백인 학생 수는 급격히 늘고 흑인 학생 수는 줄어드는 결과가 나왔다고 시카고 선-타임스가 28일 보도했다. 의무적 인종융화제도는 소수 인종 우대 정책의 하나로 꼽힌다.

이 지역에서 학생들을 직접 선발하는 대표적인 고교 가운데 하나인 '월터 페이튼 칼리지 프렙'은 2008년 백인 학생이 29%였는데, 소수 인종 우대 정책 폐지 후인 2013년에는 45% 이상이 됐다. 반면 2008년 37%나 되던 흑인 학생은 17%로 줄었다. 히스패닉계 비율은 같은 기간 22%에서 25%로 조금 늘었고, 아시아계는 12.2%에서 11.4%로 큰 변화가 없었다.


또 다른 대입 준비고인 '휘트니 영 칼리지 프렙'도 비슷하다. 2008년 당시 흑인 학생들이 38%로 가장 많았는데, 작년에는 25%로 줄었다. 대신 26%였던 백인 학생은 32%로 늘었다.

남쪽 지역에 있는 존스 칼리지 프렙도 2009년 29%였던 백인 학생 수가 2013년에는 38%로 늘었다. 노스사이드 칼리지 프렙도 백인 학생들의 지원이 부쩍 늘었다고 신문은 보도했다.

결국 소수 인종 우대 정책 폐지가 '흑인 소외' '백인 증가'로 이어질 것이란 우려가 확인된 셈이다. '책임 있는 교육을 위한 학부모 연합'의 줄리 우스토프 사무총장은 "2009년 인종 쿼터제가 폐지될 때부터 이런 일을 예상했다"며 "엘리트 학교들이 이제 또다시 선택받은 (백인 부유층) 학생들이 모이는 관문이 됐다"고 말했다. 미 대법원은 미시간주가 인종간 역차별을 초래한다며 소수 인종 우대 정책을 폐지한 조치에 대해 지난 22일 합헌 결정을 내렸다.


조선일보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