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로서 한두 번 정도 겪어보는 것. 아이들의 거짓말이다. 예를 들면 낮은 점수가 나온 성적표를 부모가 보지 못하도록 감추거나 아직 성적표가 안나왔다고 거짓말을 하는 것... 한두 번 그러다 말겠지.... 세 살버릇이 여든까지 간다던데...부모의 반응은 가지 각색이다. 만 4, 5세가 채 되지 않은 아이들은 현실과 환상을 구별하는 능력이 부족하다. 우유병을 엎지른 만 2세 아이에게 누가 그랬냐고 물으면 "아빠가...", "토끼가..."라고 대답하는 경우, 이것을 거짓말이라고 할 수는 없다. 학령 전기의 아동들은 흑백 논리를 가지고 …
작성자princeton
작성일 10-08-04 22:42
조회 1580
더보기
|
** 먼저 판단하지 마세요
→ 자녀 스스로가 문제를 해결해 가는 과정을 지켜만 보세요
** 미리 비판하지 마세요
→ 자녀의 의견과 이야기를 충분히 들은 후 의견을 말하세요
** 먼저 열받지 마세요
→ 부모가 감정적인 되면 아이도 감정적으로 대응해요
**미리 준비하지 마세요
→ 그냥 놓아두면 아이들은 부모가 깜짝 놀랄 정도로 멋지게 문제를 풀어요
** 먼저 물어보지 마세요
→ 자녀가 이야기하러 오도록 기다려 주세요
** 미리 걱정하지 마세요
→ 자녀는 부모가 믿어줄 때 새로 맡겨진 책임을 잘 해내요 …
작성자princeton
작성일 10-08-04 22:41
조회 1331
더보기
|
자녀를 어떻게 키우느냐 하는 것은 미래를 결정하는 중요한 일이기에 그 어떤 것보다 앞서야 한다. 그런데 당장 눈앞에 효과가 나타나지 않는다고 하여 소홀히 하는 일이 많다. 결국 멀지 않은 장래에 변해버린 자식의 현실을 보고 후회하지만 그 때는 이미 늦을 수밖에 없다.
사람다운 사람으로 기르는 것의 출발은 대화이다. 물론 가장 중요한 대화 상대는 엄마이고 아빠이다. 그런데 우리의 현실은 암담하다. 맞벌이 부부가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니 바쁘다는 이유로 교감하는 시간이 줄어들고 있다. 더군다나 사랑이 넘쳐야 하는 부모 자식의 관계가 책…
작성자princeton
작성일 10-08-04 22:40
조회 1369
더보기
|
틴에이저가 되기 전인 10대 초반은 돈의 개념과 가치를 교육시킬 수 있는 가장 이상적인 연령대다.
♠용돈은 정기적으로 준다
자녀에게 아직 용돈을 주고 있지 않다면 지금이 시작할 수 있는 좋은 시기다.
적절한 액수를 정하기 위해선 영화, 스낵, 비디오 대여, CD 등 자녀가 자신의 용돈으로 스스로 지불해야할 항목을 먼저 정한다. 자녀는 새로 나온 CD를 사기 위해선 몇 주 동안 영화 관람을 포기해야 한다는 사실을 자연스럽게 터득하게 된다.
♠긴급 용돈 지원요청은 사절한다
자녀가 지출에 관해 보다 많은 재량권을 갖게 …
작성자princeton
작성일 10-08-04 22:33
조회 1524
더보기
|
참 이상한 일이다. 다른 아이는 웃으면서 너그럽게 잘 가르치는데, 내 아이와 마주앉으면 숨소리부터 달라진다. 급기야 손까지 올라가고…. 아이에게 화를 내고 돌아서면 후회하는 마음으로 괴로와진다.
내 아이 가르치려면 왜 화부터 날까?
▶ 아이가 못하면 부모가 못나 보여서
나를 닮은 내 아이에 대한 기대는 누구나 큰 법이다. 어렸을 때부터 아이에게 잔뜩 기대를 걸고 키웠는데, 객관적으로 상대 비교하는 실력평가에서 아이가 못한다고 생각하면 마치 자신의 능력이 떨어지는 것 같은 느낌이 들기 때문에 화부터 나는 것이다.
▶ 비교 …
작성자princeton
작성일 10-08-04 22:27
조회 1597
더보기
|
글쓰기 실력을 높이는 데 일기 쓰기만 한 게 없다고 한다. 특히 논술 대비를 어찌해야 할지 몰라 우왕좌왕하는 현실에서 일기 쓰기는 논술 준비의 첫걸음으로 더욱 대접받게 됐다. 하지만 아이들에게 일기 쓰기는 지루한 숙제거리가 돼 버리는 게 보통. "쓸 거 없다"며 버티는 아이에게 반강제로 일기장을 쥐여주지만, 성의 없이 끼적거리는 일기 몇 줄이 무슨 도움이 되랴 싶기도 하다. 글 솜씨도 키우고, 사고력도 키우는 효과적인 일기 쓰기 지도법을 알아본다.
#생각이 먼저
'생각 없는 일기, 백날 써봐야 소용없다'의 저자 양혜선(고차적…
작성자princeton
작성일 10-08-04 22:25
조회 1204
더보기
|
어렸을때 특정분야에 영재성이 나타나는 경우 부모님들은 많은 기대를 갖는 동시에 교육방법에 대하여 걱정을 하게 됩니다. 특히 초등학교 이전의 어린이들은 영재성을 판별하는 테스트나 교육 방법이 상당히 제한되기 때문에 여러가지 어려움이 있습니다.
현실적으로 학교나 교육기관의 도움을 받기 힘든 상황이므로 부모님의 역할이 결정적이라고 볼수 있습니다. 특히 어린 시기에는 지적욕구를 만족 시킬수있는 놀이나 학습이 아주 중요합니다. 부모님들은 훌륭한 자격을 갖춘 선생님이므로 자신있게 자녀들을 교육시키기 바랍니다.
읽어주기: 책을 읽어주는 …
작성자princeton
작성일 10-08-04 22:17
조회 1375
더보기
|
■ 타임아웃
타임아웃은 아이를 제한된 시간 동안 혼자 있게 하는 것. 이런 시간을 통해 아이는 흥분이나 화를 가라앉힐 수 있고 혼자서 자신의 잘못을 되돌아볼 수 있는 기회를 가진다. 타임아웃 방법은 “5분 동안 이 방에서 혼자 생각할 시간을 가질 거야. 5분 후에도 아직 네가 무엇을 잘못했는지 모르겠으면 5분 동안 더 생각해봐.”와 같은 규칙을 정해 아이를 일정 장소에 고립시키면 된다.
이때 장소는 무섭거나 어두운 곳이어서는 안 되고 단지 아무것도 할 게 없는 심심하고 재미 없는 장소가 좋다. 시간은 나이 한 살당 1~2분이 …
작성자princeton
작성일 10-08-04 22:07
조회 1232
더보기
|
■ 금지의 표현보다는 부드럽게 권유한다
자신이 가장 좋아하는 엄마가 다른 사람들이 보는 앞에서 자신에게 화를 내면 아이는 잘못을 생각해보기도 전에 불쾌감부터 느낀다. 따라서 공공장소에서 아이를 꾸짖을 때에는 명령조나 금지의 표현보다는 “∼하자, 이렇게 해보면 어떻겠니” 등으로 부드럽게 권유하는 편이 훨씬 효과적.
■ 공공장소에서의 예절을 미리 일러준다
사람들이 많은 레스토랑이나 차 안에서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지를 평소에 주의 깊게 알려줘야 한다. 잘못한 후에 꾸짖는 것보다 한 사람의 인격체로 대우해서 미리 설명하고 약속을 받아…
작성자princeton
작성일 10-08-04 22:06
조회 1393
더보기
|
연세대학교 소아정신과 신의진 교수는 자신의 책 『아이의 인생은 초등학교에 달려 있다』(중앙M&B)를 통해 “아이가 정말 공부를 잘 하기를 원한다면, 행복하게 커 나가기를 바란다면 가르치는 방식부터 바꿔야 한다”고 말하고 있다. 부모들이 자녀 교육에서 저지르기 쉬운 ‘실책’, 이것을 피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행복한 자녀로 키우기 위한 특급 조언.
1.잘 하는 과목부터 시작하라
공부는 ‘잘 하는 과목’부터 시켜야 한다. 이렇게 하면 아이에게 ‘나도 잘 하는 과목이 하나쯤은 있구나’하는 자신감을 심어줄 수 있다. 또, 한 과목을 …
작성자princeton
작성일 10-08-04 22:05
조회 1151
더보기
|
아이에게 가장 마음이 편안한 장소는 가정이다. 그러나 때로는 그 가정이 스트레스의 원인인 경우도 있다. 가정에서 일어나는 스트레스 요인과 대책을 도쿄 클리닉 이자와 준 박사에게 들어본다.
―. 아이가 가정에서 받는 스트레스 요인에는 어떤 것이 있습니까.
부모가 맞벌이를 할 경우 부모와 함께 있을 수 없는 쓸쓸함, 부모 정신상태 불안정 등이 강하게 영향을 미치는 등,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역시 가장 가까운 부모와 관계에서 생기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것은 반드시 부모가 나쁘다는 것이 아닙니다. 함께 생활 하기 때문에 문제가…
작성자princeton
작성일 10-08-04 22:01
조회 1148
더보기
|
교육학 박사 다이안 히콕스로부터 아이의 성적을 올릴 수 있는 방법에 대해 배워보자. 현재 대학에서 교육학을 가르치고 있는 다이안 히콕스는 수십 년 동안 학생들을 가르치면서 학생의 성적이 나쁠 때는 본인 이외에 부모와 교사에게도 책임이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아이가 높은 성적을 올리기 위해서는 학교와 가정이 유기적으로 협력해야 하며 이때 부모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는 것이다.
★성적에 대해 과한 칭찬과 질책을 삼간다
성적에 관한 부모의 과도한 반응은 아이에게 좋은 성적을 받으면 부모가 자신을 사랑하고 성적이 나쁘면 미워할 …
작성자princeton
작성일 10-08-04 18:55
조회 1148
더보기
|
부모로서 자녀들에게 바라는 것 중에 하나는 중 고등학교 때, 아니 그 이전에 올바른 학습 습관을 세우는 일입니다. 일이나 숙제를 좀 미리 미리 알아서 시작하고 여유 있게, 그리고 제 시간에 숙제나 공부를 좀 해 주기를 늘 바랍니다. 또 공부만 하는 범생이 아니고 다른 활동 들도 활발히 하고 친구 관계도 원만하고 활발한 그런 아이를 기대합니다. 아이들이 기대와는 반대로 숙제를 마지막 순간까지 미루고 있다가 마감일 전 날에 밤새워 하느라 허둥대는 것을 볼 때, 숙제는 제대로 안 하고 노느라 정신 못 차리는 아이들을 볼 때 우리는 종종 …
작성자princeton
작성일 10-08-04 18:32
조회 1345
더보기
|
스쿨 포비아란 증상이 있는 아이들이 있는데 학교 가는것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이 신체적으로 영향을 주는 경우다. 일반적으로 복통과 두통을 호소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심하면 토하거나 설사, 어지러움, 또는 식욕을 잃는 증상까지 야기하기도 한다. 특히 학교가는 아침에 이러한 증상이 심하며 다른 때에는 일반적인 아이들과 마찬가지로 건강하고 잘 노는 것이 특징이다. 스쿨 포비아는 초등학교 학생들의 5-7% 와 중학교 학생들의 2-4% 가 경험하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학교가 새로 시작하는 9월이나 10월에 가장 많은 증상이 보고되고 있다.
…
작성자princeton
작성일 10-08-04 18:30
조회 1229
더보기
|
아동들의 Homework과 학부모 미국교육에서 가장 효과적이고 경제적인 방법으로 검증된 교육의 한 방법이 의미있는 Homework(숙제) 라고 일리노이대학의 교육학교수 Herbert J. Wallberg 가 제안한 방향을 생각해 보고자 한다.
숙제는 학생으로 하여금 자아 훈련과 자아의 방향을 설정해 주며 좋은 공부 습관을 키워 자발적인 공부비결을 길러준다. 부모로서 숙제를 처리하는 문제는 심각하다 고로 여기에는 보다 생산적인 방법을 모색해야 한다.
1. 첫날부터 시작하라
비록 Kindergarten이라도 Homework이…
작성자princeton
작성일 10-08-04 18:29
조회 1760
더보기
|
(1) 부정적인 접근 대화
·자녀의 현실을 고려하지 않는 높은 기대나 과욕을 부린다.
·형제 간에 경쟁을 유발한다.
·이중 기준을 적용한다.
(2) 격려하는 태도의 대화
·자녀를 있는 그대로 수용한다. ·조건 없이 인정한다. ·아이의 고자질을 무시한다. ·긍정적인 태도를 보인다.·자녀의 가능성을 신뢰하면 아이들도 자신감을 갖게 된다.·장점, 잘 하는 것, 친구나 가족을 위해 공헌한 것에 관심을 보인다.·노력과 향상을 인정한다.·칭찬하기보다 격려한다.
(3) 격려하는 말의 실례
·자녀의 행동에 대해서만 가치를 평가하지…
작성자princeton
작성일 10-08-04 18:28
조회 1216
더보기
|
1. Harry Potter 시리즈(J.K. Rowling)
2. Goosebumps 시리즈(R.L. Stine)
3. Green Eggs and Ham(Dr. Seuss)
4. The Cat in the Hat(Dr. Seuss)
5. Arthur 시리즈(Marc Brown)
6. Charlotte’s Web(E.B. White)
7. Shiloh(Phillis Reynolds Naylor)
8. Hatchet(Gary Paulsen)
9. Holes(Louis Sacher)
10. The Give…
작성자princeton
작성일 10-08-04 18:23
조회 1152
더보기
|
뉴저지의 3학년, 4학년들의 학력 고사인 NJASK(New Jersey Assessment of Skills and Knowledge) 시험이 지난 5월부터 실시 하게 되었다. 이 학력 고사는 연방정부와 주정부의 저학년 학생들의 학습평가를 위한 첫번 국가고사를 실시하게 된 것이다.
NJASK3 와 NJASK4로 불리우는 이 시험은 2가지 분야로 language arts, literacy와 mathematics으로 약 10,5000명의 3학년 학생들이 5월 20일부터 3일간 시험을 치르게 되며 같은 수의 4학년 학생들은 5월20…
작성자princeton
작성일 10-08-04 17:53
조회 1672
더보기
|
스트레스는 학업능률을 저하시키고 나아가 의욕을 상실케 하는 요인이다. 따라서 자녀가 스트레스를 겪고 있다면 이를 해소할 수 있도록 배려해주는 부모의 지혜가 필요하다.
과다한 숙제량, 새로운 시험에 대한 준비, 태권도, 수영, 피아노 등의 방과후 활동…. 오늘날 어린이들에게 주어지는 일과량은 성인들 못지 않다. 이로인해 특히 신학기에 들어 제대로 환경에 적응하지 못하는 이들 어린이 가운데는 스트레스에 시달리는 경우가 적지 않다. 이는 곧 학교생활을 지겹게 만드는 주요인이자 결국 무기력한 학생으로 전락시키는 주범.
최근 한…
작성자princeton
작성일 10-08-04 17:33
조회 1085
더보기
|
자녀 독서력 향상 4계명
손 닿는데 책 놓아두고부모가 먼저 모범 보여라
1. 소리 내서 읽도록 한다킨더가튼 또는 초등학교 1, 2학년이라면 책을 읽을 때 소리내서 읽도록 한다. 아이가 단어를 제대로 읽을 수 있는지 알 수 있고, 발표력을 높이는데도 도움이 된다. 물론 부모가 아이들에게 읽어줄 때도 정확히 들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
2. 충분한 서적을 비치해 둔다아이의 방이나 거실 등에 아이가 읽을 수 있는 책들을 준비해 둔다. 책을 구입하기 전 아이가 원하는 것을 최대한 반영하도록 한다. 또 도서관을 이용할 경우에…
작성자엘렌공주
작성일 10-02-09 11:18
조회 1112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