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속적인 집중력(Sustained Attention)
페이지 정보
작성자 베이질 댓글 0건 조회 999회 작성일 11-07-24 11:08
본문
Q :
저의 아들(초등학교 5학년)이 이상하게 4학년 때부터 성적이 떨어지기 시작했어요. 늘 “똑똑하고 친구 사이에 인기가 좋으며, 활달하고 공부시간에 발표가 왕성하다”는 칭찬을 선생님들로부터 들어왔는데 작년부터 선생님께 노티스를 일주일에 몇번씩 받았습니다.
공부시간에 말을 많이하고 다른 아이들을 방해한다는 것이지요. 처음에는 잘못된 자기의 행동에 대해 창피해하는 듯하더니, 이제는 “I don’t care”라며 저의 말을 무시하는 태도를 보입니다. 저의 아들은 어렸을 때부터 겁이 많은 편이고 현재 밤에 잠드는 시간이 한시간 이상 걸리고 밤에는 이를 자주갑니다.
학교공부는 영어에 비해 수학과 과학이 떨어지고있습니다. 글씨체는 알아볼 수 없을 정도로 엉망이고 그림도 잘 못그립니다. 성적은 좋은 편이데 급해서 실수와 다치기를 잘합니다. 손톱을 물어뜯는 습관은 오래되었습니다.
저의 아들(초등학교 5학년)이 이상하게 4학년 때부터 성적이 떨어지기 시작했어요. 늘 “똑똑하고 친구 사이에 인기가 좋으며, 활달하고 공부시간에 발표가 왕성하다”는 칭찬을 선생님들로부터 들어왔는데 작년부터 선생님께 노티스를 일주일에 몇번씩 받았습니다.
공부시간에 말을 많이하고 다른 아이들을 방해한다는 것이지요. 처음에는 잘못된 자기의 행동에 대해 창피해하는 듯하더니, 이제는 “I don’t care”라며 저의 말을 무시하는 태도를 보입니다. 저의 아들은 어렸을 때부터 겁이 많은 편이고 현재 밤에 잠드는 시간이 한시간 이상 걸리고 밤에는 이를 자주갑니다.
학교공부는 영어에 비해 수학과 과학이 떨어지고있습니다. 글씨체는 알아볼 수 없을 정도로 엉망이고 그림도 잘 못그립니다. 성적은 좋은 편이데 급해서 실수와 다치기를 잘합니다. 손톱을 물어뜯는 습관은 오래되었습니다.
가정환경이나 학교 친구사이에 특별한 변화는 없고 저희 부부가 서로 의논해서 아이를 잘 키우려는 상당한 노력을 기울이는 편입니다. 우리 아들의 문제가 무엇일까요?
A :
별 탈없이 잘 커가던 아이가 어느 시점에 예상치도 않았던 문제를 보이면, 대부분의 부모님은 당연히 당황해하십니다. 특별히 학교성적이 상위권이었고 모범생이던 학생의 성적이 갈수록 나빠지면 그 문제의 원인을 알아야겠지요.
현재 아드님의 상태를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서는 필요한 테스트와 평가를 해봐야합니다. 만약 어렸을 때부터 위와 같은 행동이 전혀 없었고 1년 전부터 시작되었다면, 대략 집중력 결핍증의 충동형에 가까운 보더라인 케이스라고 판단이 됩니다.
이러한 학생들은 즉각적 시각 기억력(Immediate visual memory)은 우수하나 즉각적 청각 기억력(Immediate auditory memory)이 부족할 수가 있습니다. 왜냐하면 충동조절이 안되므로 남의 말을 귀기울여 들을 수가 없고, 따라서 선생님의 지시사항을 따라가기가 힘들지요.
아드님과 유사한 문제가 있는 학생들이 위와 같은 테스트 결과를 주로 보입니다. 점수가 90-110을 보통이라고 기준합니다. 지속적인 집중력(Sustained Attention)은 20분 이상 집중을 정확히 할 수있는 능력을 말합니다. 아마 아드님이 5분 내지 10분은 90점 넘게 잘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집중력이 떨어질 것입니다.
따라서 저학년 때는 똑똑한 머리로 집중력이 썩 좋지 않아도 간단한 문제 등을 잘 풀어서 학교성적이 우수하나, 고학년에 올라갈수록 학교공부가 복잡해져서 머리좋은 것 외에도 꾸준히 앉아서 집중해서 공부를 해야만 과제를 파악하게 되므로 자연히 성적이 떨어지게됩니다. 이때 지도를 잘못받으면 공부에 취미와 열성을 잃게 되기도 하지요.
충동조절(Impulse Control)은 생각한 후 말하거나 행동하는 것을 말합니다. 급하게 생각을 끝나기도 전에 행동하면 불필요한 실수와 사고를 당합니다. 두뇌응답 속도(Speed of response Time)는 두뇌가 외부의 스티물러스에 응하는 속도입니다.
응답의 일정함(consistency of response)은 지속적 집중력, 충동조절, 두뇌 응답속도가 얼마나 일정한지를 검사하는 것이지요. 건강하고 우수한 두뇌일수록 일정한 패턴으로 집중을 잘합니다. 집중과 충동조절에 문제가 있을 경우, 학교성적 등이 일정치않고 Up and down이 심합니다.
아드님은 첫째 차분히 생각하고 말할 수 있게 혼자서 눈을 감고 간단한 기도나 명상을 할 수 있게 권해보세요. 그리고 뉴우로피드백을 받으면 집중력, 수면, 손톱 물어뜯는 것 등, 여러가지 행동을 효과있게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A :
별 탈없이 잘 커가던 아이가 어느 시점에 예상치도 않았던 문제를 보이면, 대부분의 부모님은 당연히 당황해하십니다. 특별히 학교성적이 상위권이었고 모범생이던 학생의 성적이 갈수록 나빠지면 그 문제의 원인을 알아야겠지요.
현재 아드님의 상태를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서는 필요한 테스트와 평가를 해봐야합니다. 만약 어렸을 때부터 위와 같은 행동이 전혀 없었고 1년 전부터 시작되었다면, 대략 집중력 결핍증의 충동형에 가까운 보더라인 케이스라고 판단이 됩니다.
이러한 학생들은 즉각적 시각 기억력(Immediate visual memory)은 우수하나 즉각적 청각 기억력(Immediate auditory memory)이 부족할 수가 있습니다. 왜냐하면 충동조절이 안되므로 남의 말을 귀기울여 들을 수가 없고, 따라서 선생님의 지시사항을 따라가기가 힘들지요.
아드님과 유사한 문제가 있는 학생들이 위와 같은 테스트 결과를 주로 보입니다. 점수가 90-110을 보통이라고 기준합니다. 지속적인 집중력(Sustained Attention)은 20분 이상 집중을 정확히 할 수있는 능력을 말합니다. 아마 아드님이 5분 내지 10분은 90점 넘게 잘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집중력이 떨어질 것입니다.
따라서 저학년 때는 똑똑한 머리로 집중력이 썩 좋지 않아도 간단한 문제 등을 잘 풀어서 학교성적이 우수하나, 고학년에 올라갈수록 학교공부가 복잡해져서 머리좋은 것 외에도 꾸준히 앉아서 집중해서 공부를 해야만 과제를 파악하게 되므로 자연히 성적이 떨어지게됩니다. 이때 지도를 잘못받으면 공부에 취미와 열성을 잃게 되기도 하지요.
충동조절(Impulse Control)은 생각한 후 말하거나 행동하는 것을 말합니다. 급하게 생각을 끝나기도 전에 행동하면 불필요한 실수와 사고를 당합니다. 두뇌응답 속도(Speed of response Time)는 두뇌가 외부의 스티물러스에 응하는 속도입니다.
응답의 일정함(consistency of response)은 지속적 집중력, 충동조절, 두뇌 응답속도가 얼마나 일정한지를 검사하는 것이지요. 건강하고 우수한 두뇌일수록 일정한 패턴으로 집중을 잘합니다. 집중과 충동조절에 문제가 있을 경우, 학교성적 등이 일정치않고 Up and down이 심합니다.
아드님은 첫째 차분히 생각하고 말할 수 있게 혼자서 눈을 감고 간단한 기도나 명상을 할 수 있게 권해보세요. 그리고 뉴우로피드백을 받으면 집중력, 수면, 손톱 물어뜯는 것 등, 여러가지 행동을 효과있게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