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총기참사, 게임에 '불똥'… 폭력게임 규제 추진 > 청소년 고민코치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청소년 고민코치


 

美총기참사, 게임에 '불똥'… 폭력게임 규제 추진

페이지 정보

작성자 장미 댓글 0건 조회 1,628회 작성일 15-06-03 23:06

본문

초등학생 20명이 사망한 미국 코네티컷주 뉴타운 총기 난사 사건을 계기로 미 정부가 폭력적인 게임의 규제를 검토하고 나섰다. 이 같은 참사를 막기 위해서는 총기를 규제하는 것은 물론이고, 정신 건강을 해쳐 범행을 유발할 수 있는 폭력 게임에 대한 조치도 필요하다는 여론에 따른 것이다. 범정부 차원의 총기 규제 태스크포스를 이끌고 있는 조지프 바이든 부통령은 11일(현지시각) 게임업체 간부들과 만나 게임 규제 문제를 직접 논의했다.

◇바이든 부통령, 게임업체들과 폭력 게임 문제 논의

뉴욕타임스(NYT)는 12일 "게임산업은 그 어느 때보다 '게임의 폭력적인 이미지가 폭력을 유발한다'는 거센 비판에 직면해 있다"고 했다. 뉴타운 사건 범인 애덤 랜자도 '콜 오브 듀티' 등 폭력적인 게임을 즐긴 것으로 알려져있다.

폭력 게임과 실제 범행 간의 연관성에 대해서는 상반된 연구결과가 존재하는 등 아직까지 논란이 진행 중이지만, 뉴타운 사건 이후에는 정치권이나 시민단체에서 '게임의 유해성'을 비판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공화당의 유력한 차기 대선 주자인 크리스 크리스티 뉴저지 주지사는 MSNBC 방송에서 "사람을 계속 죽이는 '콜 오브 듀티' 같은 폭력적 게임을 오래 하는 청소년은 실제 생활에서도 폭력에 둔감해질 것"이라고 했다. 또 존 록펠러 상원의원(민주·웨스트버지니아)은 폭력 게임이 어린이에게 미치는 영향에 관해 연구할 것과 영상물 등급제 재검토를 촉구했고, 데이비드 액설로드 백악관 고문은 트위터에 "살인을 게임이라고 홍보하는 건 그만둬야 한다"는 글을 올렸다. 뉴타운 인근 사우딩턴에서는 폭력적 게임을 반납하면 문화 상품권을 주는 캠페인이 벌어지기도 했다. 이를 주도한 '사우딩턴SOS'라는 교육계·성직자·시민단체 연합모임은 "폭력적인 게임이나 TV에 지속적으로 노출된 아이들이 공격적인 성향을 띄게 된다는 증거가 충분히 있다"고 주장했다.

◇"미 총기협회가 책임 전가한다" 주장도

하지만 게임업체들은 "총기단체 등이 자신의 이익을 보호하기 위해 비난의 화살을 게임으로 돌리고 있다"고 반발하고 있다. 실제로 뉴타운 사건 후 비판의 표적이 되고 있는 미국총기협회(NRA)의 웨인 라피에르 부회장은 "총은 사람을 죽이지 않는다. 폭력적인 비디오게임과 미디어가 죽인다"고 했다.

게임업체에서는 특히 2011년 연방 대법원이 '게임과 폭력을 연관 짓는 설득력 있는 증거는 없다'며 폭력적 게임 판매를 제한한 캘리포니아주의 조치에 위헌 판결을 내린 것을 근거로 로비 총력전에 나섰다고 NTY가 전했다. 이들은 2008년 이후 로비자금으로 2000만달러를 썼으며, 각종 선거에서도 따로 수백만달러를 쏟아부은 것으로 알려졌다. 게임회사들이 모인 엔터테인먼트소프트웨어협회는 5개의 로비회사를 거느리고 있다. 미국 게임산업 규모는 연 600억달러(약 63조원)에 이른다.


조선일보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