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것 자궁 안에서 이미 결정”… 인간행태, ‘순리’로 이해해보자
페이지 정보
작성자 nolja 댓글 0건 조회 1,301회 작성일 15-05-02 10:56본문
네덜란드 암스테르담대 신경생물학과 교수인 저자의 핵심 주장을 딱 한 줄로 표현하자면 ‘모든 것이 자궁 안에서 결정된다’는 것. 아버지와 어머니의
유전자가 섞여 태아가 생성된 후 자궁 안에서 뇌가 프로그래밍 되는 과정에서 다양한 호르몬과 생화학 요인으로 개인의 성격, 재능, 한계 등
정체성이 모두 정해진다는 의미다.
나아가 지능 수준, 영성정도, 반사회적 경향성, 정신분열증, 자폐증, 우울증 같은 뇌 질환 가능성마저 대부분 이 시기에 결정된다. 저자는 이를 뒷받침하는 다양한 실험결과를 소개한다. 제2차 세계대전 말기인 1944∼45년 네덜란드는 기아가 심했고 당시 자궁 안에 있던 아기들은 불충분한 영양공급을 받아야 했다. 이들은 성인이 된 후 일반인보다 비만증에 잘 걸리는 경향을 보였다. 태아 때 영양이 충분히 공급되지 못하다 보니 모든 칼로리를 저장하도록 뇌가 신체를 조절해 놓았고 성인이 되어서도 그 기능이 그대로 작동한 것이다.
사회적 논란이 되는 동성애, 성전환 등도 태아 때 결정된다고 저자는 설명한다. 생식기 분화는 임신 첫 주, 뇌 속 성적 분화는 임신 후반기에 형성된다. 테스토스테론으로 인해 남자 혹은 여자라는 생각이 태아 뇌 안에 고착화되는데 이 과정에서 몸은 남성이지만 뇌에서는 자신을 여성이라고 인식하거나 혹은 반대의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동성애 성향은 질병이나 정신질환이 아니라 일정 비율로 태아에게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이다. 심지어 범죄로 취급하는 ‘소아성애’라는 성적 취향마저 태아의 성호르몬과 출생 전 뇌의 발달, 유전적 성향으로 결정된다고 주장한다. 저자는 3세대에 걸쳐 소아성애증 남성을 낳은 집안을 예로 든다.
출생 후 사회적 환경과 교육이 훨씬 덜 중요하다면? 모든 것이 태아 때 결정된다면 교육이라는 인간의 숭고한 노력은 필요를 넘어 가치조차 없는 것 아닐까? 이에 대해 저자는 ‘인간이 지닌 내적 한계와 차이를 자연의 순리로 받아들여야 한다’고 강조한다. 이를 통해 능력의 차이를 인정하지 않고 무한 경쟁 속으로 모두를 밀어 넣는 사회와 성소수자를 지나치게 비하하고 손가락질하는 분위기가 바뀔 수 있다는 것이다. 뇌과학을 통해 사회문제에 시사점을 주려는 저자의 시도가 색다르게 다가온다.
나아가 지능 수준, 영성정도, 반사회적 경향성, 정신분열증, 자폐증, 우울증 같은 뇌 질환 가능성마저 대부분 이 시기에 결정된다. 저자는 이를 뒷받침하는 다양한 실험결과를 소개한다. 제2차 세계대전 말기인 1944∼45년 네덜란드는 기아가 심했고 당시 자궁 안에 있던 아기들은 불충분한 영양공급을 받아야 했다. 이들은 성인이 된 후 일반인보다 비만증에 잘 걸리는 경향을 보였다. 태아 때 영양이 충분히 공급되지 못하다 보니 모든 칼로리를 저장하도록 뇌가 신체를 조절해 놓았고 성인이 되어서도 그 기능이 그대로 작동한 것이다.
사회적 논란이 되는 동성애, 성전환 등도 태아 때 결정된다고 저자는 설명한다. 생식기 분화는 임신 첫 주, 뇌 속 성적 분화는 임신 후반기에 형성된다. 테스토스테론으로 인해 남자 혹은 여자라는 생각이 태아 뇌 안에 고착화되는데 이 과정에서 몸은 남성이지만 뇌에서는 자신을 여성이라고 인식하거나 혹은 반대의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동성애 성향은 질병이나 정신질환이 아니라 일정 비율로 태아에게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이다. 심지어 범죄로 취급하는 ‘소아성애’라는 성적 취향마저 태아의 성호르몬과 출생 전 뇌의 발달, 유전적 성향으로 결정된다고 주장한다. 저자는 3세대에 걸쳐 소아성애증 남성을 낳은 집안을 예로 든다.
출생 후 사회적 환경과 교육이 훨씬 덜 중요하다면? 모든 것이 태아 때 결정된다면 교육이라는 인간의 숭고한 노력은 필요를 넘어 가치조차 없는 것 아닐까? 이에 대해 저자는 ‘인간이 지닌 내적 한계와 차이를 자연의 순리로 받아들여야 한다’고 강조한다. 이를 통해 능력의 차이를 인정하지 않고 무한 경쟁 속으로 모두를 밀어 넣는 사회와 성소수자를 지나치게 비하하고 손가락질하는 분위기가 바뀔 수 있다는 것이다. 뇌과학을 통해 사회문제에 시사점을 주려는 저자의 시도가 색다르게 다가온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