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죽음에 대한 충격 치료
페이지 정보
작성자 베이질 댓글 0건 조회 1,131회 작성일 11-07-24 11:36
본문
▷문=약 6개월전 한 집에 같이사시던 시어머니께서 돌아가셨습니다. 저희 부부는 물론 가까운 친지분들도 마음으로 많이 슬퍼했습니다. 요즈음에 서서히 상태가 좋아지려고 하는데 저희 딸아이가(8세) 부쩍 할머니가 보고 싶다고 잘 웁니다.
밤에는 저와 자려고 투정을 하고, 좋아하는T.V. 프로그램이나 맛있어하던 음식에도 별 관심이 없습니다. 어린아이라 잘 견딜 줄 알았는데, 아직도 할머니의 죽음때문에 괴로워하고 있는 것 같아요. 엄마로서 제가 도와 줄 수 있는 방법을 알고 싶습니다.
▷답=인간이면 어느 누구나 나이를 막론하고 자기가 사랑하는 가족 친구 친척 애인등을 사별로 잃는 일 만큼 처참하고 슬픈일이 없을 것 입니다. 이럴 때 우리가 받는 스트레스가 가장 심하고 두번째가 이혼할 때 받은 스트레스입니다.
밤에는 저와 자려고 투정을 하고, 좋아하는T.V. 프로그램이나 맛있어하던 음식에도 별 관심이 없습니다. 어린아이라 잘 견딜 줄 알았는데, 아직도 할머니의 죽음때문에 괴로워하고 있는 것 같아요. 엄마로서 제가 도와 줄 수 있는 방법을 알고 싶습니다.
▷답=인간이면 어느 누구나 나이를 막론하고 자기가 사랑하는 가족 친구 친척 애인등을 사별로 잃는 일 만큼 처참하고 슬픈일이 없을 것 입니다. 이럴 때 우리가 받는 스트레스가 가장 심하고 두번째가 이혼할 때 받은 스트레스입니다.
아직 8세뿐이 안된 어린아이라 할지라도 한집에서 동거 동락하던 할머니를 잃었을 때 정신적 충격과 마음의 상처를 받게됩니다. 특히 할머니와 아주 가까운 사이였을 경우 후유증이 더 심합니다. 아이가 6개월 후에 어떤 감정적 반응을 보이는 것은 처음에는 너무 놀라고 무슨 뜻인지 잘 이해가 되지 않았을 것 입니다.
그러나 시간이 흐르면서 "정말 할머니가 돌아가셨구나"하는 현실을 피부로 느끼게 되지요. 이럴때 부모님이 옆에서 적절한 방법으로 꼭 도와주셔야합니다.
먼저 딸에게 할머니의 죽음에 대해 어떻게 이해를 시키셨나요? 어떠한 종교가 있다면 그 믿음에 의하여 잘 설명해 주십시오. 그리고 아이에게 할머니에 대해 많은 부분을 얘기할 기회를 주십시오.
예를 들면 할머니와 가장 즐거웠던 일 할머니가 잘 만들어 주셨던 음식 할머니의 어느면이 가장 보고 싶은지 등을 정확히 표현하고 할머니와의 아름다운 추억을 마음에 잘 간직하도록 격려해주십시오.
또한 할머니께 하고 싶은 모든 이야기들(할머니께 고마웠던 일 미안했던 일 등)을 편지를 쓰게 하십시오. 그런 후 할머니 묘지를 방문하여 그 앞에서 편지를 소리내어 읽은 후 그 편지를 버리면서 할머니가 더 이상 이 세상에서 살아계신 분이 아님을 인정하도록 해야합니다.
이렇듯 우리는 인생을 살다가 겪는 일들을 정리하는 습관을 가져야합니다. 특히 죽음을 통한 잃음(Loss)은 두말할 여지가 없습니다. 그외에도 아이들을 키우다보면 아이들이 부모의 이혼을 통해 '원래의 가정안에서 두 부모와 늘 함께 산다는 꿈'을 잃었을 때 옆에 한 가족처럼 키우던 애완견 고양이 햄스터 등을 잃었을 때 뜻밖의 사고로 신체적 기능을 잃었을 때등을 겪게됩니다.
한 예를 들면 초등학교때 아버지를 사고로 잃은 남학생이 잘 성장하는 듯 하다가 고등학생이 되면서 잦은 비행과 도둑질을 일 삼는 것이었습니다. 역시 아버지의 죽음에대한 애도가 제대로 치료가 되지않아 일어난 일이었습니다.
아버지에 대한 죄책감(나만 살아났기때문) 혼동 절망감등을 치료한 후 원래의 돌아오게 되었습니다. 아직도 많은 분 들이 과거의 일은 그냥 무덤에 묻어두고 앞을 향해 살아가야한다고 잘못 생각하고 있습니다. 우리의 자녀들이 자신감에찬 미래를 향해 도약하기위해서는 반드시 집고 넘어가야합니다.
(1) 그 일이 나에게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 솔직히 대화하고 (2) 잃음에 관한 여러 복잡 미묘한 감정을 인정하고 치유하여 받아들인 후(3) 그 사건을 떠나 보내야(Let it go) 합니다. 그러면 앞으로 나아가는 발걸음이 더욱 가벼울 것입니다.
그러나 시간이 흐르면서 "정말 할머니가 돌아가셨구나"하는 현실을 피부로 느끼게 되지요. 이럴때 부모님이 옆에서 적절한 방법으로 꼭 도와주셔야합니다.
먼저 딸에게 할머니의 죽음에 대해 어떻게 이해를 시키셨나요? 어떠한 종교가 있다면 그 믿음에 의하여 잘 설명해 주십시오. 그리고 아이에게 할머니에 대해 많은 부분을 얘기할 기회를 주십시오.
예를 들면 할머니와 가장 즐거웠던 일 할머니가 잘 만들어 주셨던 음식 할머니의 어느면이 가장 보고 싶은지 등을 정확히 표현하고 할머니와의 아름다운 추억을 마음에 잘 간직하도록 격려해주십시오.
또한 할머니께 하고 싶은 모든 이야기들(할머니께 고마웠던 일 미안했던 일 등)을 편지를 쓰게 하십시오. 그런 후 할머니 묘지를 방문하여 그 앞에서 편지를 소리내어 읽은 후 그 편지를 버리면서 할머니가 더 이상 이 세상에서 살아계신 분이 아님을 인정하도록 해야합니다.
이렇듯 우리는 인생을 살다가 겪는 일들을 정리하는 습관을 가져야합니다. 특히 죽음을 통한 잃음(Loss)은 두말할 여지가 없습니다. 그외에도 아이들을 키우다보면 아이들이 부모의 이혼을 통해 '원래의 가정안에서 두 부모와 늘 함께 산다는 꿈'을 잃었을 때 옆에 한 가족처럼 키우던 애완견 고양이 햄스터 등을 잃었을 때 뜻밖의 사고로 신체적 기능을 잃었을 때등을 겪게됩니다.
한 예를 들면 초등학교때 아버지를 사고로 잃은 남학생이 잘 성장하는 듯 하다가 고등학생이 되면서 잦은 비행과 도둑질을 일 삼는 것이었습니다. 역시 아버지의 죽음에대한 애도가 제대로 치료가 되지않아 일어난 일이었습니다.
아버지에 대한 죄책감(나만 살아났기때문) 혼동 절망감등을 치료한 후 원래의 돌아오게 되었습니다. 아직도 많은 분 들이 과거의 일은 그냥 무덤에 묻어두고 앞을 향해 살아가야한다고 잘못 생각하고 있습니다. 우리의 자녀들이 자신감에찬 미래를 향해 도약하기위해서는 반드시 집고 넘어가야합니다.
(1) 그 일이 나에게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 솔직히 대화하고 (2) 잃음에 관한 여러 복잡 미묘한 감정을 인정하고 치유하여 받아들인 후(3) 그 사건을 떠나 보내야(Let it go) 합니다. 그러면 앞으로 나아가는 발걸음이 더욱 가벼울 것입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