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기쉬운 미국 교육제도
페이지 정보
작성자 신선초 댓글 0건 조회 4,127회 작성일 12-05-25 01:01
본문
1. 미국의 교육제도
미국의 연방헌법에는 교육에 관한 규정은 없으며 교육에 관한 권한은 모두 주이 하의 기관에 맡겨져 있다 주의 교육에 대 한 관여방법은 각 주마다 다양하여 뉴욕이 나 캘리포니아 등과 같이 비교적 적극적으로 관여하는 곳이 있는가 하면 그렇지 않은 곳도 있다 주 내의 교육에 적극적으로 관 여하는 뉴욕 주의 경우에는 일정한 커리큘럼 기준을 만들어 해마다 그에 따른 시험을 실시하고, 그 결과 주 내의 각 지방 교육위원회 또는 학교 당국에 커다란 영향력을 행사한다.캘리포니아의 경우에도 주에서 교과서나 교재를 선정하여 각 지방에 추천하는 등 그 영향력이 다양하다.주 아래에는 지방교육구(Local School District)가 있는데 그 수는 현재 전국에 약 1만 7천 구에 이르고 있다. 하와이 주와 같이 주 전체가 한 개의 교육구를 이루고 있는 주, 네브래스카 주와 같이 1천350개의 지방교육구를 갖고 있는 주, 일리노이 주와 같이 초등학교와 중학교를 관리하는 교육 구가 각각 다른 주 등 매우 다양하다.미국의 교육은 지방분권이 원칙이다. 우리나라로 말하자면 최말단의 지방 교육위 원회나 각 학교가 교육에 관한 모든 정책을 입안하여 실시하고 주나 연방은 재정적으로 혹은 특정한 영역에서 이를 후원하는 시스템으로 되어 있다.
(1) 미국의 의무교육 의무 교육의 연한은 각 주의 법률에 맡기고 있어 일률적이지 않다
이전에는 대부 분의 주에서 의무 교육을 7∼16세까지 9년 동안이며 , 초등학교에 입학할 수 있는 연령은 6세였으나, 현재는 유치원(킨더가든)에 서 고등학교까지의 12년 동안으로 정하고 있는 주가 많다. 단 킨더가든과 고등학교는 준의무 교육으로서 받아들이고 있는 듯 하다. 학제는 역사적으로 보아 8-4제가 많았으나 지금은 6-3-3제가 많아지고 있음을 볼 수 있다.
(2) 미국의 취학제도(유아에서 성인까지)
· 6개월∼3세 : 프레너스리(prenursery), 3∼ 4세의 너스리스쿨(nursery school)등이 있으며 이들은 한국의 보육원에 해당한다. 또 이 기간 동안을 탁아소(데이케어 센터 )에서 지내는 경우도 있다. · 4∼5세 :유치원에 해당하는 킨더가든 (kindergarten)에 들어간다 이것은 초등학교에 병설되어 있을 경우가 많고 준의무 교육화되고 있다. · 6세부터 : 초등학교(elementary school, grade school)에 입학, 중학교 (junior high school), 고등학교(high )로 이어진다.미국에서는 한국과 같은 6-3-3제 이외 에 5-3-4, 6-6, 8-4제 등이 있으며 그것에 따라 호칭도 다르다. 예컨대, 6존제에서는 초등학교 6년 동안을 마친 뒤 중 고등학교가 함께 있는 세컨드리 스쿨(secondary school)에 들어간다. 이런 사정도 있고 해서 어린이의 학년은 초등학교 1학년에서 고등학교 3학년까지 이어서 부른다. 예컨대, 중학교 3학년이라 부르지 않고 9학년 이라고 한다. 고등학교 졸업 후는 단과대학(college) 이나 종합대학(university) 외에 의학, 법 학 등의 전문대학, 직업 전문학교 등의 고등교육기관이 있다.2년제 대학을 졸업한 자는 4년제 대학의 3학년에 편입이 가능하다. 4년제 대학 졸업 후는 대학원의 석사과정, 박사과정이 있다.
미국의 자녀 교육은 어릴 적부터 자립시 키는 교육을 중요시한다 그 때문에 미국 가정에서는 세 살짜리 어린아이라도 자기는 무엇이 하고 싶다든가 무엇이 필요하다는 등의 표현이나 행동을 스스로 할 수 있도록 엄하게 훈련시킨다. 한국 어머니들처럼 하나에서 열까지 모두 돌봐 주는 일은 미국 유아교육에서는 통용되지 않는다. 한국 유치원 중에는 유치원에 입학하기 전에 자기의 몸치장, 손씻기, 양치질, 코푸는 일, 용변처리 등을 스스로 해야한다는 조건이 있는데 미국의 유치원에서는 세 살 까지 이와 같은 일을 할 수 있는 것은 당연 지사이며 교사는 아이들과 함께 놀며 심신의 발달을 촉진하지만 아이들의 뒷바라지는 하지 않는다
그것은 교사가 아이들을 돌보지 않는다는 뜻이 아니라 아이들이 스스로 해 나가는 것을 지켜보는, 어디까지나 아이들의 자발성 , 독립심을 기르는 것을 중시하는 교육이기 때문이다. 그러한 의미에서도 유아가 있는 부모는 미국 교육에 관심을 갖고 유아 시설의 실태를 잘 이해해 둘 필요가 있다. 데이케어 센 터 , 너스리 스쿨, 프레 스쿨, 킨더가든 등은 한국의 보육원이나 유치원에 해당하는 미 국의 유아 교육기관이다. 다음은 그 특징과 이용할 때의 주의할 점이다.
(1) 교육기관의 종류
1 ) 데이케어 센터
맞벌이 부부가 안심하고 아동을 맡길 수 있는 기관으로 생후 6개월엔서 4, 5세 아 동을 맡는 곳도 있다. 기본적으로는 공립과 사립이 있으며 공립은 수업료가 무료이다 그러나 경제적으로 여유가 없는 가정이 우선이므로 한국인은 대상에서 제외되는 경우가 많다. 한편 사립은 연간 2천∼6천달러이며 또 공립, 사립 모두 오전이나 오후에만 맡는 경우와, 8∼ 18시의 종일 보육이 있다. 현재 보건국 허가를 지닌 공인 센터와 비공인 센터가 있으므로 가능한 한 공인 센터를 선택하기 바란다.
2) 너스리, 프레스쿨
데이케어 센터와 마찬가지로 공립은 무료이지만 연수 제한에 의한 우선권이 있으므로 한국인의 경우 들어가지 못하는 경우 가 많다. 한편 사립에서는 연간 3천∼8천 달러의 비용이 든다.코스별로 매일 오전중에만 맡는 반나절 코스와 주 2, 3회 주간에만 2시간 남짓 맡는 코스가 대부분이며 부모의 보살핌이 필 요하다. 또 지역에 따라서는 읽기, 쓰기와 컴퓨터를 포함한 보육 교육을 실시하는 곳도 있다.
3) 킨더가든
미국의 킨더가든은 의무교육으로 초등학교에 병설되어 있으며 학구 내의 주민은 절 차만 밟으면 누구나 입학할 수 있다. 또 유 치원 교육에 대한 사고방식은 초등학교 입 학 준비를 위한 교육 내용이 대부분인데, 표현력 , 언어력 , 숫자 등 한국과는 그 내용이 차이가 난다. 학생수는 지역에 따라 다르지만 공립이 많고 한 반에 30∼40명 안팎이다. 이에 비해 사립은 한 반에 10∼15명 안팎이며 선생은 2명 이다. 개성을 살리는 교육을 지향하고 있는 학교가 많다.비용은 사립학교와 마찬가지로 연 간 3천500∼ 1만 달러 이다. 미국에서는 집단 속에 서 함께 행동하는 것이며, 보다 더 다른 사람과 틀린 자기다움을 발표하는 훈련을 중 시하고 있다.
(2) 유아교육기관 찾는 법
① 친구나 가까운 사람들로부터 정보를 얻는다.
② 전화번호부나 광고를 참고로 하여 직접 전화를 걸어 예약을 하고 학교를 보러 간다.
③ 한 곳만 아니라 여러 곳을 찾아 본다
④ 판단하기 어려울 때는 카운셀링을 하고 있는 전문기관에 상담한다. 회원 제로 정보를 제공하고 자세한 조언도 해 준다
미국공립학교
사는 지역에 따라 거의 자동적으로 공립 학교가 정해지므로 학교선택은 어디에 사느냐를 정하는 것이기도 하다 그래서 사전의 정보 수집이 중요하다. 공립학교의 특색을 잘 이해한 뒤 실제로 자기 자녀에게 걸 맞는 학교를 찾아 나서기 바란다.
(1) 특징
미국의 공립학교가 한국의 그것과 기본 적으로 다른 점은 미국에서는 한국의 교육부와 같이 교육 전체를 총괄하는 기관이 없다는 것이다. 연방정부의 교육부는 보조금의 공포, 주와의 협력에 의한 새로운 프로그램의 개발, 교육 조사, 그 밖의 연방 교육 활동따위를 실시하고 있지만 학교행정의 결정 권한은 거의 지방 자치에 맡기고 있다.
주에는 각기 교육부가 있고 거기서 제정된 방침이나 제도의 지침을 바탕으로 하여 각 학구의 교육위원회가 학교 예산의 편성, 교직원의 채용. 스쿨버스의 운행, 교사의 건축, 증축, 규칙의 제정 등을 실제로 관리 , 운영한다. 교육위원회는 주민이 뽑은 3∼7 명의 위원으로 이루어지며, 행정의 집행자로서 교육위원장을 둔다. 위원회는 지역이 넓고 인구가 많은 뉴욕, 로스엔젤레스와 같은 곳에서는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가 각각 다른 조직으로 되어 있는 곳도 있지만, 교외의 경우는 대개 하나의 학구로 복수의 초등학교, 한두 개의 중학교, 한 개의 고교를 일괄 관할하고 있다.
(2) 교육방식
주나 지역에 따라서는 'gifted and talented' 프로그램이라는 영재교육을 채택하고 있는 곳도 있지만 그 수는 전체적으로 적다 대개는 학급 속에서 각자의 개성을 파악하여, 그것을 기르는 개별 지도가 수업의 중심이며, 전체수업보다 학급의 아이들을 서너 개의 그룹으로 나누어 학과별로 지도하는 곳이 많다.그 때문에 교실 내 에는 장방형이나 원모양의 그룹용 테이블이 배치되어 있으며 언뜻 보기에 교실 내의 외관은 한국의 학교처럼 질서정연하지 않다 교실 바닥이나 복도에서 뒹굴면서 작업을 하는 아이들의 모습은 처음 미국 학교에 온 한국인을 놀라게 하지만,그룹으로 나뉘어 서로 도우면서 하나의 연구에 몰두하고 있는 공동학습 등의 시간에는 교사의 감독하에 이러한 학습태도가 허용되기도 한다
(3) 학교의 종류
의무교육의 개시 연령과 그 기간은 각 주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평균 6세에서 16, 17세까지 이다. 뉴욕 주는 6∼16세까 지가 의무교육기간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4년제 고등학교의 졸업을 의무화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16세 이상의 고등학교 중퇴자에 대해서는 현재 그것을 저지하는 법적 수단은 없다 공립학교는 킨더가든(초등학교에 병설되어 있는 곳이 많다), 초등학교, 중학교,고등학교까지 되어 있으며 그 학구에 거주하는 자면 누구나 입학할 수가 있다.
(4) 학교예산
학교 예산은 주민이 지불하는 지방세, 연방정부나 주의 보조금으로 충당되고 있으나 기업의 기금, 기부가 이를 충당하는 경우도 있다 학교세는 그것만 독립해서 지불하는 것이 아니다. 지방세 속에 포함되어 있다.
가옥이나 대지의 크기, 세워진 연대에 따라 각기 금액이 다르지만 미국에 거주하는 자이면 학령기의 아이가 있든 없든 상관없이,또 아이의 수에 관계 없이 징수된다. 임대주택의 경우는 집세를 통해 지불한다예산안 작 성 때 주민은 각자의 의견을 개진하고 그 가결 때 투표로써 찬부를 나타내는 권리를 지닌다. 일반적으로 경제적으로 넉넉한 학구일수록 교육 예산의 비율도 높다 연방정부나 주의 보조금 비율이 높은 지역, 또 지구 내에 기업이 소재하여 그 기금이나 기부가 지구 재원의 일환이 될 경우 각 가정의 지방세는 주택지만의 지구에 비해 적다.
미국학구및 학교선택법
미국에는 학교의 우수성을 평가하는 기준으로, 한국처럼 일류대학의 합격률을 바탕으로 하지는 않는다. 대개 다음과 점이 참고된다.
· 각 지구의 교육예산 중에서 아이 한 사람에게 쓰여지는 비용
. 'National Merit Scholarship' 의 수상자수
.'Regents College Scholarship' 의 수상자 수
·'Scholastic Aptitude Test (SAT 주 및 전국 평균치 ·
주의 일제 테스트의 성적
· 학생의 평균 출석률 교실 하나에 수용된 학생수
. 교사 · 학생의 비율
. 고교 중퇴자의 수
. 2년제 또는4년제 대학에의 진학률
. 특별 프로그램의 종류, 영재교육 ESL, 이중 언어(bilingual) 등의 특별 영어지도 교육, 보습(remedial)교육, 특수교육 등의 교사 · 학생의 비율 이러한 정보는 지구가 발행하고 있는 연간보고서에 기재되어 있으며 각 교육위원 회에서 입수할 수 있다. .National Merit Scholarship : PSAT 의 성적에 따라 National Merit Competition에 응모할 수 있다. 최종 심사에 붙으면 장학금을 받을 수 있다. .Regents College Scholarship : 뉴욕 주 체류 대상이며 11월의 마감일까지 행해지는 SAT의 결과에 바탕을 둔 장학금
미국학교입학/편입/전학안내
미국은 계약서와 서명의 나라이다. 실제로 서류에 의한 절차가 많다. 입학, 편입, 전학에 관한 웬만한 절차는 부모님들의 요령에 달려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학교에 따라 필요로 하는 절차에는 차이가 있지만 여기서는 그 전형적인 것을 소개한다.
(1) 입학, 편입의 시기
미국 학교는 9월에 시작하여 6월에 끝난다. 따라서 편입은 학기 도중이 아닌 9월에 하며 , 다른 아이들과 함께 신학기를 맞이하는 편이 본인의 정신적 부담을 어느 정도 줄일 수 있을 뿐더러 맞이하는 학교 측도 편한 것 같다 9월에 킨더가든에 들어갈 연령에 이른 학생이 있는 가정에는 4, 5월 경에 학교로부터 연락이 오는데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으므로 연락이 없을 경우는 이 시기에 학교에 물어보는 것이 좋다.킨더가든에 들어갈 연령은 그해의 1월 1일부터 12월 말까지 5세가 되는 어린이를 학령기로 잡는 지방도 있는가 하면 10월 말로 잡는 곳도 있으므로 그 날짜에 대해서는 거주하고 있는 주의 학교에서 확인한다. 절차는 지역에 따라 다소 차이는 있지만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다.
(2) 입학절차
1 ) 학교에 연락하여 예약을 취한다
2) 지참할 것들
① 출생 증명서 (birth certificate 또는 여권)②주거 증명(임대 계약서, 매매 계약서 등) ③ 영문으로 된 예방접종 증명서 (immunization history), 건강진단서(medical report)④전 학교의 재학 ·성적 증명서(영문)
3) 학교에서 주는 주된 서류들
① 입학 신청서 : 학생의 이름, 생년월일, 주소, 양친의 이름 등을 기입한다.②긴급시 연락용 조사서 : 사고가 있을 경우 등의 연락처 ③ 건강 조사서 : 지병이나 현재의 건강상태 ④ 학생 조사서 : 성격이나 흥미, 취미 학생에 관해 학교가 알아두어야 할 것에 대한 질문⑤ 학구 인구조사 : 지구 교육위원회에 의한 가족 구성, 학생의 장애 유무 등에 관한 조사이며, 이것을 바탕으로 취학 아동에게 입학 안내를 발송한다.
⑥ 예방접종 증명서 : 영문에 의한 증명서를 한국으로부터 지참하지 않았을 경우, 또는 한국에서 받은 접종이 주의 규정에 충족되지 않을 때는 입학 신청 후 30일 이내에 의사의 검진을 받는다. ⑦ 건강 진단서 : 주법은 새로운 학구에 들어오는 모든 아이에게 건강진단을 의무화하고 있다. 진단서를 제출하지 않으면 학생은 체조 수업에 참여할 수 없다. ⑥⑦ 의 서류는 진찰시에 의사가 기입한다. 서류 절차는 본인이 없어도 가능하다. 절차를 밟을 때 사무소에서는 학교 안내와 PTA의 팸플릿을 진찰 동시에 주며 버스통학의 방법 등도 일러 준다.스쿨버스는 학구가 정해진 거리(학교로부터 1.5마일 이상 떨어져 있어야 한다)에 사는 아이들을 위한 것이므로 그에 해당되지 않을 경우는 보호자가 데려오고 데려가야 한다.
(3) 편입절차
편입절차는 입학 때와 거의 같다. 편입하는 학년에 대해서는 각 학교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미국에서는 전년의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태어난 아이(이 날짜는 주에 따라 다르다)가 진급의 대상이 되므로 편입의 경우도 생년월일이 기준이 된다.따라서 생년월일에 맞추어 편입학년이 결정될 경우 4월부터 12월까지 태어난 아이는 1학년 위로, 1월에서 3월까지 태어난 아이는 같은 학년에 편입된다. 단, 학구에 따라서는 탄생월에 관계없이 다니던 학구에서의 학년을 그대로 인정해 준다. 어는 학년에 들어가느냐는 보호자의 요망을 들은 뒤 최종적으로 교장이 결정한다.
(4) 전학절차
전학이 결정되면 가능한 한 빨리 그 이유를 첨부, 학교에 제출해야 한다. 전학할 뜻을 빨리 알리면 학교 쪽에서도 모든 처리를 전학 전까지 마칠 수 있어 좋다.
미국학교성적표
미국의 성적표는 교사의 절대평가가 기본으로 되어 있다 평가 대상과 점수를 매기는 법도 한국과는 다르다. 교사의 의견에도 문면 이외의 뜻이 있다 학교에 따라 양식이 다르지만 여기서는 공립학교의 성적표 하나를 예로 들어 소개한다
(1) 초등학교의 경우
1 ) 발송시기
성적표의 발송시기는 같은 학구에서도 학년에 따라 차이가 있다. 여기에 드는 학 군의 예에서는 초등학교는 연 3회, 12, 3, 6월에 성적표가 발송되고, 중 ·고교에서는 11, 2, 4, 6월의 연 4회, 초등학교 고학년에서는 연 1회, 저학년(K-2)에서는 2회의 정기적인 개인면담이 있다.
2) 교사와의 개인면담
킨더가든에서 2학년까지는 최초의 성적 표 발송 시 (12월)와 3월의 2 회 , 3∼ 5학년에서는 12월에 1 회, 교사와의 면 담이 있다. 면담은 오후 1∼3시 까지의 학교 시간대에 맞추어 3일간으로 나뉘어 실시되고 그 날은 아이 들의 수업은 오전밖에 없다. 면담 시간은 9, 10 월에 실시되는 교육방침 설명회 때 학부형이 규정 용지에 희망하는 시간을 써넣어 결정한다. 한 사람에 소요되는 시간은 약 20 분, 학교 시간대에 올 수 없는 학부형을 위해서 수업시작 전이든가 아니면 방과 후에 특별시간이 설정되므로 그 취지를 알아두어야 한다.면접에서는 교사가 성적표의 평가나 아이의 학교에서의 활동을 전하고 그 뒤 부모와 서로 이야기를 나눈다. 이날은 학교에서의 아이의 활동을 자세히 알 수 있으며 아이에 관해 이야기를 나눌 좋은 기회이므로 가능한 한 학부모 모두 참여하기 바란다.
3) 성적표의 내용
성적표의 내용을 통해 아이의 발육이나 교과지도의 변화에 따라 요구되는 학습의 가능이나 인격적, 사회적 발달의 단계를 어느 정도 이해할 수 있다. 성적표는 면담전에 아이에게 건네지거나 면담시에 직접 부 모에게 건네는 교사도 있다
(2) 중 · 고교의 경우
1 ) 중학교의 성적평가 방법 중학교에서는 초등학교와 달리 각기 교과담당교사에 의해 성적평가가 행해진다. 학습태도, 생활태도 등의 평가가 교사 의견란에 나타날 경우도 있지만 교사에 따라서 그 방법이 다르다.
주요과목의 성적평가
A : Superior 우수
B+, B : Above Average 평균 이상
C+, C : Average 보통
D : Minimum Passing 평균 이상, 겨우 합격
F : 불합격
ME : Medical Excuse 의사에 의한 면제
*. 미술의 성적평가
O : Outstanding 우수
VG : Very Good 매우 좋음
G : Good 좋음
S : Satisfactory 보통
NI : Needs Improvement 노력이 필요함
U : Unsatisfactory 불가
2) 중학교의 성적표 중학교의 경우 정기적인 면담이 없기 때 문에 성적표에 대해의문이나 질문이 있을 경우 또 그 밖의 이유로 교과 담임교사와 면담을 희망하고 싶을 경우는 개인적으로 신청한다. 각 학기(4학기)의 평가는 그 학기에만 바탕을 두고 실시된다 3) 고교의 성적표 최종평가는 4학기를 종합한 것과 학교의 최종시험 또는 주의 시험에 의해 결정되며 그 방법은 각 교과에 따라 다르다.
고교의 성적평가 방법
A+ : 97점 이상 4.4(grade point)
A : 93∼96 4.0
A- : 90∼92 3.7
B+ : 87∼89 3.4
B : 83∼86 3.0
B- : 80∼82 2.7
C+ : 77∼79 2.4
C : 73∼76 2.0
C- : 70∼ 72 1.7
D+ : 67 ∼69 1.4
D : 65∼66 1.0
F : 65점 미만 0
FA : Failure
합격/불합격 평가의 경우 불합격
P : Pass
합격/불합격 평가의 경우 합격
W : Withdrawn
코스를 도중에서 그만둠
I : Incomplete 미완성
NG : No Grade 평가되지 않음
7. 미국공립초등학교
미국의 공립 초등학교는 교사의 주관이 아이들의 평가에 적접 영향을 준다. 시간표나 학교설비 등에서 한국과 다른 점이 많다. 한국의 학부모가 체험한 적이 없는 미국의 초등학교에 대해 자세한 내용을 여기에 소개한다.
(1) 킨더가든(Kindergarten)
1 ) 취학연령
킨더가든이란 한국의 유치원에 해당하며 미국에서는 의무교육으로 되어 있다. 그 해의 12월 말에 만 5세가 되는 아이(주에 따라 이 날짜에는 차이가 있다)가 들어가고 교사는 대부분이 초등학교에 병설되어 있다.
2) 교과내용
킨더가든에서의 아이들의 학습은 초등학교에 들어가는 준비를 위한 기초 학습이며 통합된 과목으로 되어 있지만 이과, 이야기하는 법, 독서, 작문, 산수 도공, 음악, 인간관계 , 보건, 체조와 같은 분야를 놀이 중심으로 배운다
3) 시간대
오전중에 끝나는 곳, 오후까지 하는 곳 등 학구에 따라 다르다. 오후의 수업을 주 3회 하는 곳도 있다 예를 들면 뉴욕 주의 스카스델 학구에서는 오후의 수업 1회를 6, 7명의 소수 아동 지도에 돌리고 있다.
(2) 초등학교(Elementary School)
초등학교의 커리귤럼 이나 연간 예정표는 중 ·고교 모두 주의 가이드라인에 따라 각기
학구의 교육위원회가 설정한다. 연간 등교일은 토요일 수업이 없으며 여름방학도 통상 6월 하순에서 9월 초순까지이므로 한국의 240일에 비해 180일 정도로 수업일 수가 적다. 학기도 한국처럼 분명히 2학기제로 되어 있지 않다. 같은 학구에서도 성적표의 발송 시기가 초등학교에서는 연 2 회이지만 중 · 고교에서는 4회로 되어 있는 곳도 있다. 학급의 학생수는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교외에서는 평균 20명 안팎이다. 수업은 1 ∼5학년까지 (학교에 따라 6 학년까지)는 담임이 특별 수업 (체조, 음악, 도공, ESL, 도서지도, 컴퓨터)을 제외한 모든 과목을 담당한다 5, 6학년에서는 산수, 이과 등이 전문교사에 의해 지도되는 곳도 있다. 필수 과목은 산수, 사회, 이과, 국어 , 음악, 체조, 도공이다.
1 ) 한국에 없는 특별 교과 및 지도법
① ESL(English as a Second Language)
외국인을 위한 특별 영어지도이다.
② 카운셀링 (가이던스)
심리면에 문제가 있다고 생각될 경우 학교 상담교사가 담임이나 부모와 협력하여 문제의 해결에 임한다. 친구 사귀는 법등에 관한 그룹 토론 지도도 한다
③ 리소우스 룸
보충교육의 필요가 없는 아이들에게 전문교사가 알기 쉽게 지도한다.
④리딩
읽기 능력이 부족한 아이들을 위한 특별 지도이다.
⑤발표
이야기하는 법에 문제가 있는 아이를 위 한 교정 지도이다.
⑥쇼우 앤드 텔
저학년에서는 아이들이 좋아하는 것이나 장난감 등을 집에서 갖고 오게 하여 그것에 대해 모두의 앞에서 설명하게 하고 질문에 응하게 한다. 2학년 이상이 되면 그 날의 뉴스를 발표케 하고 그것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게 한다.짧은 시간 안에 사람들이 이해하도록 화제를 정리하는 능력 , 사람들 앞에서의 발표력, 사회로 눈을 돌리게 하는 능력 등을 신장시킨다 이 밖에도 컴퓨터 교육 라이브러리 미디어 센터(각종 서적 연구의 방법, 교재의 사용법, 도서관 이용법 등을 배운다) 등이 있다. 학교에 따라서는 외국어 (주로 프랑스어 , 스페인어)를 채택하는 곳도 있다.
⑦ 낙제와 월반
미국에서는 낙제는 킨더가든부터 있으며 킨더가든을 두 번 되풀이하는 예는 흔히 있다.
그 반대로 학력이 우수한 아이는 학년을 뛰어 넘어 위로 진급하는 경우도 있다. 킨더가든에서 유급하는 예는 같은 학년에 서도 나이가 어린 경우가 많다(예컨대 유급 일시가 12월 말일의 경우, 10월에서 12월 경에 태어난 아이). 교사가 유급시키는 것이 낫다고 판단하면 그 취지를 문서로 부모에게 전하는데 부모가 수락하지 않으면 강제로 할 수는 없다. 어떤 이유로 유급을 권유받고 도저히 납득이 가지 않을 경우는 교사나 교장과 자세히 이야기를 나누는 것이 좋다.
2) 초등학교의 하루
① 시업, 종업시간 같은 학구에서도 학교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일반적으로 등교 8시 30분, 수업개시 8시 45분, 종업 15시이다. 학교까지의 통 학은 학구의 예산으로 운영되는 버스를 이 용하거나 도보. 자전거, 자동차 등의 방법이 있다. ② 충성의 맹세 미국 국기에 대한 충성의 맹세는 교사에 의해 매일 일과에 짜여져 있는 곳도 있는가 하면 강당 이외는 하지 않는 학급도 있다. 외국인 학생에게는 그것을 요구하지 않는 교사도 있다. 단, 여러가지 기회에 맹세를 할 경우가 많으므로 말을 외워두는 것이 좋다.
Pledge of Allegiance
I pledge allegiance to the flag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nd to the republic for which it stands, one nation, under God, indivisible with liberty and justice for all.
나는 미합중국의 국기에 대한 충성은 물론 이 국기가 상징하는 하나님의 가호아래 단일국가로서 분리될 수 없으며 국민 모두에게 자유와 정의를 주는 공화국에 대한 충성도 아울러 맹세한다.
③시간표
한 시간 수업은 약 45분이다. 단 학교 전체가 같은 시간표로 움직이고 있는 것은 아니므로 교사의 재량에 따라 길어지거나 짧아진다. 휴식 시간은 한국처럼 수업과 수업 사이에 5분이나 10분씩 쉬지 않고 단 한 번 20분간 쉰다.그 시간도 학년에 따라 다르다. 수업과 수업 사이에도 벨은 울리지 않으며 한국에서 수업 전후에 행하는 '기립, 경례' 등의 인사도 없다. 시간표는 교육위원회의 커리큘럼에 따라 강당에서의 집회나 특별수업 이외는 교사가 각 자의 재량으로 정한다 따라서 같은 학년일 지라도 커리큘럼의 진행법이 교사에 따라 전혀 다를 경우도 있다. 시간표는 대개의 경우 매일 교사가 칠판에 써서 알린다. 수업중에 화장실에 가고 싶을 경우는 교사에 게 허가를 얻는다
④점심
도시락을 주문할 수 있을 경우, 자택에서 점심을 들 경우, 카페테리아에서 지참한 점심을 먹을 경우 등 신청서에 보호자가 그 취지를 써서 서명한다. 교내에서는 카페테리아 또는 미팅룸에서 먹는다. 점심시간은 한 시간, 단 수용인원 관계로 각 학년마다 시간대가 정해져 있기 때문에 실제로 먹는 시간은 20분 정도이다. 나머지 시간은 밖에서 논다. 이 시간에 태도가 나쁜 아이가 주의를 받고도 고치지 않으면 학교에서의 점심이 허락되지 않는 경우도 있다. 도시락은 박스든가 아니면 튼튼한 봉지에 넣어 정확히 이름을 기입해 둔다. 유리그릇은 사용 하지 않는다.
⑤간식
각 학교에 따라 다르지만 킨더가든과 국민학교 저학년까지는 '스낵타임'이 있어,
간단한 간식을 학교에서 먹을 수도 있다.
⑤숙제
숙제는 3학년까지는 내주지 않도록 방침을 세우고 있는 학교가 많지만 최종적으로는 교사의 재량에 맡기고 있다. 한국인의 경우, 미국인 학급친구와 같은 양의 숙제가 부담스러울 때가 있으므로 필요에 따라 무리하지 말고 교사와 잘 상의해야 한다. 숙제를 부모가 도와 주면 이해가 빠르다고 판단하여 그 양이 늘어날 경우도 있으므로 아이 능력에 맞추어 하도록 하는 편이 좋다. 수면 부족으로 다음날 학교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도록 어린아이에게는 일정한 시간에 반드시 재우라고 교사들은 권한다.
(3) 초등학교에 대한 안내
①학교 시간대(School Hours)
아이들은 아침 수업이 시작되기 전과 점심 후의 오후 1시 전에는 교실에 들어갈 수 없다 수업시작 종이 울릴 때까지 안뜰이나 현관 앞 등의 지정 장소에서 또는 날씨가 나쁜 날은 1층 복도에서 기다린다.
② 교과서 (Textbook)
학교에서 대여하므로 구입할 필요는 없다. 단, 이것은 학교의 소유물이므로 커버를 씌워 소중히 다루어야 한다. 그리고 교과서에다 글씨 넣기나 낙서를 해서는 안된다. 집에는 가져가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파손하거나 잃어버렸을 경우는 벌금을 물리기도 한다. 그 밖의 학용품은 교사가 지정하는 것을 각자가 준비한다.
③ 결석(Absence from School)
학교를 쉴 경우는 오전 9시에서 9시 15 분 사이에 보건실에다 결석 사유를 전화로 알린다. 전염병의 경우도 반드시 보고해야 한다 보건실에서는 전염병으로 해서 감염되었을지도 모르는 다른 아이들의 부모에게도 그 사실을 알린다
④조퇴(Early Dismissal)
긴급시의 조퇴에는 부모가 서명한 문서를 학교 사무소에 제출하든가 부모가 직접
보건실에서 아이를 데려간다. 어떤 경우에도 아이가 혼자서 학교를 떠날 수 없다.
⑤ 악천후 일의 휴교 (Inclement Weather Information)
악천후로 인한 휴교, 또는 수업시작 시간 조정은 교육위원장이 결정한다. 그 경우 특정한 라디오 방송으로 그 결정이 알려진 다. 각 자모 회장(Class Mother)으로부터 연락이 올
경우도 있다.
⑥건강 진단(Health Examination)
미국의 대부분의 주 교육국은 모든 학생에게 입학시와 3, 7, 10학년에 진급할 때 건강진단을 의무화하고 있다. 10월 1일까지 주치의의 서명이든 진단서의 제출이 없을 경우, 학교 지정의가 검진을 실시한다.
⑦ 학생조사서의 변경 (Health Examination Information)
다음과 같은 내용에 변경이 있을 경우는 양호교사에게 문서로 그 취지를 빨리 보고 해야 한다. · 주소 또는 전화번호 · 가족구성 · 근무처의 전화번호 · 주치의· 부모 이외의 긴급 연락처의 전화번호 부모가 장기간 집을 비울 때는 그 이유와 누가 아이를 보살피는지 등도 보고해야 한 다. 가족 구성의 변경이 학생의 심리면에 영향을 주리라 생각될 경우는 학교직원, 양호교사, 상담교사 또는 교장에게 그 상황을 보고하기 바란다. 학교는 가능한 한 아이의 힘으로 익숙해지도록 애쓴다.
⑧장기 결석 경우의 숙제 (Homework for Prolonged illness)
교사는 통상 결석 때문에 학업이 뒤진 부분에 대해서는 아이가 출석한 시점에서 뒤진 부분을 만회하도록 지도한다. 결석이 3일 이상 계속될 경우는 오전 중에 학교에 그 이유와
내용을 연락하면 오후 3시 15분 에 정리하여 숙제를 입수할 수 있다
⑨성적표와 개인면담 (Report and Conference)
킨더가든 및 1,2학년의 아이들 부모에게는 1년에 두 번, 3 ,4, 5학년에게는 한 번의 정기적인 개인 면담이 있다. 성적은 연 3회의 보고서로 부모에게 통지해 준다. 이러한 정기면담과는 관계 없이 교사와의 대화를 희망할 경우 학교에 연락하면 언제라도 가능하다.
⑩자전거 통학(Bicycle Regulations)
학교에서는 안전을 기하여 3학년 이하의 아이들에게는 자전거 통학을 허가하지 않는다. 3학년 이상으로 자전거 통학을 희망하는 자는 PTA주최에 의한 강습회를 받고 그 테스트에 합격해야 한다. 모든 아이 들에게 헬멧의 착용을 장려하고 있다.
ⓐ스쿨버스(Bus Information)
학교에서 1.5마일 이상 떨어진 곳에 사는 학생은 지구의 재정으로 운영되는 무료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지구에서 정해 놓은 거리보다 가까이 사는 아이들에게도 이용할 수 있는 유료 버스가 있다.스쿨버스는 노란색으로 칠해져 있으며 차체에도 그 취지가 분명히 써 있다. 버스가 머물러 아이들이 내리고 탈 동안에는 상하 차선의 모든 차량은 정지하고 있어야 한다.
ⓑ스쿨 퍼포먼스(School Performance)
아이들은 연주, 연극 등 학교에서의 여러가지 공연(performance)에 참가한다. 대부분
학교시간대에 실시된다 관람할 때 는 다음 사항에 주의하기 바란다.
· 밤 연주에 참가하는 아이들은 어른과 함께 동행해야 한다.· 가족은 되도록 이면 같은 줄 좌석에 앉고 아이들은 부모의 감독하에서 행동한다.· 연주 중의 사진촬영은 다른 관람자에게 폐를 끼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 연주 후 학교 내에서 특정한 어린이의 꽃다발이나 선물 증정은 피한다.
ⓒ소풍(Trips)
소풍은 교과과정 강화를 위해 계획된다 소풍의 자세한 내용이 결정된 시점에서 아이들은 참가 허가서를 갖고 돌아간다. 자가용을 이용할 경우, 모든 아이들에게 안전띠를 착용케 하는 것이 의무화되어 있다.
ⓓ유실물(Lost and Found)
교내에서의 유실물은 모두 1층의 진열대에 보관되어 있다. 안경이나 액세서리등 작고
깨지기 쉬운 것은 사무실에서 보관한다. 상의 등에는 미리 이름을 분명하게 부착하기
바란다.
ⓔ 전화전언(Telephone Messages)
학교 사무실의 전화는 긴급시 외에 아이들이 시용하는 것을 금하고 있다. 아이들의
책임감 육성이나 불필요하게 수업을 방해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해서도 전화의 전언이
없도록 등교 전 아이와 확인해 둔다.
ⓕ잊고 온 물건 (Item Forgotten at Home)
아이가 집에다 놓고 온 도시락이나 악기 등은 수업을 방해하지 않도록 학교 사무실에
갖다 놓으면 된다.
ⓖ 학교 방문(Visitors)
학부모나 지구 주민은 언제나 학교를 견학할 수 있다. 단, 그 취지를 사전에 알려야 한다.
ⓗ그밖의 학교 행사
PTA 미팅 : 1개월에 한 번. 주로 밤에 학교에서 열린다. 임원이 아닌 사람의 참가도
장려하고 있으므로 학교 실정을 이해하기 위해서라도 가능한 한 출석하는 편이 좋다.
교육위원회 미팅 :
격주 월요일 밤. 학구 내의 모든 문제에 관해 이야기를 나눈다.
PT 카운실 미팅 :
집회는 격월. 학구내의 학교를 종합한 PTA가 공통된 문제의 대화나 각 전문가를 외부로
부터 초빙한다.
어셈블리(assembly) :
학교의 강당에서 열리는 집회
소풍(field trip) :
미술관, 동물원 등을 학교에서 전세 낸 버스(입장료, 교통비 등은 주로 학생부담)로 학부모가 운전하여 (운전자는 통상 클래스마더) 방문한다. 이 경우는 미리 아이를 통해 학부모에게 참가허가서를 보내므로 참가 여부 서명을 해서 학교로 되돌려 보낸다. 보호자의 서명이 없으면 아이는 소풍에 참가할 수 없다.생일파티 : 사전에 교사와 연락을 취한 후 당일 컵케이크 등을 맡겨 두면 학급에서
아이의 생일을 축하해 준다.
미국학교ESL과 외국어교육
외국 태생이므로 영어실력이 부족한 것은 당연한 일이다. 그런 학생은 LEP(Limited English Proficient) 학생이라 불린다. 이들 학생의 영어지도에는 ESL(English as a Second Language)자 바이링걸교육, 즉 2개국 병용(bilingual)이 있다. 캘리포니아주에서는 91년도부터 ESL이라는 호칭 대신 'ELD(English Language Development)' 를 쓰기 시작했다.
(1) ESL프로그램
ESL은 영어를 모국어로 하지 않는 아이 들의 특별 지도를 위해 1960년대부터 공립학교 에서 널리 쓰여지고 있다. 뉴욕주 법은 학교에 LEP 학생이 한 사람이라도 있으면 ESL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그리고 바이링걸 교육에 관해서는 같은 모국어를 사용하 는 LEP학생이 한 학년에 20명 이하일 경우 그 지구의 방침에 맡긴다고 되어 있다. 거의 대부분의 한국인 학생이 받고 있는 것은 ESL 프로그램이다.전문 ESL 교사가 학교에 상근하고 있는 곳도 있는가 하면 인원 관계로 한 교사가 학구 내의 몇 개 학교를 돌거나 특정 학교에 학생을 모아 시행하고 있는 지역도 있다.
1 ) 프로그램의 목적
① 효과적인 전달 능력을 육성하기 위한 듣기 , 말하기 , 읽기 , 쓰기의 지도. ② 영어 음성의 지도.
③ 어휘 늘리기 지도. ④ 영어의 기초나 개념을 이해시킨다.⑤ 다른 문화나 다른 말이 지니는 가치나 훌륭함 등에 대해 이해시킨다 ⑥ 학생에게 자신감을 준다.
2) ESL의 레벨(level) 나누기
ESL 학생은 우선 입학과 동시에 또는 늦어도 1주일 이내에 ESL교사와 면담을 한다. 이때 언어 평가 테스트를 받고 그 결과로 ESL의 어느 단계에 들어갈 것인가가 결정된다. ESL은 다음 3단계로 나뉘어진다.
① 레벨1 (초급)
전혀 또는 거의 영어 실력이 없는 학생
② 레벨2(중급)
기초적인 어휘나 일정한 전달능력이 있지만 충분히 이해하기까지는 이르지 못한 학생
③ 레벨3(상급)
말하기나 듣기는 문제가 없지만 정확한 읽기와 쓰기는 도움을 필요로 하는 학생 한국인의 경우는 거의 레벨 1에서부터 출발한다.
3) ESL의 시간
ESL의 하루 교과과정은 학년에 따라 차 이가 있다. 초등학교에서는 하루에 30분에서 1시간, 중 ·고등학교에서는 초기 단계 때는 특별학과(음악, 체육, 미술)나 수학 수업을 제외하고 거의 대부분 ESL 학급에서 보낸다. 학급 인원은 5∼8명 안팎이다. 학생들은 그 실력 정도에 맞추어 구두 및 필기 시험이 있으며 능력에 따라 초급에서 중급, 상급으로 나아간다. ES교의 졸업은 시험 성적과, 읽기시험, 및 ESL 교사, 담임 교사의 평가 결과로 결정된다.ESL을 받는 기간은 연령이나 학생의 능력에 따라 큰 차이가 있으며 완전히 영어를 구사하는 데는 5∼7년 걸린다는 견해도 있다 그러나 실제로 초등학교의 ESL은 약 2, 3년으로 수료하고 그후 복습이 필요할 경우는 교사의 지도를 받는다.
4) 지도법
ESL에서는 문법 어휘, 음성, 문장 구 성 등을 별개로 학습시키는 것이 아니라 학교, 가정 등 학생 주변에 있는 것을 교재로 사용하여 자연스럽게 영어에 친숙해지도록 한다. 초기의 단계에서는 자기 소개, 인사법, 주나 달, 계절의 이름, 색이나 모양 숫자 세는 법, 몸의 부위나 학교에서 흔히 쓰는 물건의 이름 등을 기억시키는 것부터 시작, 아이의 이해력에 따라 빨리 정규수업에 따라갈 수 있도록 학급의 교과과정 내용과 병행한 지도를 한다.
(2) 바이링걸(Bilingual) 교육
바이링걸 교육은 미국의 공립 초등학교에 영어를 상용어로 하지 않는 아이들의 수 가 늘어난 1965년에 초 중등 교육법이라 는 형식으로 연방 정부로부터 원조가 나온 것이 계기이다. 1968년에는 2개 국어 병용 교육 조례가 제정되었으며 새로운 교육프로그램으로 발족했다 이 때의 바이링걸 교육의 목적은, 교육은 영어로 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고, 기초 과목 지도에는 영어와 아이들의 모국어인 2개 국어를 쓴다는 것이며 그 운영은 각 주가 임의로 하도록 되어 있었다. 그러나 1974년, 중국인 라우 씨가 제기한, 영어를 모르는 아이들에게 영어를 모국어로 하고 있는 아이와 같은 커리큘럼을 부여하는 것은 교육의 기회균등 등의 정신에 위배된다는 내용의 소송사건으로 말미암아 이 프로그램은 의무화되었다.뉴욕주 법은 한 학년에 같은 모국어를 사용하는 LEP 학생이 20명을 넘을 경우, ESL 프로그램을 포함한 바이링걸 교육을 실시해야 한다고 되어 있다
1 ) 지도법
① Maintenance :모든 과목을 양국어 (영어와 모국어)로 가르치는 것을 말한다. ② Transitional : 영어로 행해지고 있는 수업지도를 따라갈 수 있을 때까지의 기간 동안 모국어로 도우면서 영어나 그 밖의 과목을 가르친다. 지도 내용은 영어를 빨리 , 바르게 읽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음성학 (Phonics)의 지도, 그리고 영어의 어휘를 늘리는 지도가 있으며 이것은 영문을 읽어 의미를 알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이다.한국인이 받는 바이링걸 교육은 거의 여기에 속한다. 이 경우 아이들은 보통 수업을 받으면서 하루 중 일정 시간을 ESL 프로그램과 바이링걸 교사의 보충수업으로 보낸다.
미국공립중학교
초등학교에서 중학교로 진학할 때 학교 생활에 여러가지 불안을 갖는 아이들이 있다.
여기에서는 그들을 위해 한국과 다른 미국의 공립 중학교의 개요와 교육 내용,연간 행사를
알기 쉽게 소개한다.
(1) 개요
1) 학년
미국의 중학교는 6학년부터 시작하는 곳이 있는가 하면 7학년부터 시작하는 학교도 있다 모두 중학 1학년이라 하지 않고 6, 7,8학년이라 한다.
2) 학교의명칭
주니어 하이 스쿨,미들 스쿨, 인터 미디 에이트 스쿨과 같이 학교에 따라 각기 다르다.
3) 홈룸
1교시 수업 전에 홈룸에서 담임교사와 10분 정도 이야기를 나눈 뒤 각기 스케줄에 맞추어 각 교과마다의 교실로 향한다. 각 교과는 각기 전문 교사가 담당한다. 학교에 따라서는 홈룸의 시간이 없는 곳도 있다.
(2) 커리큘럼
1) 6학년
수학, 자연과학, 영어, 사회 음악, 체육, 도공(도화나 공작)의 7교과가 있다. 음악은 일반 음악, 오케스트라, 밴드, 코러스 중에서 선택하면 된다. 체육, 도공은 '흠 앤드 캐리어 스킬(재봉, 요리, 찬장 수리 등의 일상 생활상의 기초적인 기술)', '테크놀로지' , '아트'로 나뉘어 1학기마다 순번으로 학습한다. 성적표는 연 3회 발송한다.
2) 7,8학년
위의 과목 외에 외국어(프랑스어 아니면 스페인어를 선택)가 추가된다. 수학, 영어 , 자연과학, 사회, 외국어를 사용 과목이라 부른다. 이 밖에 컴퓨터, 연설, 연극, 보건 위생 등이 있다.
(3) ESL 학생의 경우
처음에는 ESL 이외에 음악, 체육, 도공 수학, 자연과학의 수업을 받지만 ESL 교사,
카운셀러 , 각 교과 담임교사가 형평을 봐가면서 서서히 그 밖의 사용 과목에도 참여시킨다. 학교 방침이나 학생의 능력, 교사의 의견 등에 따라 그 시기는 각기 다르다.
미국공립고등학교
미국의 고등학교 생활은 학교에 따라 여러가지 특색이 있다. 수업 이외의 클럽이나 자원봉사와 같은 활동에도 큰 비중을 두고 있다. 그런 면에서도 한국과 다른 여러가지 시스템을 다음에 소개하겠다.
(1) 개요
미국의 고등학교는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9학년부터 12학년까지로 되어 있는 곳이 많다. 한국의 중학 3학년부터 고교 3 학년까지에 해당하는 연령층이다. 고교에 서는 시험으로 학생을 뽑아 특수 교육을 하 는 곳도 있지만 일반적으로 학구 내의 학생은 무시험으로 진학하며 수업료도 없다. 학구의 수준은 대학 진학률, 커리큘럼의 수나 질, 전국 또는 주 평균에 비교한 성적 등으로 평가하기 때문에 우수하다고 일컬어지는 학구는 고등학교가 좋다고 보아야 한다.
따라서 교육 수준이 높다고 일컬어지는 학구에서도 저학년의 교육은 그 밖의 인근 학교에 비해 큰 차이가 없을 경우가 많으므로 단기 주재 특히 아이들이 초등학교, 중학교 기간 동안만 미국에 체류하는 한국인은 학구선택 때 이 점도 고려하는 편이 좋다.1년은 시메스터 (semester)라 불리는 두 학기로 나뉘어져 있으며 1학기는 9월에서 1월 하순까지, 2학기는 2∼6월까지이다 고등학교에서 는 9학년을 프레시 맨 (freshman), 10학년을 소포머(sophomore) 11학년을 주니어 (junior) , 12학년을 시니어 (senior)라 부른다. 졸업에 필요한 과목이나 학점은 학교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다.
(2) 가이던스 서비스
고교에는 가이던스(Guidance Office) 기관이 있으며 학생과장(dean)이나 가이던스
카운셀러라 불리는 교과담당 이외의 교사가 대학 진학에 필요한, 이수해야 할 과목 등을 지도한다. 학생과장은 이러한 입시를 위한 상담뿐만 아니라 4년 동안 학생의 담당교사가 되며 상담자 역할을 한다. 성장과정에서 일어나는 여러가지 문제나 가정에서의 문제, 지망 대학의 선택 등에 대해서 필요에 따라서는 보호자와 상의해가며 상담에 응한다. 학생은 고교에 들어가면 동시에 각자의 학생과장을 소개받으며 졸업때까지 같은 학생과장의 지도를 받는다. 학생과장은 각 교과의 교사와도 밀접한 관계를 유지한다.
보호자는 정기적인 면접 때 뿐만 아니라 예컨대 아래에 열거한 경우, 또는 다른 사정으로 의논하고 싶을 때 는 언제나 학생과장과 연락을 취할 수가 있다아이에 관해 어떤 걱정이 있을 때 아이의 학교 생활에 관해 알고 싶을 때가정 문제를 학교에 알리고 싶을 때 성적표를 갖고 오지 않았을 때 개인적으로 의논하고 싶은 일이 있을 때아이가 선택한 과정이나 스케줄에 관해서 질문이 있을 때
졸업에 필요한 과목과 학점
고교를 졸업하기 위해선 18.5학점과 4 년 동안의 체육을 이수한 뒤 뉴욕의 경우 뉴욕 주 졸업자격시험 (Regents Competency Test)에 합격해야만 한다. 1학점은 통상 주 4회의 수업을 1년 받은 뒤 취득할 수 있다. 그러므로 1학점은 그 과목을 1년간 공부하는 것으로 여기면 된다(체육은 예외). 18.5학점중 필수 과목이 15학점이다. 그 밖의 것은 3.5학점을 각자 선택한다. 매년 가을에 다음해에 수강할 과목을 선택하고 1월에서 3월 사이에 실시하는 학생과장과의 면담 때 최종적으로 결정한다.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으므로 이것은 어디 까지나 한 예에 불과하다.
(3) 과목선택의 실제
1) ESL 학생의 과목 선택
입학과 동시에 ESL 교사나 학생과장과 면담하여, 영어 능력 평가 테스트를 뱓고 그 결과에 따라 일반 영어, 혹은 ESL에 들어가는 것이 결정된다. 사회나 과학도 처음에는 쉬운 영어이기 때문에 ESL 사회(social study), ESL 과학(science)을 수강한다. 이 경우의 학점은 일반수업과 같다. 수학, 체육,음악,미술에 대해서는 이반 학생과 똑같이 받는다. 교실의 공간문제로 영어 실력이 충분치 못한 학생이 일반 영어반에 들어갈 경우 성적표의 평가는 단지 합격(pass) 또는 불합격(fail)으로만 기재된다.
사회나 과학의 보통 수업의 이행 시기에 대해서는 ESL 교사나 학생과장, 각 학과 담당교사와 상의해서 결정한다. 이 경우에도 보통 평가가 어려울 경우에는 시기가 올 때까지 성적표의 평가는 합격 또는 불합격 분이다. 일반학생은 미리 지망 학교가 요구하는 과목이나 학점을 알아보고 학생과장과 상담하면서 필요한 과목을 이수하지만 한국인(또는 유학생)의 경우 영어에 익숙해지는 것이 선결 문제이므로 우선 고교졸업의 최저한의 자격취득을 위해 무리없는 과목부터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성적표 발송시기
. 제1회 : 11월 중순. 제2회 : 2월 하순. 제3회 : 4월 중순. 제4회 ; 6월 초순 성적표의 최초의 3회는 홈룸에서 12,2,4월에 직접 학생에게 건네지고, 마지막 1회는 학교가 끝난 1주일 후에 가정으로 우송된다. 성적표는 서명을 하고 학교로 되돌려 보낼 필요가 없다.학부모와 약속으로 가정에 성적표 이외의 중간 보고를 하는 교사도 있다. 학교는 학생의 성적 등으로 교사나 학생과장과 이야기를 나누기를 희망할 경우 언제라도 그 취지를 연락하도록 보호자에 장려하고 있다.
3) 코스를 도중에 포기할 경우
신중한 코스 선정에도 불구하고 도저히 따라갈 수 없어 도중에 그만두어야 할 경우는 학생과장이나 교과 담당 교사에게 알린다. 무단으로 그만 두면 '인정할 수 없는 결석' (교칙 ·결석의 항 참조)으로 다루어 지며 징계의 대상이 된다. 도중에 코스를 그만 둘 경우의 규칙은 다음과 같다.
1년 코스
①제 1학기 전반기일 경우는 성적증명서에 기록을 남기지 않고 그만둘 수 있다 ②제 1학기 후반기의 성적표 발송 후 1 주일째까지 코스를 그만 둘 경우는 성적증명서에 W로 기재된다. 6개월 과정①최초의 5주간은 기록을 남기지 않고 그만 둘 수 있다②제1학기 또는 제 2학기 전반기의 성적표 발송 후 1주일 이내에 그만 둘 경우는 성적증명서에 W로 기록된다. 여름학교(Summer School)불합격이 된 과목이나 학점을 늘리고 싶은 과목에 대해서는 여름에 코스를 취득할 수 있는 것도 있다.
AP(Advanced Placement) 코스
대학의 학점을 취득할 수 있는 코스로서 이를 위해서는 수강 이외에 AP 테스트를 치러야 한다.
(4) 주의 졸업자격 시험의 개요
1 ) 주의 졸업자격 시험
뉴욕 주 교육성은 모든 학생에게 고교를 졸업하는데 독해(reading), 수학(math), 작문 (writing), 미국사와 정부, 과학 (science), 세계학(global study)시험에 통과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주 졸업자격 시험(Regents Competency Test)과 Regents Exaination은 연 3회 , 1, 6, 8 월에 실시한다.8월에 시험을 치를 경우는 과목 중에서 시험을 치르지 못하는 것도 있다. 대학에 따라 주 자격시험에 합격하지 못했을 경우는 학생과장에 의해 보충수업이 이루어진다. 이 시험은 주가 발행하는 졸업증서 (Regents Diploma)와는 전혀 관계가 없다.
2) Regents Competency Test 주가 정한 졸업자격 시험이다.
3) Regents Examination
주가 발행하는 졸업증서 (Regents Diploma)를 취득하기 위한 시험이다. 졸 업을 위해
반드시 받아야 하는 것은 아니지만 대학에 따라서는 이 증서를 요구하는 곳도 있다.
그 필요성에 대해서는 학생과장의 지도를 받는다.
4) 학력검사(Achievement Test)
뉴욕 주에는 각 학교의 졸업증서 이외에 주가 발행하는 졸업증서가 있다. 이것을 받기 위해서는 학교가 정한 졸업자격 이외에 다음 2항목을 충족 시켜야 한다. - 외국어 3학점 - 'Regents Examination' 에 합격할 것 (시험 과목은 영어, 미국사와 정부, 세계학, 과학, 수학, 외국어)
5) Regents Competency Test의 내용
-독해(Reading) ① SAT(Scholastic Aptitude Test) (대학수험 참조) . 영어 310점 이상. ②독해 주 자격 시험에 합격 . ③ 영어의 Regents Examination 합격 .④ ACT(American College Test) [대학수험 참조]. 사회과학(social science) 문장 문제로 9점 이상.⑤ ACT 자연과학 테스트 15점 이상.
-수학(Mathematics)① SAT 수학 350점 이상 ② 수학 주 자격 시험 또는 Regents Examination에 합격 .③ ACT 수학 테스트 12점 이상. - 쓰기(Writing)① SAT 영어 310점 이상.② 독해 주 자격 시험 또는 영어의 Regents Examination에 합격 ③ACT영어 관용법 테스트 12점 이상.
- 미국사와 정부
① Achievement Test(대학수험 참조) 미국사 410점 이상.②미국사와 정부의 주 자격 시험 또는 Regents Examination에 합격 - 과학(Science)① Achievement Test 생물학 500점 이상이나 화학 500점 이상 또는 물리 500점 이상. ②과학 주 자격 시험 또는 Regents Examination에 합격.- 세계학(Global Study)① Achievement Test 유럽사 430점 이상. ②세계학 주 자격 시험 또는 Regents Examination에 합격 .
6) 예비 자격시험 (Preliminary Competency Test)
주 자격시험에 익숙해지기 위해 9학년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예비자격시험으로 6, 7, 8학년에서 실시된 시험성적이 우수한 학생 이외의 학생이 치른다. 시험을 치를 필요가 있는 학생에게는 지도부에서 가정으로 연락한다. 시험에 합격하지 못했을 경우는 학생과장이 적절한 보충 수업을 진행한다
미국대학수험준비
대학에서 요구하는 학점이나 과목에는 학교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또 매년 변경되는 사항이 많기 때문에 학교에서는 각기 진로에 따라 다양하고 세심한 지도를 하고 있다. (1) 대학 진학을 위한 고교생활 대학입학 준비 및 고교졸업 자격 취득을 위한 과목 선택은 정식으로 8학년 봄부터 시작된다. 9학년을 대상으로 한 봄학기의 고교 설명회에서는 대학에 대한 개략적인 설명도 있으며 양친과의 개인면담 때 학생과 더불어 다음 해의 과목을 선택한다.8학년에서 학점을 취득할 수 있는 과목도 있으며 그것은 최종적으로 졸업 자격 학점에 포함된다. 학생과장과의 4년간을 통한 수험 준비는 다음과 같다.
1) 9학년
①프레시맨 세미나(Freshman Seminar)모든 9학년은 매주 1회 학생과장에 의한 세미나를 받는다. 이 세미나에서는 건물이나 교칙의 안내로부터 졸업 또는 대학에 필 요한 과정의 개략적인 설명 , 마약이나 알코올의 위험성 등에 대한 토론이 있다. 이 밖에 학생과장과 학생 간에 밀접한 관계를 만드는 것도 주요한 목적으로 되어 있다. ② 리포트카드 앤드 프로그레스 리뷰 (Report Card and Progress Review)성적표를 검토하면서 앞으로의 학습방침 등을 상의한다 ③ 프레시맨 코스 플래닝 콘퍼런스 (Freshman Course Planning Conference)'Achievement Test' 의 결과나 이제까지의 성적을 바탕으로 대학에 가기 위해 이수해야 할 코스 등에 대해서 보호자와 더불어 상의한다.
2) 10학년
①스케줄 앤드 프로그램 리뷰 (Schedule and Program Review)현재 받고 있는 코스에 대해 학생과장과 재검토한다. ② 리포트카드 앤드 프로그레스 리뷰 (Report Card and Progress Review)성적표를 검토하면서 앞으로의 학습방침 등을 상의한다 ③ 캐리어 어웨어네스 프로그램 (Career Awareness Program)각자 장래의 직업에 대해 학생과장의 지도하에 소그룹으로 토의한다. ④코스 플래닝 콘퍼런스 (Course Planning Conference) 다음 연도의 코스에 대해 학생과장과 상의한다. 학생과장은 보호자에게 다음과 같은 결과를 우송하고 서로의 의견을 교환한다.a. 10학년 전원이 받는 표준테스트 SCAT(School and College Ability Test)의 결과 b. 표준 테스트의 결과나 이제까지의 성적에서 고려되는 대학의 레벨 c. 학생과장과 학생이 선택한 다음 해의 코스
3) 11학년
①스케줄 앤드 프로그램 리뷰 (Schedule and Program Review)② 칼리지 플래닝 이브닝 (College Planning Evening) ③ 학교의 대학 설명회 ④ 주니어 칼리지 플래닝 그룹(Junior College Planning Group)학생과장의 지도하에 소그룹으로 나뉘어 대학신청의 시기, 받아야 할 테스트의 종류, 면접 방법 등에 대해서 상의한다.⑤칼리지 플래닝 콘퍼런스 (College Planning Conference) 1월에 학생과장으로부터 'College Planning Packet'이 건네지며 정식 지망 학교 선정이 시작된다. 그 뒤 학생과장, 학생, 보호자의 3자가 지망 대학에 대해서 논의한다. SAT, ACT의 수험시기에 대해서도 확인한다.
11학년의 봄방학은 대학 방문의 좋은 기회이다 * College Planning Package 내용 a. SAT/ACT(후술)안내와 신청서b. 11, 12학년의 예정표 c. 에세이 쓰는 법 d. 면접받는 법 e. 학비 보조를 받는 법 f. 지망학교를 결정한 뒤 방문, 면접에 이르기까지의 각 과정에서 알아야 할 사항 ⑥코스 플래닝 콘퍼런스 (Course Planning Conference) 다음 해의 코스에 대해 학생과장과 상의한다.⑦ 인디비쥬얼 폴로업 세션 (Individual Follow-up Session)각 학생들이 안고 있는 문제에 대해 상의한다.
4) 12학년
①칼리지 플래닝 콘퍼런스 보호자와 더불어 최종 지망학교를 정하고 각 대학의 원서 접수 일정을 확인한다. ②시니어 트랜지션 프로그램 (Senior Transition Program)지망대학이 정해진 12학년 끝에 하는 프로그램이다. 가정이나 친구로부터 떠나는 문제, 대학에서의 문제나,룸메이트의 문제 등,9학년에서 했던 여러가지 토의를 이때에는 대학생활에 대해서 한다. ③ 칼리지 앤드 캐리어 센터 (College and Career Center)가이던스부와 PTA가 공동으로 운영하며 모든 대학의 안내서나 필요 서류, 비디오, 장학금이나 학비보조 취득의 방법 등이 학생이나 학부모, 교사를 위해 비치되어 있다. 직업훈련 학교나 군대의 정보, 고교생을 위한 전국 캠프나 하계 행사 등도 망라되어 있으며 관계자이면 누구나 이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2) 수험에 필요한 사항들
1 ) 미국 대학의 입학 심사 기준
미국의 대학은 입학 심사 기준으로 많은 요소를 고려한다. 명문 대학교일수록 우수한 학생이 많이 모이므로 선발은 매우 어려 운 과제이다. 그 중에서 특히 중요시하는 것은 영어, 사회, 수학, 과학, 외국어 등의 일반교양 과목의 과정이다 심사 대상 항목은 아래와 같다. 그 중의 무엇에 중점을 두느냐는 각 학교에 따라 차 이가 있다 ① 프로그램의 질② 코스의 레벨(Ⅰ,Ⅱ,초급,상급등) ③각 교과 평균점 ④ 대학입시 테스트의 성적 (SAT, ACH. ACT 등) ⑤과외 활동의 종류, 내용⑥신청방법 , 면접 태도⑦ 스포츠 활동이나 우등생으로 받은 상의 종류나 수⑧ 학생과장(카운셀러) 추천장의 내용⑨교사 추천장의 내용⑩ 에세이⑪ 가족중에 이 학교 졸업생이 있는지 여부⑫ 인종, 소수 민족⑬특별한 재능이 밖에 대학 진학에 필요한 학점을 취득했는지 여부가 대전제가 된다. 다음에 이들 요소 중에서 대학 진학에 필요한 학점에세이, 추천장, 각종 시험의 순으로 설명하겠다.
2) 대학 진학에 필요한 학점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일반적으로 요구하고 있는 학점은 16학점이다. 이중 13학 점은 하기의 필수과목, 나머지 3학점은 일반교양 과목에서 선택한다· 영어 -4년· 수학-2∼3년의 대학 진학 과정(기하, 대수 Ⅱ를 포함) · 외국어-2년 이상 · 과학-2∼3년(1년의 실험을 포함) · 사회-2년 이상
3) 에세이 작성법
에세이도 수험준비의 큰 요소이므로 11학년부터 가정의 배경이나 취미, 흥미 있는 것,
과외 활동의 개요,지망학교에 대해 품고 있는 바램이나 장래의 계획 등에 대해 쓰도록
지도한다.
에세이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① 학생과장(카운셀러)이 추천장을 쓸 때 도움이 된다.② 학생 자신의 지망학교에 대한 생각을 정리하는 데 도움이 되며 신청서를 쓸 경우 연습이 된다(잘된 에세이는 그대로 수험 때 사용할 수 있다) . 4) 학생과장(카운셀러)의 추천장 학생이 신청한 대학에는 학생과장의 리 포트나 추천장이 따로 보내지게 된다. 이것에는 성적표의 설명이나 학생의 성격, 장점, 단점, 학습태도 등이 기록된다. 리포트는 지망학교에 학생을 받아 주도록 지도를 통한 관찰이나 교과 담임교사의 리포트, 학생 자신이 쓴 에세이 등을 바탕으로 가능한 한 호의적으로 쓴다.
(3) 입학준비
시험 일람 미국의 입학시험은 전국적으로 동일하게 시행되며 ,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1 ) Preliminary Scholastic Aptitude Test/National Merit Scholarship Qualifying Test(PSAT/NMSQT)PSAT는 10월에 한번 실시하는 예비 시험이며 11학년 학생들이 치른다. 성적이 우수한 자에게는 12학년이 된 뒤 내셔널 메리트의 추천장이나 준 최종 합격자로 뽑혔다는 통지가 온다. 준 최종 합격자는 내셔널 메리트 스칼라십상에 응모할 수가 있다. 최종 심사에 합격한 사람에게 장학금이 수여된다. PSAT는 SAT와 달라 결과는 신청대학에 보고되지 않는다.
2) Scholastic Aptitude Test(SAT)
미국의 'College Board'가 작성하고 ETS(Educational Testing Service)가 실 시하는 영어 (90분)와 수학(60분)과 응용 테스트(채점대상 외)로 구성된 대학 공통 입학시험으로, 영어는 어휘 , 독해력을 보는 것이며 수학은 평균적인 수학 수준을 보는 것인데, 이는 시험으로 한국의 중학 3학년부터 고교 1학년 수준이므로 한국인에게는 점수가 잘나오는 과목이라 할 수 있다. 그 밖에 표준 영어의 응용력을 보기 위해 필기 시험이 있다
10월에서 6월까지 1, 2개월에 한 번 토 요일 오전 중에 실시하므로 몇 번 응시해도 되지만 성적은 모두
미국의 연방헌법에는 교육에 관한 규정은 없으며 교육에 관한 권한은 모두 주이 하의 기관에 맡겨져 있다 주의 교육에 대 한 관여방법은 각 주마다 다양하여 뉴욕이 나 캘리포니아 등과 같이 비교적 적극적으로 관여하는 곳이 있는가 하면 그렇지 않은 곳도 있다 주 내의 교육에 적극적으로 관 여하는 뉴욕 주의 경우에는 일정한 커리큘럼 기준을 만들어 해마다 그에 따른 시험을 실시하고, 그 결과 주 내의 각 지방 교육위원회 또는 학교 당국에 커다란 영향력을 행사한다.캘리포니아의 경우에도 주에서 교과서나 교재를 선정하여 각 지방에 추천하는 등 그 영향력이 다양하다.주 아래에는 지방교육구(Local School District)가 있는데 그 수는 현재 전국에 약 1만 7천 구에 이르고 있다. 하와이 주와 같이 주 전체가 한 개의 교육구를 이루고 있는 주, 네브래스카 주와 같이 1천350개의 지방교육구를 갖고 있는 주, 일리노이 주와 같이 초등학교와 중학교를 관리하는 교육 구가 각각 다른 주 등 매우 다양하다.미국의 교육은 지방분권이 원칙이다. 우리나라로 말하자면 최말단의 지방 교육위 원회나 각 학교가 교육에 관한 모든 정책을 입안하여 실시하고 주나 연방은 재정적으로 혹은 특정한 영역에서 이를 후원하는 시스템으로 되어 있다.
(1) 미국의 의무교육 의무 교육의 연한은 각 주의 법률에 맡기고 있어 일률적이지 않다
이전에는 대부 분의 주에서 의무 교육을 7∼16세까지 9년 동안이며 , 초등학교에 입학할 수 있는 연령은 6세였으나, 현재는 유치원(킨더가든)에 서 고등학교까지의 12년 동안으로 정하고 있는 주가 많다. 단 킨더가든과 고등학교는 준의무 교육으로서 받아들이고 있는 듯 하다. 학제는 역사적으로 보아 8-4제가 많았으나 지금은 6-3-3제가 많아지고 있음을 볼 수 있다.
(2) 미국의 취학제도(유아에서 성인까지)
· 6개월∼3세 : 프레너스리(prenursery), 3∼ 4세의 너스리스쿨(nursery school)등이 있으며 이들은 한국의 보육원에 해당한다. 또 이 기간 동안을 탁아소(데이케어 센터 )에서 지내는 경우도 있다. · 4∼5세 :유치원에 해당하는 킨더가든 (kindergarten)에 들어간다 이것은 초등학교에 병설되어 있을 경우가 많고 준의무 교육화되고 있다. · 6세부터 : 초등학교(elementary school, grade school)에 입학, 중학교 (junior high school), 고등학교(high )로 이어진다.미국에서는 한국과 같은 6-3-3제 이외 에 5-3-4, 6-6, 8-4제 등이 있으며 그것에 따라 호칭도 다르다. 예컨대, 6존제에서는 초등학교 6년 동안을 마친 뒤 중 고등학교가 함께 있는 세컨드리 스쿨(secondary school)에 들어간다. 이런 사정도 있고 해서 어린이의 학년은 초등학교 1학년에서 고등학교 3학년까지 이어서 부른다. 예컨대, 중학교 3학년이라 부르지 않고 9학년 이라고 한다. 고등학교 졸업 후는 단과대학(college) 이나 종합대학(university) 외에 의학, 법 학 등의 전문대학, 직업 전문학교 등의 고등교육기관이 있다.2년제 대학을 졸업한 자는 4년제 대학의 3학년에 편입이 가능하다. 4년제 대학 졸업 후는 대학원의 석사과정, 박사과정이 있다.
미국의 자녀 교육은 어릴 적부터 자립시 키는 교육을 중요시한다 그 때문에 미국 가정에서는 세 살짜리 어린아이라도 자기는 무엇이 하고 싶다든가 무엇이 필요하다는 등의 표현이나 행동을 스스로 할 수 있도록 엄하게 훈련시킨다. 한국 어머니들처럼 하나에서 열까지 모두 돌봐 주는 일은 미국 유아교육에서는 통용되지 않는다. 한국 유치원 중에는 유치원에 입학하기 전에 자기의 몸치장, 손씻기, 양치질, 코푸는 일, 용변처리 등을 스스로 해야한다는 조건이 있는데 미국의 유치원에서는 세 살 까지 이와 같은 일을 할 수 있는 것은 당연 지사이며 교사는 아이들과 함께 놀며 심신의 발달을 촉진하지만 아이들의 뒷바라지는 하지 않는다
그것은 교사가 아이들을 돌보지 않는다는 뜻이 아니라 아이들이 스스로 해 나가는 것을 지켜보는, 어디까지나 아이들의 자발성 , 독립심을 기르는 것을 중시하는 교육이기 때문이다. 그러한 의미에서도 유아가 있는 부모는 미국 교육에 관심을 갖고 유아 시설의 실태를 잘 이해해 둘 필요가 있다. 데이케어 센 터 , 너스리 스쿨, 프레 스쿨, 킨더가든 등은 한국의 보육원이나 유치원에 해당하는 미 국의 유아 교육기관이다. 다음은 그 특징과 이용할 때의 주의할 점이다.
(1) 교육기관의 종류
1 ) 데이케어 센터
맞벌이 부부가 안심하고 아동을 맡길 수 있는 기관으로 생후 6개월엔서 4, 5세 아 동을 맡는 곳도 있다. 기본적으로는 공립과 사립이 있으며 공립은 수업료가 무료이다 그러나 경제적으로 여유가 없는 가정이 우선이므로 한국인은 대상에서 제외되는 경우가 많다. 한편 사립은 연간 2천∼6천달러이며 또 공립, 사립 모두 오전이나 오후에만 맡는 경우와, 8∼ 18시의 종일 보육이 있다. 현재 보건국 허가를 지닌 공인 센터와 비공인 센터가 있으므로 가능한 한 공인 센터를 선택하기 바란다.
2) 너스리, 프레스쿨
데이케어 센터와 마찬가지로 공립은 무료이지만 연수 제한에 의한 우선권이 있으므로 한국인의 경우 들어가지 못하는 경우 가 많다. 한편 사립에서는 연간 3천∼8천 달러의 비용이 든다.코스별로 매일 오전중에만 맡는 반나절 코스와 주 2, 3회 주간에만 2시간 남짓 맡는 코스가 대부분이며 부모의 보살핌이 필 요하다. 또 지역에 따라서는 읽기, 쓰기와 컴퓨터를 포함한 보육 교육을 실시하는 곳도 있다.
3) 킨더가든
미국의 킨더가든은 의무교육으로 초등학교에 병설되어 있으며 학구 내의 주민은 절 차만 밟으면 누구나 입학할 수 있다. 또 유 치원 교육에 대한 사고방식은 초등학교 입 학 준비를 위한 교육 내용이 대부분인데, 표현력 , 언어력 , 숫자 등 한국과는 그 내용이 차이가 난다. 학생수는 지역에 따라 다르지만 공립이 많고 한 반에 30∼40명 안팎이다. 이에 비해 사립은 한 반에 10∼15명 안팎이며 선생은 2명 이다. 개성을 살리는 교육을 지향하고 있는 학교가 많다.비용은 사립학교와 마찬가지로 연 간 3천500∼ 1만 달러 이다. 미국에서는 집단 속에 서 함께 행동하는 것이며, 보다 더 다른 사람과 틀린 자기다움을 발표하는 훈련을 중 시하고 있다.
(2) 유아교육기관 찾는 법
① 친구나 가까운 사람들로부터 정보를 얻는다.
② 전화번호부나 광고를 참고로 하여 직접 전화를 걸어 예약을 하고 학교를 보러 간다.
③ 한 곳만 아니라 여러 곳을 찾아 본다
④ 판단하기 어려울 때는 카운셀링을 하고 있는 전문기관에 상담한다. 회원 제로 정보를 제공하고 자세한 조언도 해 준다
미국공립학교
사는 지역에 따라 거의 자동적으로 공립 학교가 정해지므로 학교선택은 어디에 사느냐를 정하는 것이기도 하다 그래서 사전의 정보 수집이 중요하다. 공립학교의 특색을 잘 이해한 뒤 실제로 자기 자녀에게 걸 맞는 학교를 찾아 나서기 바란다.
(1) 특징
미국의 공립학교가 한국의 그것과 기본 적으로 다른 점은 미국에서는 한국의 교육부와 같이 교육 전체를 총괄하는 기관이 없다는 것이다. 연방정부의 교육부는 보조금의 공포, 주와의 협력에 의한 새로운 프로그램의 개발, 교육 조사, 그 밖의 연방 교육 활동따위를 실시하고 있지만 학교행정의 결정 권한은 거의 지방 자치에 맡기고 있다.
주에는 각기 교육부가 있고 거기서 제정된 방침이나 제도의 지침을 바탕으로 하여 각 학구의 교육위원회가 학교 예산의 편성, 교직원의 채용. 스쿨버스의 운행, 교사의 건축, 증축, 규칙의 제정 등을 실제로 관리 , 운영한다. 교육위원회는 주민이 뽑은 3∼7 명의 위원으로 이루어지며, 행정의 집행자로서 교육위원장을 둔다. 위원회는 지역이 넓고 인구가 많은 뉴욕, 로스엔젤레스와 같은 곳에서는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가 각각 다른 조직으로 되어 있는 곳도 있지만, 교외의 경우는 대개 하나의 학구로 복수의 초등학교, 한두 개의 중학교, 한 개의 고교를 일괄 관할하고 있다.
(2) 교육방식
주나 지역에 따라서는 'gifted and talented' 프로그램이라는 영재교육을 채택하고 있는 곳도 있지만 그 수는 전체적으로 적다 대개는 학급 속에서 각자의 개성을 파악하여, 그것을 기르는 개별 지도가 수업의 중심이며, 전체수업보다 학급의 아이들을 서너 개의 그룹으로 나누어 학과별로 지도하는 곳이 많다.그 때문에 교실 내 에는 장방형이나 원모양의 그룹용 테이블이 배치되어 있으며 언뜻 보기에 교실 내의 외관은 한국의 학교처럼 질서정연하지 않다 교실 바닥이나 복도에서 뒹굴면서 작업을 하는 아이들의 모습은 처음 미국 학교에 온 한국인을 놀라게 하지만,그룹으로 나뉘어 서로 도우면서 하나의 연구에 몰두하고 있는 공동학습 등의 시간에는 교사의 감독하에 이러한 학습태도가 허용되기도 한다
(3) 학교의 종류
의무교육의 개시 연령과 그 기간은 각 주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평균 6세에서 16, 17세까지 이다. 뉴욕 주는 6∼16세까 지가 의무교육기간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4년제 고등학교의 졸업을 의무화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16세 이상의 고등학교 중퇴자에 대해서는 현재 그것을 저지하는 법적 수단은 없다 공립학교는 킨더가든(초등학교에 병설되어 있는 곳이 많다), 초등학교, 중학교,고등학교까지 되어 있으며 그 학구에 거주하는 자면 누구나 입학할 수가 있다.
(4) 학교예산
학교 예산은 주민이 지불하는 지방세, 연방정부나 주의 보조금으로 충당되고 있으나 기업의 기금, 기부가 이를 충당하는 경우도 있다 학교세는 그것만 독립해서 지불하는 것이 아니다. 지방세 속에 포함되어 있다.
가옥이나 대지의 크기, 세워진 연대에 따라 각기 금액이 다르지만 미국에 거주하는 자이면 학령기의 아이가 있든 없든 상관없이,또 아이의 수에 관계 없이 징수된다. 임대주택의 경우는 집세를 통해 지불한다예산안 작 성 때 주민은 각자의 의견을 개진하고 그 가결 때 투표로써 찬부를 나타내는 권리를 지닌다. 일반적으로 경제적으로 넉넉한 학구일수록 교육 예산의 비율도 높다 연방정부나 주의 보조금 비율이 높은 지역, 또 지구 내에 기업이 소재하여 그 기금이나 기부가 지구 재원의 일환이 될 경우 각 가정의 지방세는 주택지만의 지구에 비해 적다.
미국학구및 학교선택법
미국에는 학교의 우수성을 평가하는 기준으로, 한국처럼 일류대학의 합격률을 바탕으로 하지는 않는다. 대개 다음과 점이 참고된다.
· 각 지구의 교육예산 중에서 아이 한 사람에게 쓰여지는 비용
. 'National Merit Scholarship' 의 수상자수
.'Regents College Scholarship' 의 수상자 수
·'Scholastic Aptitude Test (SAT 주 및 전국 평균치 ·
주의 일제 테스트의 성적
· 학생의 평균 출석률 교실 하나에 수용된 학생수
. 교사 · 학생의 비율
. 고교 중퇴자의 수
. 2년제 또는4년제 대학에의 진학률
. 특별 프로그램의 종류, 영재교육 ESL, 이중 언어(bilingual) 등의 특별 영어지도 교육, 보습(remedial)교육, 특수교육 등의 교사 · 학생의 비율 이러한 정보는 지구가 발행하고 있는 연간보고서에 기재되어 있으며 각 교육위원 회에서 입수할 수 있다. .National Merit Scholarship : PSAT 의 성적에 따라 National Merit Competition에 응모할 수 있다. 최종 심사에 붙으면 장학금을 받을 수 있다. .Regents College Scholarship : 뉴욕 주 체류 대상이며 11월의 마감일까지 행해지는 SAT의 결과에 바탕을 둔 장학금
미국학교입학/편입/전학안내
미국은 계약서와 서명의 나라이다. 실제로 서류에 의한 절차가 많다. 입학, 편입, 전학에 관한 웬만한 절차는 부모님들의 요령에 달려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학교에 따라 필요로 하는 절차에는 차이가 있지만 여기서는 그 전형적인 것을 소개한다.
(1) 입학, 편입의 시기
미국 학교는 9월에 시작하여 6월에 끝난다. 따라서 편입은 학기 도중이 아닌 9월에 하며 , 다른 아이들과 함께 신학기를 맞이하는 편이 본인의 정신적 부담을 어느 정도 줄일 수 있을 뿐더러 맞이하는 학교 측도 편한 것 같다 9월에 킨더가든에 들어갈 연령에 이른 학생이 있는 가정에는 4, 5월 경에 학교로부터 연락이 오는데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으므로 연락이 없을 경우는 이 시기에 학교에 물어보는 것이 좋다.킨더가든에 들어갈 연령은 그해의 1월 1일부터 12월 말까지 5세가 되는 어린이를 학령기로 잡는 지방도 있는가 하면 10월 말로 잡는 곳도 있으므로 그 날짜에 대해서는 거주하고 있는 주의 학교에서 확인한다. 절차는 지역에 따라 다소 차이는 있지만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다.
(2) 입학절차
1 ) 학교에 연락하여 예약을 취한다
2) 지참할 것들
① 출생 증명서 (birth certificate 또는 여권)②주거 증명(임대 계약서, 매매 계약서 등) ③ 영문으로 된 예방접종 증명서 (immunization history), 건강진단서(medical report)④전 학교의 재학 ·성적 증명서(영문)
3) 학교에서 주는 주된 서류들
① 입학 신청서 : 학생의 이름, 생년월일, 주소, 양친의 이름 등을 기입한다.②긴급시 연락용 조사서 : 사고가 있을 경우 등의 연락처 ③ 건강 조사서 : 지병이나 현재의 건강상태 ④ 학생 조사서 : 성격이나 흥미, 취미 학생에 관해 학교가 알아두어야 할 것에 대한 질문⑤ 학구 인구조사 : 지구 교육위원회에 의한 가족 구성, 학생의 장애 유무 등에 관한 조사이며, 이것을 바탕으로 취학 아동에게 입학 안내를 발송한다.
⑥ 예방접종 증명서 : 영문에 의한 증명서를 한국으로부터 지참하지 않았을 경우, 또는 한국에서 받은 접종이 주의 규정에 충족되지 않을 때는 입학 신청 후 30일 이내에 의사의 검진을 받는다. ⑦ 건강 진단서 : 주법은 새로운 학구에 들어오는 모든 아이에게 건강진단을 의무화하고 있다. 진단서를 제출하지 않으면 학생은 체조 수업에 참여할 수 없다. ⑥⑦ 의 서류는 진찰시에 의사가 기입한다. 서류 절차는 본인이 없어도 가능하다. 절차를 밟을 때 사무소에서는 학교 안내와 PTA의 팸플릿을 진찰 동시에 주며 버스통학의 방법 등도 일러 준다.스쿨버스는 학구가 정해진 거리(학교로부터 1.5마일 이상 떨어져 있어야 한다)에 사는 아이들을 위한 것이므로 그에 해당되지 않을 경우는 보호자가 데려오고 데려가야 한다.
(3) 편입절차
편입절차는 입학 때와 거의 같다. 편입하는 학년에 대해서는 각 학교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미국에서는 전년의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태어난 아이(이 날짜는 주에 따라 다르다)가 진급의 대상이 되므로 편입의 경우도 생년월일이 기준이 된다.따라서 생년월일에 맞추어 편입학년이 결정될 경우 4월부터 12월까지 태어난 아이는 1학년 위로, 1월에서 3월까지 태어난 아이는 같은 학년에 편입된다. 단, 학구에 따라서는 탄생월에 관계없이 다니던 학구에서의 학년을 그대로 인정해 준다. 어는 학년에 들어가느냐는 보호자의 요망을 들은 뒤 최종적으로 교장이 결정한다.
(4) 전학절차
전학이 결정되면 가능한 한 빨리 그 이유를 첨부, 학교에 제출해야 한다. 전학할 뜻을 빨리 알리면 학교 쪽에서도 모든 처리를 전학 전까지 마칠 수 있어 좋다.
미국학교성적표
미국의 성적표는 교사의 절대평가가 기본으로 되어 있다 평가 대상과 점수를 매기는 법도 한국과는 다르다. 교사의 의견에도 문면 이외의 뜻이 있다 학교에 따라 양식이 다르지만 여기서는 공립학교의 성적표 하나를 예로 들어 소개한다
(1) 초등학교의 경우
1 ) 발송시기
성적표의 발송시기는 같은 학구에서도 학년에 따라 차이가 있다. 여기에 드는 학 군의 예에서는 초등학교는 연 3회, 12, 3, 6월에 성적표가 발송되고, 중 ·고교에서는 11, 2, 4, 6월의 연 4회, 초등학교 고학년에서는 연 1회, 저학년(K-2)에서는 2회의 정기적인 개인면담이 있다.
2) 교사와의 개인면담
킨더가든에서 2학년까지는 최초의 성적 표 발송 시 (12월)와 3월의 2 회 , 3∼ 5학년에서는 12월에 1 회, 교사와의 면 담이 있다. 면담은 오후 1∼3시 까지의 학교 시간대에 맞추어 3일간으로 나뉘어 실시되고 그 날은 아이 들의 수업은 오전밖에 없다. 면담 시간은 9, 10 월에 실시되는 교육방침 설명회 때 학부형이 규정 용지에 희망하는 시간을 써넣어 결정한다. 한 사람에 소요되는 시간은 약 20 분, 학교 시간대에 올 수 없는 학부형을 위해서 수업시작 전이든가 아니면 방과 후에 특별시간이 설정되므로 그 취지를 알아두어야 한다.면접에서는 교사가 성적표의 평가나 아이의 학교에서의 활동을 전하고 그 뒤 부모와 서로 이야기를 나눈다. 이날은 학교에서의 아이의 활동을 자세히 알 수 있으며 아이에 관해 이야기를 나눌 좋은 기회이므로 가능한 한 학부모 모두 참여하기 바란다.
3) 성적표의 내용
성적표의 내용을 통해 아이의 발육이나 교과지도의 변화에 따라 요구되는 학습의 가능이나 인격적, 사회적 발달의 단계를 어느 정도 이해할 수 있다. 성적표는 면담전에 아이에게 건네지거나 면담시에 직접 부 모에게 건네는 교사도 있다
(2) 중 · 고교의 경우
1 ) 중학교의 성적평가 방법 중학교에서는 초등학교와 달리 각기 교과담당교사에 의해 성적평가가 행해진다. 학습태도, 생활태도 등의 평가가 교사 의견란에 나타날 경우도 있지만 교사에 따라서 그 방법이 다르다.
주요과목의 성적평가
A : Superior 우수
B+, B : Above Average 평균 이상
C+, C : Average 보통
D : Minimum Passing 평균 이상, 겨우 합격
F : 불합격
ME : Medical Excuse 의사에 의한 면제
*. 미술의 성적평가
O : Outstanding 우수
VG : Very Good 매우 좋음
G : Good 좋음
S : Satisfactory 보통
NI : Needs Improvement 노력이 필요함
U : Unsatisfactory 불가
2) 중학교의 성적표 중학교의 경우 정기적인 면담이 없기 때 문에 성적표에 대해의문이나 질문이 있을 경우 또 그 밖의 이유로 교과 담임교사와 면담을 희망하고 싶을 경우는 개인적으로 신청한다. 각 학기(4학기)의 평가는 그 학기에만 바탕을 두고 실시된다 3) 고교의 성적표 최종평가는 4학기를 종합한 것과 학교의 최종시험 또는 주의 시험에 의해 결정되며 그 방법은 각 교과에 따라 다르다.
고교의 성적평가 방법
A+ : 97점 이상 4.4(grade point)
A : 93∼96 4.0
A- : 90∼92 3.7
B+ : 87∼89 3.4
B : 83∼86 3.0
B- : 80∼82 2.7
C+ : 77∼79 2.4
C : 73∼76 2.0
C- : 70∼ 72 1.7
D+ : 67 ∼69 1.4
D : 65∼66 1.0
F : 65점 미만 0
FA : Failure
합격/불합격 평가의 경우 불합격
P : Pass
합격/불합격 평가의 경우 합격
W : Withdrawn
코스를 도중에서 그만둠
I : Incomplete 미완성
NG : No Grade 평가되지 않음
7. 미국공립초등학교
미국의 공립 초등학교는 교사의 주관이 아이들의 평가에 적접 영향을 준다. 시간표나 학교설비 등에서 한국과 다른 점이 많다. 한국의 학부모가 체험한 적이 없는 미국의 초등학교에 대해 자세한 내용을 여기에 소개한다.
(1) 킨더가든(Kindergarten)
1 ) 취학연령
킨더가든이란 한국의 유치원에 해당하며 미국에서는 의무교육으로 되어 있다. 그 해의 12월 말에 만 5세가 되는 아이(주에 따라 이 날짜에는 차이가 있다)가 들어가고 교사는 대부분이 초등학교에 병설되어 있다.
2) 교과내용
킨더가든에서의 아이들의 학습은 초등학교에 들어가는 준비를 위한 기초 학습이며 통합된 과목으로 되어 있지만 이과, 이야기하는 법, 독서, 작문, 산수 도공, 음악, 인간관계 , 보건, 체조와 같은 분야를 놀이 중심으로 배운다
3) 시간대
오전중에 끝나는 곳, 오후까지 하는 곳 등 학구에 따라 다르다. 오후의 수업을 주 3회 하는 곳도 있다 예를 들면 뉴욕 주의 스카스델 학구에서는 오후의 수업 1회를 6, 7명의 소수 아동 지도에 돌리고 있다.
(2) 초등학교(Elementary School)
초등학교의 커리귤럼 이나 연간 예정표는 중 ·고교 모두 주의 가이드라인에 따라 각기
학구의 교육위원회가 설정한다. 연간 등교일은 토요일 수업이 없으며 여름방학도 통상 6월 하순에서 9월 초순까지이므로 한국의 240일에 비해 180일 정도로 수업일 수가 적다. 학기도 한국처럼 분명히 2학기제로 되어 있지 않다. 같은 학구에서도 성적표의 발송 시기가 초등학교에서는 연 2 회이지만 중 · 고교에서는 4회로 되어 있는 곳도 있다. 학급의 학생수는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교외에서는 평균 20명 안팎이다. 수업은 1 ∼5학년까지 (학교에 따라 6 학년까지)는 담임이 특별 수업 (체조, 음악, 도공, ESL, 도서지도, 컴퓨터)을 제외한 모든 과목을 담당한다 5, 6학년에서는 산수, 이과 등이 전문교사에 의해 지도되는 곳도 있다. 필수 과목은 산수, 사회, 이과, 국어 , 음악, 체조, 도공이다.
1 ) 한국에 없는 특별 교과 및 지도법
① ESL(English as a Second Language)
외국인을 위한 특별 영어지도이다.
② 카운셀링 (가이던스)
심리면에 문제가 있다고 생각될 경우 학교 상담교사가 담임이나 부모와 협력하여 문제의 해결에 임한다. 친구 사귀는 법등에 관한 그룹 토론 지도도 한다
③ 리소우스 룸
보충교육의 필요가 없는 아이들에게 전문교사가 알기 쉽게 지도한다.
④리딩
읽기 능력이 부족한 아이들을 위한 특별 지도이다.
⑤발표
이야기하는 법에 문제가 있는 아이를 위 한 교정 지도이다.
⑥쇼우 앤드 텔
저학년에서는 아이들이 좋아하는 것이나 장난감 등을 집에서 갖고 오게 하여 그것에 대해 모두의 앞에서 설명하게 하고 질문에 응하게 한다. 2학년 이상이 되면 그 날의 뉴스를 발표케 하고 그것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게 한다.짧은 시간 안에 사람들이 이해하도록 화제를 정리하는 능력 , 사람들 앞에서의 발표력, 사회로 눈을 돌리게 하는 능력 등을 신장시킨다 이 밖에도 컴퓨터 교육 라이브러리 미디어 센터(각종 서적 연구의 방법, 교재의 사용법, 도서관 이용법 등을 배운다) 등이 있다. 학교에 따라서는 외국어 (주로 프랑스어 , 스페인어)를 채택하는 곳도 있다.
⑦ 낙제와 월반
미국에서는 낙제는 킨더가든부터 있으며 킨더가든을 두 번 되풀이하는 예는 흔히 있다.
그 반대로 학력이 우수한 아이는 학년을 뛰어 넘어 위로 진급하는 경우도 있다. 킨더가든에서 유급하는 예는 같은 학년에 서도 나이가 어린 경우가 많다(예컨대 유급 일시가 12월 말일의 경우, 10월에서 12월 경에 태어난 아이). 교사가 유급시키는 것이 낫다고 판단하면 그 취지를 문서로 부모에게 전하는데 부모가 수락하지 않으면 강제로 할 수는 없다. 어떤 이유로 유급을 권유받고 도저히 납득이 가지 않을 경우는 교사나 교장과 자세히 이야기를 나누는 것이 좋다.
2) 초등학교의 하루
① 시업, 종업시간 같은 학구에서도 학교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일반적으로 등교 8시 30분, 수업개시 8시 45분, 종업 15시이다. 학교까지의 통 학은 학구의 예산으로 운영되는 버스를 이 용하거나 도보. 자전거, 자동차 등의 방법이 있다. ② 충성의 맹세 미국 국기에 대한 충성의 맹세는 교사에 의해 매일 일과에 짜여져 있는 곳도 있는가 하면 강당 이외는 하지 않는 학급도 있다. 외국인 학생에게는 그것을 요구하지 않는 교사도 있다. 단, 여러가지 기회에 맹세를 할 경우가 많으므로 말을 외워두는 것이 좋다.
Pledge of Allegiance
I pledge allegiance to the flag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nd to the republic for which it stands, one nation, under God, indivisible with liberty and justice for all.
나는 미합중국의 국기에 대한 충성은 물론 이 국기가 상징하는 하나님의 가호아래 단일국가로서 분리될 수 없으며 국민 모두에게 자유와 정의를 주는 공화국에 대한 충성도 아울러 맹세한다.
③시간표
한 시간 수업은 약 45분이다. 단 학교 전체가 같은 시간표로 움직이고 있는 것은 아니므로 교사의 재량에 따라 길어지거나 짧아진다. 휴식 시간은 한국처럼 수업과 수업 사이에 5분이나 10분씩 쉬지 않고 단 한 번 20분간 쉰다.그 시간도 학년에 따라 다르다. 수업과 수업 사이에도 벨은 울리지 않으며 한국에서 수업 전후에 행하는 '기립, 경례' 등의 인사도 없다. 시간표는 교육위원회의 커리큘럼에 따라 강당에서의 집회나 특별수업 이외는 교사가 각 자의 재량으로 정한다 따라서 같은 학년일 지라도 커리큘럼의 진행법이 교사에 따라 전혀 다를 경우도 있다. 시간표는 대개의 경우 매일 교사가 칠판에 써서 알린다. 수업중에 화장실에 가고 싶을 경우는 교사에 게 허가를 얻는다
④점심
도시락을 주문할 수 있을 경우, 자택에서 점심을 들 경우, 카페테리아에서 지참한 점심을 먹을 경우 등 신청서에 보호자가 그 취지를 써서 서명한다. 교내에서는 카페테리아 또는 미팅룸에서 먹는다. 점심시간은 한 시간, 단 수용인원 관계로 각 학년마다 시간대가 정해져 있기 때문에 실제로 먹는 시간은 20분 정도이다. 나머지 시간은 밖에서 논다. 이 시간에 태도가 나쁜 아이가 주의를 받고도 고치지 않으면 학교에서의 점심이 허락되지 않는 경우도 있다. 도시락은 박스든가 아니면 튼튼한 봉지에 넣어 정확히 이름을 기입해 둔다. 유리그릇은 사용 하지 않는다.
⑤간식
각 학교에 따라 다르지만 킨더가든과 국민학교 저학년까지는 '스낵타임'이 있어,
간단한 간식을 학교에서 먹을 수도 있다.
⑤숙제
숙제는 3학년까지는 내주지 않도록 방침을 세우고 있는 학교가 많지만 최종적으로는 교사의 재량에 맡기고 있다. 한국인의 경우, 미국인 학급친구와 같은 양의 숙제가 부담스러울 때가 있으므로 필요에 따라 무리하지 말고 교사와 잘 상의해야 한다. 숙제를 부모가 도와 주면 이해가 빠르다고 판단하여 그 양이 늘어날 경우도 있으므로 아이 능력에 맞추어 하도록 하는 편이 좋다. 수면 부족으로 다음날 학교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도록 어린아이에게는 일정한 시간에 반드시 재우라고 교사들은 권한다.
(3) 초등학교에 대한 안내
①학교 시간대(School Hours)
아이들은 아침 수업이 시작되기 전과 점심 후의 오후 1시 전에는 교실에 들어갈 수 없다 수업시작 종이 울릴 때까지 안뜰이나 현관 앞 등의 지정 장소에서 또는 날씨가 나쁜 날은 1층 복도에서 기다린다.
② 교과서 (Textbook)
학교에서 대여하므로 구입할 필요는 없다. 단, 이것은 학교의 소유물이므로 커버를 씌워 소중히 다루어야 한다. 그리고 교과서에다 글씨 넣기나 낙서를 해서는 안된다. 집에는 가져가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파손하거나 잃어버렸을 경우는 벌금을 물리기도 한다. 그 밖의 학용품은 교사가 지정하는 것을 각자가 준비한다.
③ 결석(Absence from School)
학교를 쉴 경우는 오전 9시에서 9시 15 분 사이에 보건실에다 결석 사유를 전화로 알린다. 전염병의 경우도 반드시 보고해야 한다 보건실에서는 전염병으로 해서 감염되었을지도 모르는 다른 아이들의 부모에게도 그 사실을 알린다
④조퇴(Early Dismissal)
긴급시의 조퇴에는 부모가 서명한 문서를 학교 사무소에 제출하든가 부모가 직접
보건실에서 아이를 데려간다. 어떤 경우에도 아이가 혼자서 학교를 떠날 수 없다.
⑤ 악천후 일의 휴교 (Inclement Weather Information)
악천후로 인한 휴교, 또는 수업시작 시간 조정은 교육위원장이 결정한다. 그 경우 특정한 라디오 방송으로 그 결정이 알려진 다. 각 자모 회장(Class Mother)으로부터 연락이 올
경우도 있다.
⑥건강 진단(Health Examination)
미국의 대부분의 주 교육국은 모든 학생에게 입학시와 3, 7, 10학년에 진급할 때 건강진단을 의무화하고 있다. 10월 1일까지 주치의의 서명이든 진단서의 제출이 없을 경우, 학교 지정의가 검진을 실시한다.
⑦ 학생조사서의 변경 (Health Examination Information)
다음과 같은 내용에 변경이 있을 경우는 양호교사에게 문서로 그 취지를 빨리 보고 해야 한다. · 주소 또는 전화번호 · 가족구성 · 근무처의 전화번호 · 주치의· 부모 이외의 긴급 연락처의 전화번호 부모가 장기간 집을 비울 때는 그 이유와 누가 아이를 보살피는지 등도 보고해야 한 다. 가족 구성의 변경이 학생의 심리면에 영향을 주리라 생각될 경우는 학교직원, 양호교사, 상담교사 또는 교장에게 그 상황을 보고하기 바란다. 학교는 가능한 한 아이의 힘으로 익숙해지도록 애쓴다.
⑧장기 결석 경우의 숙제 (Homework for Prolonged illness)
교사는 통상 결석 때문에 학업이 뒤진 부분에 대해서는 아이가 출석한 시점에서 뒤진 부분을 만회하도록 지도한다. 결석이 3일 이상 계속될 경우는 오전 중에 학교에 그 이유와
내용을 연락하면 오후 3시 15분 에 정리하여 숙제를 입수할 수 있다
⑨성적표와 개인면담 (Report and Conference)
킨더가든 및 1,2학년의 아이들 부모에게는 1년에 두 번, 3 ,4, 5학년에게는 한 번의 정기적인 개인 면담이 있다. 성적은 연 3회의 보고서로 부모에게 통지해 준다. 이러한 정기면담과는 관계 없이 교사와의 대화를 희망할 경우 학교에 연락하면 언제라도 가능하다.
⑩자전거 통학(Bicycle Regulations)
학교에서는 안전을 기하여 3학년 이하의 아이들에게는 자전거 통학을 허가하지 않는다. 3학년 이상으로 자전거 통학을 희망하는 자는 PTA주최에 의한 강습회를 받고 그 테스트에 합격해야 한다. 모든 아이 들에게 헬멧의 착용을 장려하고 있다.
ⓐ스쿨버스(Bus Information)
학교에서 1.5마일 이상 떨어진 곳에 사는 학생은 지구의 재정으로 운영되는 무료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지구에서 정해 놓은 거리보다 가까이 사는 아이들에게도 이용할 수 있는 유료 버스가 있다.스쿨버스는 노란색으로 칠해져 있으며 차체에도 그 취지가 분명히 써 있다. 버스가 머물러 아이들이 내리고 탈 동안에는 상하 차선의 모든 차량은 정지하고 있어야 한다.
ⓑ스쿨 퍼포먼스(School Performance)
아이들은 연주, 연극 등 학교에서의 여러가지 공연(performance)에 참가한다. 대부분
학교시간대에 실시된다 관람할 때 는 다음 사항에 주의하기 바란다.
· 밤 연주에 참가하는 아이들은 어른과 함께 동행해야 한다.· 가족은 되도록 이면 같은 줄 좌석에 앉고 아이들은 부모의 감독하에서 행동한다.· 연주 중의 사진촬영은 다른 관람자에게 폐를 끼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 연주 후 학교 내에서 특정한 어린이의 꽃다발이나 선물 증정은 피한다.
ⓒ소풍(Trips)
소풍은 교과과정 강화를 위해 계획된다 소풍의 자세한 내용이 결정된 시점에서 아이들은 참가 허가서를 갖고 돌아간다. 자가용을 이용할 경우, 모든 아이들에게 안전띠를 착용케 하는 것이 의무화되어 있다.
ⓓ유실물(Lost and Found)
교내에서의 유실물은 모두 1층의 진열대에 보관되어 있다. 안경이나 액세서리등 작고
깨지기 쉬운 것은 사무실에서 보관한다. 상의 등에는 미리 이름을 분명하게 부착하기
바란다.
ⓔ 전화전언(Telephone Messages)
학교 사무실의 전화는 긴급시 외에 아이들이 시용하는 것을 금하고 있다. 아이들의
책임감 육성이나 불필요하게 수업을 방해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해서도 전화의 전언이
없도록 등교 전 아이와 확인해 둔다.
ⓕ잊고 온 물건 (Item Forgotten at Home)
아이가 집에다 놓고 온 도시락이나 악기 등은 수업을 방해하지 않도록 학교 사무실에
갖다 놓으면 된다.
ⓖ 학교 방문(Visitors)
학부모나 지구 주민은 언제나 학교를 견학할 수 있다. 단, 그 취지를 사전에 알려야 한다.
ⓗ그밖의 학교 행사
PTA 미팅 : 1개월에 한 번. 주로 밤에 학교에서 열린다. 임원이 아닌 사람의 참가도
장려하고 있으므로 학교 실정을 이해하기 위해서라도 가능한 한 출석하는 편이 좋다.
교육위원회 미팅 :
격주 월요일 밤. 학구 내의 모든 문제에 관해 이야기를 나눈다.
PT 카운실 미팅 :
집회는 격월. 학구내의 학교를 종합한 PTA가 공통된 문제의 대화나 각 전문가를 외부로
부터 초빙한다.
어셈블리(assembly) :
학교의 강당에서 열리는 집회
소풍(field trip) :
미술관, 동물원 등을 학교에서 전세 낸 버스(입장료, 교통비 등은 주로 학생부담)로 학부모가 운전하여 (운전자는 통상 클래스마더) 방문한다. 이 경우는 미리 아이를 통해 학부모에게 참가허가서를 보내므로 참가 여부 서명을 해서 학교로 되돌려 보낸다. 보호자의 서명이 없으면 아이는 소풍에 참가할 수 없다.생일파티 : 사전에 교사와 연락을 취한 후 당일 컵케이크 등을 맡겨 두면 학급에서
아이의 생일을 축하해 준다.
미국학교ESL과 외국어교육
외국 태생이므로 영어실력이 부족한 것은 당연한 일이다. 그런 학생은 LEP(Limited English Proficient) 학생이라 불린다. 이들 학생의 영어지도에는 ESL(English as a Second Language)자 바이링걸교육, 즉 2개국 병용(bilingual)이 있다. 캘리포니아주에서는 91년도부터 ESL이라는 호칭 대신 'ELD(English Language Development)' 를 쓰기 시작했다.
(1) ESL프로그램
ESL은 영어를 모국어로 하지 않는 아이 들의 특별 지도를 위해 1960년대부터 공립학교 에서 널리 쓰여지고 있다. 뉴욕주 법은 학교에 LEP 학생이 한 사람이라도 있으면 ESL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그리고 바이링걸 교육에 관해서는 같은 모국어를 사용하 는 LEP학생이 한 학년에 20명 이하일 경우 그 지구의 방침에 맡긴다고 되어 있다. 거의 대부분의 한국인 학생이 받고 있는 것은 ESL 프로그램이다.전문 ESL 교사가 학교에 상근하고 있는 곳도 있는가 하면 인원 관계로 한 교사가 학구 내의 몇 개 학교를 돌거나 특정 학교에 학생을 모아 시행하고 있는 지역도 있다.
1 ) 프로그램의 목적
① 효과적인 전달 능력을 육성하기 위한 듣기 , 말하기 , 읽기 , 쓰기의 지도. ② 영어 음성의 지도.
③ 어휘 늘리기 지도. ④ 영어의 기초나 개념을 이해시킨다.⑤ 다른 문화나 다른 말이 지니는 가치나 훌륭함 등에 대해 이해시킨다 ⑥ 학생에게 자신감을 준다.
2) ESL의 레벨(level) 나누기
ESL 학생은 우선 입학과 동시에 또는 늦어도 1주일 이내에 ESL교사와 면담을 한다. 이때 언어 평가 테스트를 받고 그 결과로 ESL의 어느 단계에 들어갈 것인가가 결정된다. ESL은 다음 3단계로 나뉘어진다.
① 레벨1 (초급)
전혀 또는 거의 영어 실력이 없는 학생
② 레벨2(중급)
기초적인 어휘나 일정한 전달능력이 있지만 충분히 이해하기까지는 이르지 못한 학생
③ 레벨3(상급)
말하기나 듣기는 문제가 없지만 정확한 읽기와 쓰기는 도움을 필요로 하는 학생 한국인의 경우는 거의 레벨 1에서부터 출발한다.
3) ESL의 시간
ESL의 하루 교과과정은 학년에 따라 차 이가 있다. 초등학교에서는 하루에 30분에서 1시간, 중 ·고등학교에서는 초기 단계 때는 특별학과(음악, 체육, 미술)나 수학 수업을 제외하고 거의 대부분 ESL 학급에서 보낸다. 학급 인원은 5∼8명 안팎이다. 학생들은 그 실력 정도에 맞추어 구두 및 필기 시험이 있으며 능력에 따라 초급에서 중급, 상급으로 나아간다. ES교의 졸업은 시험 성적과, 읽기시험, 및 ESL 교사, 담임 교사의 평가 결과로 결정된다.ESL을 받는 기간은 연령이나 학생의 능력에 따라 큰 차이가 있으며 완전히 영어를 구사하는 데는 5∼7년 걸린다는 견해도 있다 그러나 실제로 초등학교의 ESL은 약 2, 3년으로 수료하고 그후 복습이 필요할 경우는 교사의 지도를 받는다.
4) 지도법
ESL에서는 문법 어휘, 음성, 문장 구 성 등을 별개로 학습시키는 것이 아니라 학교, 가정 등 학생 주변에 있는 것을 교재로 사용하여 자연스럽게 영어에 친숙해지도록 한다. 초기의 단계에서는 자기 소개, 인사법, 주나 달, 계절의 이름, 색이나 모양 숫자 세는 법, 몸의 부위나 학교에서 흔히 쓰는 물건의 이름 등을 기억시키는 것부터 시작, 아이의 이해력에 따라 빨리 정규수업에 따라갈 수 있도록 학급의 교과과정 내용과 병행한 지도를 한다.
(2) 바이링걸(Bilingual) 교육
바이링걸 교육은 미국의 공립 초등학교에 영어를 상용어로 하지 않는 아이들의 수 가 늘어난 1965년에 초 중등 교육법이라 는 형식으로 연방 정부로부터 원조가 나온 것이 계기이다. 1968년에는 2개 국어 병용 교육 조례가 제정되었으며 새로운 교육프로그램으로 발족했다 이 때의 바이링걸 교육의 목적은, 교육은 영어로 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고, 기초 과목 지도에는 영어와 아이들의 모국어인 2개 국어를 쓴다는 것이며 그 운영은 각 주가 임의로 하도록 되어 있었다. 그러나 1974년, 중국인 라우 씨가 제기한, 영어를 모르는 아이들에게 영어를 모국어로 하고 있는 아이와 같은 커리큘럼을 부여하는 것은 교육의 기회균등 등의 정신에 위배된다는 내용의 소송사건으로 말미암아 이 프로그램은 의무화되었다.뉴욕주 법은 한 학년에 같은 모국어를 사용하는 LEP 학생이 20명을 넘을 경우, ESL 프로그램을 포함한 바이링걸 교육을 실시해야 한다고 되어 있다
1 ) 지도법
① Maintenance :모든 과목을 양국어 (영어와 모국어)로 가르치는 것을 말한다. ② Transitional : 영어로 행해지고 있는 수업지도를 따라갈 수 있을 때까지의 기간 동안 모국어로 도우면서 영어나 그 밖의 과목을 가르친다. 지도 내용은 영어를 빨리 , 바르게 읽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음성학 (Phonics)의 지도, 그리고 영어의 어휘를 늘리는 지도가 있으며 이것은 영문을 읽어 의미를 알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이다.한국인이 받는 바이링걸 교육은 거의 여기에 속한다. 이 경우 아이들은 보통 수업을 받으면서 하루 중 일정 시간을 ESL 프로그램과 바이링걸 교사의 보충수업으로 보낸다.
미국공립중학교
초등학교에서 중학교로 진학할 때 학교 생활에 여러가지 불안을 갖는 아이들이 있다.
여기에서는 그들을 위해 한국과 다른 미국의 공립 중학교의 개요와 교육 내용,연간 행사를
알기 쉽게 소개한다.
(1) 개요
1) 학년
미국의 중학교는 6학년부터 시작하는 곳이 있는가 하면 7학년부터 시작하는 학교도 있다 모두 중학 1학년이라 하지 않고 6, 7,8학년이라 한다.
2) 학교의명칭
주니어 하이 스쿨,미들 스쿨, 인터 미디 에이트 스쿨과 같이 학교에 따라 각기 다르다.
3) 홈룸
1교시 수업 전에 홈룸에서 담임교사와 10분 정도 이야기를 나눈 뒤 각기 스케줄에 맞추어 각 교과마다의 교실로 향한다. 각 교과는 각기 전문 교사가 담당한다. 학교에 따라서는 홈룸의 시간이 없는 곳도 있다.
(2) 커리큘럼
1) 6학년
수학, 자연과학, 영어, 사회 음악, 체육, 도공(도화나 공작)의 7교과가 있다. 음악은 일반 음악, 오케스트라, 밴드, 코러스 중에서 선택하면 된다. 체육, 도공은 '흠 앤드 캐리어 스킬(재봉, 요리, 찬장 수리 등의 일상 생활상의 기초적인 기술)', '테크놀로지' , '아트'로 나뉘어 1학기마다 순번으로 학습한다. 성적표는 연 3회 발송한다.
2) 7,8학년
위의 과목 외에 외국어(프랑스어 아니면 스페인어를 선택)가 추가된다. 수학, 영어 , 자연과학, 사회, 외국어를 사용 과목이라 부른다. 이 밖에 컴퓨터, 연설, 연극, 보건 위생 등이 있다.
(3) ESL 학생의 경우
처음에는 ESL 이외에 음악, 체육, 도공 수학, 자연과학의 수업을 받지만 ESL 교사,
카운셀러 , 각 교과 담임교사가 형평을 봐가면서 서서히 그 밖의 사용 과목에도 참여시킨다. 학교 방침이나 학생의 능력, 교사의 의견 등에 따라 그 시기는 각기 다르다.
미국공립고등학교
미국의 고등학교 생활은 학교에 따라 여러가지 특색이 있다. 수업 이외의 클럽이나 자원봉사와 같은 활동에도 큰 비중을 두고 있다. 그런 면에서도 한국과 다른 여러가지 시스템을 다음에 소개하겠다.
(1) 개요
미국의 고등학교는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9학년부터 12학년까지로 되어 있는 곳이 많다. 한국의 중학 3학년부터 고교 3 학년까지에 해당하는 연령층이다. 고교에 서는 시험으로 학생을 뽑아 특수 교육을 하 는 곳도 있지만 일반적으로 학구 내의 학생은 무시험으로 진학하며 수업료도 없다. 학구의 수준은 대학 진학률, 커리큘럼의 수나 질, 전국 또는 주 평균에 비교한 성적 등으로 평가하기 때문에 우수하다고 일컬어지는 학구는 고등학교가 좋다고 보아야 한다.
따라서 교육 수준이 높다고 일컬어지는 학구에서도 저학년의 교육은 그 밖의 인근 학교에 비해 큰 차이가 없을 경우가 많으므로 단기 주재 특히 아이들이 초등학교, 중학교 기간 동안만 미국에 체류하는 한국인은 학구선택 때 이 점도 고려하는 편이 좋다.1년은 시메스터 (semester)라 불리는 두 학기로 나뉘어져 있으며 1학기는 9월에서 1월 하순까지, 2학기는 2∼6월까지이다 고등학교에서 는 9학년을 프레시 맨 (freshman), 10학년을 소포머(sophomore) 11학년을 주니어 (junior) , 12학년을 시니어 (senior)라 부른다. 졸업에 필요한 과목이나 학점은 학교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다.
(2) 가이던스 서비스
고교에는 가이던스(Guidance Office) 기관이 있으며 학생과장(dean)이나 가이던스
카운셀러라 불리는 교과담당 이외의 교사가 대학 진학에 필요한, 이수해야 할 과목 등을 지도한다. 학생과장은 이러한 입시를 위한 상담뿐만 아니라 4년 동안 학생의 담당교사가 되며 상담자 역할을 한다. 성장과정에서 일어나는 여러가지 문제나 가정에서의 문제, 지망 대학의 선택 등에 대해서 필요에 따라서는 보호자와 상의해가며 상담에 응한다. 학생은 고교에 들어가면 동시에 각자의 학생과장을 소개받으며 졸업때까지 같은 학생과장의 지도를 받는다. 학생과장은 각 교과의 교사와도 밀접한 관계를 유지한다.
보호자는 정기적인 면접 때 뿐만 아니라 예컨대 아래에 열거한 경우, 또는 다른 사정으로 의논하고 싶을 때 는 언제나 학생과장과 연락을 취할 수가 있다아이에 관해 어떤 걱정이 있을 때 아이의 학교 생활에 관해 알고 싶을 때가정 문제를 학교에 알리고 싶을 때 성적표를 갖고 오지 않았을 때 개인적으로 의논하고 싶은 일이 있을 때아이가 선택한 과정이나 스케줄에 관해서 질문이 있을 때
졸업에 필요한 과목과 학점
고교를 졸업하기 위해선 18.5학점과 4 년 동안의 체육을 이수한 뒤 뉴욕의 경우 뉴욕 주 졸업자격시험 (Regents Competency Test)에 합격해야만 한다. 1학점은 통상 주 4회의 수업을 1년 받은 뒤 취득할 수 있다. 그러므로 1학점은 그 과목을 1년간 공부하는 것으로 여기면 된다(체육은 예외). 18.5학점중 필수 과목이 15학점이다. 그 밖의 것은 3.5학점을 각자 선택한다. 매년 가을에 다음해에 수강할 과목을 선택하고 1월에서 3월 사이에 실시하는 학생과장과의 면담 때 최종적으로 결정한다.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으므로 이것은 어디 까지나 한 예에 불과하다.
(3) 과목선택의 실제
1) ESL 학생의 과목 선택
입학과 동시에 ESL 교사나 학생과장과 면담하여, 영어 능력 평가 테스트를 뱓고 그 결과에 따라 일반 영어, 혹은 ESL에 들어가는 것이 결정된다. 사회나 과학도 처음에는 쉬운 영어이기 때문에 ESL 사회(social study), ESL 과학(science)을 수강한다. 이 경우의 학점은 일반수업과 같다. 수학, 체육,음악,미술에 대해서는 이반 학생과 똑같이 받는다. 교실의 공간문제로 영어 실력이 충분치 못한 학생이 일반 영어반에 들어갈 경우 성적표의 평가는 단지 합격(pass) 또는 불합격(fail)으로만 기재된다.
사회나 과학의 보통 수업의 이행 시기에 대해서는 ESL 교사나 학생과장, 각 학과 담당교사와 상의해서 결정한다. 이 경우에도 보통 평가가 어려울 경우에는 시기가 올 때까지 성적표의 평가는 합격 또는 불합격 분이다. 일반학생은 미리 지망 학교가 요구하는 과목이나 학점을 알아보고 학생과장과 상담하면서 필요한 과목을 이수하지만 한국인(또는 유학생)의 경우 영어에 익숙해지는 것이 선결 문제이므로 우선 고교졸업의 최저한의 자격취득을 위해 무리없는 과목부터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성적표 발송시기
. 제1회 : 11월 중순. 제2회 : 2월 하순. 제3회 : 4월 중순. 제4회 ; 6월 초순 성적표의 최초의 3회는 홈룸에서 12,2,4월에 직접 학생에게 건네지고, 마지막 1회는 학교가 끝난 1주일 후에 가정으로 우송된다. 성적표는 서명을 하고 학교로 되돌려 보낼 필요가 없다.학부모와 약속으로 가정에 성적표 이외의 중간 보고를 하는 교사도 있다. 학교는 학생의 성적 등으로 교사나 학생과장과 이야기를 나누기를 희망할 경우 언제라도 그 취지를 연락하도록 보호자에 장려하고 있다.
3) 코스를 도중에 포기할 경우
신중한 코스 선정에도 불구하고 도저히 따라갈 수 없어 도중에 그만두어야 할 경우는 학생과장이나 교과 담당 교사에게 알린다. 무단으로 그만 두면 '인정할 수 없는 결석' (교칙 ·결석의 항 참조)으로 다루어 지며 징계의 대상이 된다. 도중에 코스를 그만 둘 경우의 규칙은 다음과 같다.
1년 코스
①제 1학기 전반기일 경우는 성적증명서에 기록을 남기지 않고 그만둘 수 있다 ②제 1학기 후반기의 성적표 발송 후 1 주일째까지 코스를 그만 둘 경우는 성적증명서에 W로 기재된다. 6개월 과정①최초의 5주간은 기록을 남기지 않고 그만 둘 수 있다②제1학기 또는 제 2학기 전반기의 성적표 발송 후 1주일 이내에 그만 둘 경우는 성적증명서에 W로 기록된다. 여름학교(Summer School)불합격이 된 과목이나 학점을 늘리고 싶은 과목에 대해서는 여름에 코스를 취득할 수 있는 것도 있다.
AP(Advanced Placement) 코스
대학의 학점을 취득할 수 있는 코스로서 이를 위해서는 수강 이외에 AP 테스트를 치러야 한다.
(4) 주의 졸업자격 시험의 개요
1 ) 주의 졸업자격 시험
뉴욕 주 교육성은 모든 학생에게 고교를 졸업하는데 독해(reading), 수학(math), 작문 (writing), 미국사와 정부, 과학 (science), 세계학(global study)시험에 통과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주 졸업자격 시험(Regents Competency Test)과 Regents Exaination은 연 3회 , 1, 6, 8 월에 실시한다.8월에 시험을 치를 경우는 과목 중에서 시험을 치르지 못하는 것도 있다. 대학에 따라 주 자격시험에 합격하지 못했을 경우는 학생과장에 의해 보충수업이 이루어진다. 이 시험은 주가 발행하는 졸업증서 (Regents Diploma)와는 전혀 관계가 없다.
2) Regents Competency Test 주가 정한 졸업자격 시험이다.
3) Regents Examination
주가 발행하는 졸업증서 (Regents Diploma)를 취득하기 위한 시험이다. 졸 업을 위해
반드시 받아야 하는 것은 아니지만 대학에 따라서는 이 증서를 요구하는 곳도 있다.
그 필요성에 대해서는 학생과장의 지도를 받는다.
4) 학력검사(Achievement Test)
뉴욕 주에는 각 학교의 졸업증서 이외에 주가 발행하는 졸업증서가 있다. 이것을 받기 위해서는 학교가 정한 졸업자격 이외에 다음 2항목을 충족 시켜야 한다. - 외국어 3학점 - 'Regents Examination' 에 합격할 것 (시험 과목은 영어, 미국사와 정부, 세계학, 과학, 수학, 외국어)
5) Regents Competency Test의 내용
-독해(Reading) ① SAT(Scholastic Aptitude Test) (대학수험 참조) . 영어 310점 이상. ②독해 주 자격 시험에 합격 . ③ 영어의 Regents Examination 합격 .④ ACT(American College Test) [대학수험 참조]. 사회과학(social science) 문장 문제로 9점 이상.⑤ ACT 자연과학 테스트 15점 이상.
-수학(Mathematics)① SAT 수학 350점 이상 ② 수학 주 자격 시험 또는 Regents Examination에 합격 .③ ACT 수학 테스트 12점 이상. - 쓰기(Writing)① SAT 영어 310점 이상.② 독해 주 자격 시험 또는 영어의 Regents Examination에 합격 ③ACT영어 관용법 테스트 12점 이상.
- 미국사와 정부
① Achievement Test(대학수험 참조) 미국사 410점 이상.②미국사와 정부의 주 자격 시험 또는 Regents Examination에 합격 - 과학(Science)① Achievement Test 생물학 500점 이상이나 화학 500점 이상 또는 물리 500점 이상. ②과학 주 자격 시험 또는 Regents Examination에 합격.- 세계학(Global Study)① Achievement Test 유럽사 430점 이상. ②세계학 주 자격 시험 또는 Regents Examination에 합격 .
6) 예비 자격시험 (Preliminary Competency Test)
주 자격시험에 익숙해지기 위해 9학년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예비자격시험으로 6, 7, 8학년에서 실시된 시험성적이 우수한 학생 이외의 학생이 치른다. 시험을 치를 필요가 있는 학생에게는 지도부에서 가정으로 연락한다. 시험에 합격하지 못했을 경우는 학생과장이 적절한 보충 수업을 진행한다
미국대학수험준비
대학에서 요구하는 학점이나 과목에는 학교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또 매년 변경되는 사항이 많기 때문에 학교에서는 각기 진로에 따라 다양하고 세심한 지도를 하고 있다. (1) 대학 진학을 위한 고교생활 대학입학 준비 및 고교졸업 자격 취득을 위한 과목 선택은 정식으로 8학년 봄부터 시작된다. 9학년을 대상으로 한 봄학기의 고교 설명회에서는 대학에 대한 개략적인 설명도 있으며 양친과의 개인면담 때 학생과 더불어 다음 해의 과목을 선택한다.8학년에서 학점을 취득할 수 있는 과목도 있으며 그것은 최종적으로 졸업 자격 학점에 포함된다. 학생과장과의 4년간을 통한 수험 준비는 다음과 같다.
1) 9학년
①프레시맨 세미나(Freshman Seminar)모든 9학년은 매주 1회 학생과장에 의한 세미나를 받는다. 이 세미나에서는 건물이나 교칙의 안내로부터 졸업 또는 대학에 필 요한 과정의 개략적인 설명 , 마약이나 알코올의 위험성 등에 대한 토론이 있다. 이 밖에 학생과장과 학생 간에 밀접한 관계를 만드는 것도 주요한 목적으로 되어 있다. ② 리포트카드 앤드 프로그레스 리뷰 (Report Card and Progress Review)성적표를 검토하면서 앞으로의 학습방침 등을 상의한다 ③ 프레시맨 코스 플래닝 콘퍼런스 (Freshman Course Planning Conference)'Achievement Test' 의 결과나 이제까지의 성적을 바탕으로 대학에 가기 위해 이수해야 할 코스 등에 대해서 보호자와 더불어 상의한다.
2) 10학년
①스케줄 앤드 프로그램 리뷰 (Schedule and Program Review)현재 받고 있는 코스에 대해 학생과장과 재검토한다. ② 리포트카드 앤드 프로그레스 리뷰 (Report Card and Progress Review)성적표를 검토하면서 앞으로의 학습방침 등을 상의한다 ③ 캐리어 어웨어네스 프로그램 (Career Awareness Program)각자 장래의 직업에 대해 학생과장의 지도하에 소그룹으로 토의한다. ④코스 플래닝 콘퍼런스 (Course Planning Conference) 다음 연도의 코스에 대해 학생과장과 상의한다. 학생과장은 보호자에게 다음과 같은 결과를 우송하고 서로의 의견을 교환한다.a. 10학년 전원이 받는 표준테스트 SCAT(School and College Ability Test)의 결과 b. 표준 테스트의 결과나 이제까지의 성적에서 고려되는 대학의 레벨 c. 학생과장과 학생이 선택한 다음 해의 코스
3) 11학년
①스케줄 앤드 프로그램 리뷰 (Schedule and Program Review)② 칼리지 플래닝 이브닝 (College Planning Evening) ③ 학교의 대학 설명회 ④ 주니어 칼리지 플래닝 그룹(Junior College Planning Group)학생과장의 지도하에 소그룹으로 나뉘어 대학신청의 시기, 받아야 할 테스트의 종류, 면접 방법 등에 대해서 상의한다.⑤칼리지 플래닝 콘퍼런스 (College Planning Conference) 1월에 학생과장으로부터 'College Planning Packet'이 건네지며 정식 지망 학교 선정이 시작된다. 그 뒤 학생과장, 학생, 보호자의 3자가 지망 대학에 대해서 논의한다. SAT, ACT의 수험시기에 대해서도 확인한다.
11학년의 봄방학은 대학 방문의 좋은 기회이다 * College Planning Package 내용 a. SAT/ACT(후술)안내와 신청서b. 11, 12학년의 예정표 c. 에세이 쓰는 법 d. 면접받는 법 e. 학비 보조를 받는 법 f. 지망학교를 결정한 뒤 방문, 면접에 이르기까지의 각 과정에서 알아야 할 사항 ⑥코스 플래닝 콘퍼런스 (Course Planning Conference) 다음 해의 코스에 대해 학생과장과 상의한다.⑦ 인디비쥬얼 폴로업 세션 (Individual Follow-up Session)각 학생들이 안고 있는 문제에 대해 상의한다.
4) 12학년
①칼리지 플래닝 콘퍼런스 보호자와 더불어 최종 지망학교를 정하고 각 대학의 원서 접수 일정을 확인한다. ②시니어 트랜지션 프로그램 (Senior Transition Program)지망대학이 정해진 12학년 끝에 하는 프로그램이다. 가정이나 친구로부터 떠나는 문제, 대학에서의 문제나,룸메이트의 문제 등,9학년에서 했던 여러가지 토의를 이때에는 대학생활에 대해서 한다. ③ 칼리지 앤드 캐리어 센터 (College and Career Center)가이던스부와 PTA가 공동으로 운영하며 모든 대학의 안내서나 필요 서류, 비디오, 장학금이나 학비보조 취득의 방법 등이 학생이나 학부모, 교사를 위해 비치되어 있다. 직업훈련 학교나 군대의 정보, 고교생을 위한 전국 캠프나 하계 행사 등도 망라되어 있으며 관계자이면 누구나 이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2) 수험에 필요한 사항들
1 ) 미국 대학의 입학 심사 기준
미국의 대학은 입학 심사 기준으로 많은 요소를 고려한다. 명문 대학교일수록 우수한 학생이 많이 모이므로 선발은 매우 어려 운 과제이다. 그 중에서 특히 중요시하는 것은 영어, 사회, 수학, 과학, 외국어 등의 일반교양 과목의 과정이다 심사 대상 항목은 아래와 같다. 그 중의 무엇에 중점을 두느냐는 각 학교에 따라 차 이가 있다 ① 프로그램의 질② 코스의 레벨(Ⅰ,Ⅱ,초급,상급등) ③각 교과 평균점 ④ 대학입시 테스트의 성적 (SAT, ACH. ACT 등) ⑤과외 활동의 종류, 내용⑥신청방법 , 면접 태도⑦ 스포츠 활동이나 우등생으로 받은 상의 종류나 수⑧ 학생과장(카운셀러) 추천장의 내용⑨교사 추천장의 내용⑩ 에세이⑪ 가족중에 이 학교 졸업생이 있는지 여부⑫ 인종, 소수 민족⑬특별한 재능이 밖에 대학 진학에 필요한 학점을 취득했는지 여부가 대전제가 된다. 다음에 이들 요소 중에서 대학 진학에 필요한 학점에세이, 추천장, 각종 시험의 순으로 설명하겠다.
2) 대학 진학에 필요한 학점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일반적으로 요구하고 있는 학점은 16학점이다. 이중 13학 점은 하기의 필수과목, 나머지 3학점은 일반교양 과목에서 선택한다· 영어 -4년· 수학-2∼3년의 대학 진학 과정(기하, 대수 Ⅱ를 포함) · 외국어-2년 이상 · 과학-2∼3년(1년의 실험을 포함) · 사회-2년 이상
3) 에세이 작성법
에세이도 수험준비의 큰 요소이므로 11학년부터 가정의 배경이나 취미, 흥미 있는 것,
과외 활동의 개요,지망학교에 대해 품고 있는 바램이나 장래의 계획 등에 대해 쓰도록
지도한다.
에세이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① 학생과장(카운셀러)이 추천장을 쓸 때 도움이 된다.② 학생 자신의 지망학교에 대한 생각을 정리하는 데 도움이 되며 신청서를 쓸 경우 연습이 된다(잘된 에세이는 그대로 수험 때 사용할 수 있다) . 4) 학생과장(카운셀러)의 추천장 학생이 신청한 대학에는 학생과장의 리 포트나 추천장이 따로 보내지게 된다. 이것에는 성적표의 설명이나 학생의 성격, 장점, 단점, 학습태도 등이 기록된다. 리포트는 지망학교에 학생을 받아 주도록 지도를 통한 관찰이나 교과 담임교사의 리포트, 학생 자신이 쓴 에세이 등을 바탕으로 가능한 한 호의적으로 쓴다.
(3) 입학준비
시험 일람 미국의 입학시험은 전국적으로 동일하게 시행되며 ,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1 ) Preliminary Scholastic Aptitude Test/National Merit Scholarship Qualifying Test(PSAT/NMSQT)PSAT는 10월에 한번 실시하는 예비 시험이며 11학년 학생들이 치른다. 성적이 우수한 자에게는 12학년이 된 뒤 내셔널 메리트의 추천장이나 준 최종 합격자로 뽑혔다는 통지가 온다. 준 최종 합격자는 내셔널 메리트 스칼라십상에 응모할 수가 있다. 최종 심사에 합격한 사람에게 장학금이 수여된다. PSAT는 SAT와 달라 결과는 신청대학에 보고되지 않는다.
2) Scholastic Aptitude Test(SAT)
미국의 'College Board'가 작성하고 ETS(Educational Testing Service)가 실 시하는 영어 (90분)와 수학(60분)과 응용 테스트(채점대상 외)로 구성된 대학 공통 입학시험으로, 영어는 어휘 , 독해력을 보는 것이며 수학은 평균적인 수학 수준을 보는 것인데, 이는 시험으로 한국의 중학 3학년부터 고교 1학년 수준이므로 한국인에게는 점수가 잘나오는 과목이라 할 수 있다. 그 밖에 표준 영어의 응용력을 보기 위해 필기 시험이 있다
10월에서 6월까지 1, 2개월에 한 번 토 요일 오전 중에 실시하므로 몇 번 응시해도 되지만 성적은 모두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