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의 말 한마디 > 부모 서바이벌가이드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부모 서바이벌가이드


 

부모의 말 한마디

페이지 정보

작성자 장미 댓글 0건 조회 740회 작성일 15-06-01 08:41

본문

스스로 결정하고 책임져야 한다는 것을 가르치는 말 

 "결정을 해줘” 
이 대화법은 아이의 경기장에 책임감이라는 공을 던져 넣는 것과 같다. 아이에게 자신의 행동을 되돌아보게 하고 행동을 고치는 책임을 떠안게 하는 것이다. 또 스스로 자신을 통제할 수 있는 기회가 되기도 한다. 
“정해진 규칙을 따를지, 아니면 멋대로 행동할지 결정을 해주겠니?” “여기서 조용히 놀지, 아니면 혼자 따로 앉아 있을지 결정을 해줘” 
대부분의 경우 결정을 해달라고 요구하면 아이는 부모가 원하는 쪽을 선택한다. 가족과 함께 머물고, 규칙을 따르고, 조용히 노는 쪽을 선택한다. 중요한 사실은 이런 선택을 하고 나면 아이는 실제로 그 선택을 행동으로 옮긴다는 것이다. 만일 아이가 자신의 결정을 행동으로 옮기지 않는다면,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스스로의 결정을 확인시켜주는 말을 해야 한다. 
아이에게 결정권을 부여하는 대화법을 선택할 경우, 부모는 냉정한 심판자 역할을 확실히 수행해야 한다. 그래야만 아이는 결정을 내리고 결과를 책임지는 것은 자신이며, 부모 혼자서 아이를 벌주기로 결정할 수는 없다는 사실을 분명하게 이해할 수 있다. 자신이 일방적인 희생양이라는 불만에서 벗어나 자신이 그런 상황을 만들어낸 장본인이라는 사실을 배우게 되는 것이다. 

아이가 내면의 힘과 책임감에 접근하도록 돕는 말 

“엄마가 좀 보태줄 테니 나머지는 네가 내렴” 
새 자전거, 셔츠, 신발, 컴퓨터, 인형 등등 아이는 많은 것을 원한다. 그 때마다 부모는 생각하고, 결정하고, 아이에게 통보하는 역할을 되풀이해야 한다. 이때 “그래” 혹은 “안 돼” 둘 중 하나를 결정하는 역할에 얽매이지 않는 방법이 있다. 바로 아이에게 스스로 생각하게 만드는 대화법을 사용하는 것이다. 물건값의 일부를 기꺼이 부담하겠다는 당신의 의사를 전달하되, 아이에게 나머지를 지불할 용의가 있는지 물어보라. 그럼 이제 아이가 생각해야 할 입장이다. 자기가 얼마나 그 물건을 갖고 싶은지, 다른 것을 포기하고서라도 살 것인지를 결정해야한다. 아이가 어떤 선택을 하든지 물건값의 일부를 부담하도록 제안하는 것은 당신에게도 이익이며, 아이에게도 그 물건을 얼마나 원하는지 확인할 기회를 준다. 
이 방법은 아이가 자신이 원하는 것을 얻기 위해 돈을 지불함으로써 물건에 더 애착을 갖게 하는 이점도 있다. 부모가 사준 자전거보다 자기가 일부를 지불하고 산 자전거를 더 아끼고 돌보게 마련이다. 또 아이는 내면의 힘과 책임감에 더욱 접근하게 된다. 아이를 유능한 사람으로 키우려면 생각을 하도록 자극해야 한다. 적절한 대화법을 통해 아이가 진정으로 원하는 것을 파악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부모는 최고의 물건을 무조건 사주는 사람이 아니라는 사실을 전달하라. 

자기를 긍정하는 믿음을 심어주는 말 

“너는 참 끈기가 있구나!” 
“나는 똑똑해” “나는 너무 뚱뚱해” 등의 ‘나는 …’이란 자아개념은 어린 시절에 형성된다. 다섯 살배기 유치원생조차 이미 그런 개념이 형성되어 있다고 한다. 아이는 자신에 대한 믿음이 이미 굳어진 채 정규교육과정을 시작하게 되는 셈이다. 
생전 처음 두발자전거에 도전하는 두 아이를 상상해보자. ‘나는 운동을 잘해’라는 긍정적인 믿음을 가진 아이는 자신감에 찬 모습으로 자전거에 접근한다. 발걸음은 씩씩하고 핸들을 잡은 손에는 힘이 넘친다. 반면 ‘나는 운동신경이 엉망이야’라는 부정적인 믿음을 가진 아이는 주저하고 머뭇거릴 것이다. 아이의 몸짓 언어와 행동에서 ‘나는 못할 거야’라는 마음이 여실히 드러난다. 그 믿음은 의식 깊숙이 뿌리를 내리고 있어 운동을 잘하는 사람에 비해 잘 넘어지고 미끄러지거나 발을 헛디딜 가능성이 높다. 
이런 믿음은 어린 시절 형성되어 대개의 경우 일생에 걸쳐 지속된다. 이를 바꿀 막강한 영향력을 가진 사람이 바로 부모다. 부모가 아이를 어떻게 생각하느냐는 거울처럼 아이에게 투영된다. 아이에게 어떻게 말하고, 어떤 모습을 보여줄 것인지를 선택할 때는 매우 신중해야 한다. 긍정적인 믿음을 심어주기 위해서는 아이의 긍정적인 면을 인식시켜주는 대화법이 필요하다. 좋은 결과를 얻기 위해 꾸준히 노력하는 끈기를 칭찬해주자.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