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더십 있는 아이로 키우기 > 부모 서바이벌가이드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부모 서바이벌가이드


 

리더십 있는 아이로 키우기

페이지 정보

작성자 장미 댓글 0건 조회 765회 작성일 15-06-01 08:32

본문

요즘은 성격이 소극적이거나 남과 잘 어울리지 못하면 단점이 되는 시대다.‘타고난 성격을 어떻게?’하면서 덮어놓았다가는 자칫 학교에서 왕따를 당할 수도 있는 현실인 것. 전문가들에 의하면 리더는 타고나는 것이 아니라 훈련을 통해 습관화된다고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부모가 먼저 리더십이 무엇인지에 대해 알 필요가 있다. 

한 가지 일을 집중해서 완성한 다음 느끼는 성취감은 자신감을 키워주고 자신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도록 만드는 중요한 감정이다. 이 감정은 결코 돈으로 살 수 있거나 학원에서 배울 수 있는 능력이 아니다. 어린 시절에 충분한 성공 경험을 갖는 것이 개인의 일생에 대단히 중요한 영향을 끼친다는 것은 여러 학자들의 공통된 주장이다. 성취감을 느끼는 횟수가 잦은 아이들은 자존감이 높고, 높은 성취를 보이며 원만하고 긍정적인 대인관계를 형성한다. 따라서 부모는 아이가 성공 경험을 가질 수 있도록 자주 도전의 기회를 만들어주고 도와주어야 한다. 해결사가 아닌 아이의 도우미로 아이가 능력을 발휘하고 어려움을 해결하도록 해주어야 하는 것. 또 아이가 실패 경험을 가졌다면, 부모는 아이가 좌절할 것을 두려워하지 말고, 이를 극복해 나가는 방법을 알려주고 함께 도와주어야 한다. 

월 마트의 창업자, 샘 월튼 회장은 훗날 그의 유년기에‘1달러의 가치’를 알았던 게 삶에서 대단히 중요하였다는 사실을 지적하고 있다. 특히 대공황기에 온 가족이 나서서 생활비를 벌어야 했던 기억은 그의 금전관과 직업관을 만드는 데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그는 1달러를 벌어들이기 위해서 얼마나 일을 해야 하는지, 그리고 어떻게 버는지 등을 아이들에게 가르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했다. 

아이들에게 일찍부터 경제 마인드나 경영 마인드를 심어주기 위해서 부모들은 치열하게 사는 모습을 보여주어야 한다. 돈을 어떻게 버는가, 부자들은 어떻게 부자가 되는가, 돈을 어떻게 운용하고 사용해야 하는가, 빚은 어떤 것인가 등을 아이들에게 쉽게 설명하기 위해서 이런 저런 궁리를 하는 가운데 어른들 스스로 금전관이 정립되는 소득을 누릴 수 있다. 

내 의사를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방법, 여러 사람이 모였을 때 말하는 방법 등 대화에도 기술이 필요하다. 대화를 잘 해야 남을 설득할 수 있다.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 노하우는 리더의 중요한 자질 중 하나. 친구를 사귀려면 먼저 다른 사람의 이야기에 진지하게 관심을 기울이고 잘 들어주어야 한다. 다른 사람이 말할 때 톡톡 잘라먹고 자기 말만 하려는 아이, 남들이 관심 있게 듣건 듣지 않건 자기 말만 늘어놓는 아이들은 환영받지 못한다. 대화의 가장 기본인 경청하는 자세를 가르치면 이를 통해 상대의 말뿐 아니라 생각과 감정을 알아차리는 것까지 배울 수 있다. 상대방에게 공감할 수 없을 때 무조건 화를 내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입장을 이야기하면서 서로 좋은 합의점을 도출해낼 수 있어야 한다. 

부모의 역할은 아이가 스스로 자립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다. 그런데 이 도움의 역할이 지나쳐 아이들을 관리하고 통제하려는 경향이 있다. 부모의 역할은 어디까지나 조력자임을 잊지 않아야 한다. 스스로를 관리하고 자신의 생활을 계획적으로 만들어가는 것은 어릴 때부터 훈련을 통해 습관화된다. 어떤 선택의 문제에 있어서도 부모가 결정해주는 것이 아니라 아이가 스스로의 힘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배려해주고 관심을 가지는 것이 아이를 자립적으로 키우는 것이다. 이런 과정을 거쳐서 아이는 능동적이고, 주체적으로 자라날 수 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