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족한 Social Skills, 자녀의 성공 가로 막는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장미 댓글 0건 조회 1,059회 작성일 15-06-01 09:35
본문
3-4년 선행학습을 시키고, 어마어마한 수학 경시대회에서 메달을 받고, 3개 국어를 유창하게 하지만 친구들과 어울리지 못하고 어른을 봐도 인사조차 하지 못하면서 엄마손에 여기저기 끌려 다니는 아이를 장차 유수기업의 CEO로 만들겠다고 생각하면 넌센스 코메디다. 세상은 그리고 리더는 ‘더불어 살아가는’ 능력이 최우선이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과연 ‘더불어 살아가는’ 능력의 하나인 Social Skill은 무엇인가? Social skill을 우리말로 옮기면 ‘대인관계 능력’ ‘타인관리 능력’ ‘사회기술 능력’ ‘관계관리 능력’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Social Skill은 단순히 친목 도모의 수단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이 원하는 방향으로 사람들을 움직일 수 있는 능력을 말하는 것이다. 자라나는 우리 자녀에게 Social Skill이 갖는 의미는 무엇이며 왜 중요한지 살펴본다.
성공적인 사회생활의 핵심은 Social Skill 다음의 몇 가지 질문을 해보면 내 자녀의 Social Skill이 어느 수준에 와 있는지 알아볼 수 있다.
1. 학교나 집에서 말썽을 피우지 않고 주위 사람들로부터 ‘범생이(모범생)’, ‘샌님’, ‘nerd’, ‘geek’라는 소리를 듣는다.
2. 얌전하고 조용해서 누가 말을 시키거나 묻기 전에는 먼저 말하지 않는다.
3. 학교 선생님으로부터 수업시간 참여도가 낮다는 지적을 받는다.
7. 자신의 생각과 의견을 강력하게 주장하지 못한다.
8. 그렇지만 책은 열심히 읽고, 공부도 열심히 하고, 학교 성적도 좋다.
Social Skill이란 ‘사람을 사귀는 기술, 타인과의 관계를 유지할 수 있는 능력’이다. 몇 가지 예를 제시한 것이지만 1에서 7번까지는 Social Skill이 부족함을 말하는 것인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공부를 잘한다는 이유만으로 모든 것이 해결될 것이라고 생각하는 학부모도 있다. 그렇지만 세상을 살아간다는 것은 평생 혼자서 공부하고 좋은 시험점수로만 살아가는 것이 아니라 타인과의 사회생활을 의미하는 것이기에 Social Skill은 매우 필수적인 요소가 된다. 모든 인간은 이 세상을 살아가는 동안 수많은 사람들과 관계를 맺는다. 어떤 사람을 만나 그들과 어떤 관계를 맺느냐에 따라 인생의 향방이 정해지기도 하며 대인관계에 의해 행복과 불행, 성공과 실패가 좌우되기도 하기 때문이다.
카네기 공대에서는 social skills의 중요성을 알아보기 위해 1만 명을 대상으로 연구조사 한 결과 기술적 훈련과 두뇌는 성공요인의 15%를 차지하는 반면 뛰어난 social skill 은 성공요인의 85%를 차지한다고 한다. 또한 하버드 직업센터에서는 직장에서 해고당한 수천 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social skills 즉 대인관계가 서툴러서 해고당한 사람이 업무수행 능력 때문에 해고당한 사람의 2배가 넘는다고 한다. 사회생활에서 성공과 실패를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는 올바른 대인관계라고 할 수 있다. 성공한 사람은 거의 다 대인관계에서 성공한 사람이다. 어느 한 분야에서 훌륭한 업적을 세워 성공한 사람도 있지만 여전히 주위의 스승과 동료의 지도와 협조를 필요로 하고 함께 생활하는 배우자, 부모, 자식, 이웃과도 올바른 대인관계를 형성해야 하는 것이다.
Social skill 이 글로벌 시대의 리더십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는 것을 밝힌 유명한 논문을 소개한다. 유명한 심리학자 Daniel Goleman의 “What Makes a Leader?”라는 논문이 1998년 Harvard Business Review에 게재되어 그 해 최고논문으로 선정되었다. Daniel Goleman은 188개의 글로벌 기업을 대상으로 개인의 어떤 능력이 조직의 성과에 얼만큼 기여하는지를 조사하였다. 또한 저자는 개인의 능력을 다음의 3가지로 분류하고 심층적인 인터뷰와 비교연구를 통해 기업의 리더들이 어떤 능력을 가지고 있는지를 조사하였다.
1. 인지능력(Cognitive abilities)
2. 기술적인 능력(Technical skills)
3. 감성지능(Emotional intelligence)
연구분석 결과, 리더의 인지능력이 기업을 성공적으로 이끄는 중요한 요소이지만 감성 지능이 모든 업무 영역에서 인지능력이나 기술능력에 비해 2배 이상 중요하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특히 최고 리더일수록 감성지능의 중요성이 더욱 커져 조직 성과 차이의 90% 이상이 감성지능의 정도에 따라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사실에 주목하여 최근에는 회사의 성공과 리더의 감성지능 사이의 연간관계에 대한 연구 결과들이 많이 나타나고 있다. 감성지능은 자신의 감정을 잘 이해하고 관리하는 능력으로 타인의 감정을 이해하고 관리하는 능력을 가리키는 말이다. 다시 말해 자신의 마음을 잘 다스리고 다른 사람의 마음까지 움직일 수 있는 사람이 성공할 수 있다는 뜻인데 다음의 5가지로 분류된다.
1. 자기 인식 능력(Self-awareness)
2. 자기 통제 능력(self-regulation)
3. 동기부여 능력(Motivation)
4. 공감대 형성 능력(Empathy)
5. 대인관계/사교적인 기술(Social Skill)
Daniel Goldman의 “What Makes a Leader?”라는 논문의 결론은 전통적인 리더십의 요소라고 할 수 있는 지적 능력, 강경함, 경청 능력, 비전 등은 리더십의 필수요소가 되지만 조직을 성공적으로 이끄는 원동력은 리더의 감성지능이라는 것이다. 그리고 Social Skill은 이 감정지능을 구성하는 중요한 요소라는 것이다.
Social Skill의 구체적 행위
교육전문가 Sue Watson씨는 Social Skill이 포함하는 영역을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Cooperation (협동)
Sharing (나눔)
Participation (¿)
Being a Friend (친구)
Helping Others (돕기)
Being Patient (인내)
Following Direction (지침에 따르기)
Taking Turns (차례 지키기)
Accepting Difference (차이점 수용하기)
Listening (들어주기)
Praising Others (칭찬하기)
Positive Communication and Interactions (긍정적 커뮤니케이션과 대인관계)
Being Polite and Courteous (예절 지키기)
Using Good Manners (좋은 매너)
Being Respectful (존경하기)
구직, 인맥 형성에 큰 몫 하는 ‘Social Skill’
대학시절 충분히 훈련돼야
전문가들은 직장생활이나 사회생활을 하는 데 능력만큼 중요한 것이 Social Skill이라고 입을 모은다. 특히 똑똑한 한인 학생들의 주류 진출을 막는 요소 중 하나가 바로 이 Social Skill이라는 것에도 의견을 같이 했다. 보통 아시안계 남학생들이 여학생들보다 직장 생활에서 Social Skill 문제로 고민을 하는 경우가 많으며, 한국에서 태어나 이민을 왔거나 유학을 온 학생들의 경우 이 문제에 더욱 민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입학 컨설턴트로도 활동하고 있는 이부연 기자(LA 비즈니스 저널)는 입학 컨설팅을 하다보면 성적도 좋고 에세이도 잘 쓰고 하버드 등 아이비리그를 충분히 지원할 만한 실력을 갖춘 학생들 중에서도 Social Skill 부분이 취약한 한인 학생들을 종종 볼 수 있다고 말했다. 악수도 제대로 못하거나 사교성도 없고 눈 맞추기(Eye Contact)조차 힘들어 하는 남학생들이 의외로 많다고 한다.
이 컨설턴트는 “대입 인터뷰 때는 물론이고 대학 졸업 후 요즘은 어떤 분야를 진로로 택하든지 명함을 주고받는 태도부터 시작해서 얼마나 융통성 있는 Social Skill이 필요한지 모른다”며 “대학 4년간 다양한 경험을 통해 꼭 훈련해야 할 것이 바로 Social Skill이며, 대학 4년이라는 시간은 학문만 열심히 닦는 시간이 아니라 사회인으로서의 준비를 하는 과정이다”라고 강조했다.
이어 본인의 경험을 들려주었다.
“펜실베이니아대학 재학 시절, 1학년 때 그룹을 지어 책을 읽고 교수님 댁에서 토론도 하고 점심 식사도 같이 하면서 진행하는 수업이 있었습니다. 언제 어떻게 말을 시작해야 하는지, 포크/나이프/디저트 스푼 사용은 어떻게 사용해야 하는지… 난감했던 경험이 있습니다. 명문 사립고등학교를 나온 친구들이나 백인 친구들은 그래도 어느 정도 분위기를 잘 이끌어가는 것 같았습니다. 물어보니 좋은 사립고등학교에는 사교성을 배우는 클래스가 따로 있다고 하더군요”
이 컨설턴트에 따르면 대학 캠퍼스에는 유명 신문사나 잡지사를 비롯해 골드만삭스와 같은 금융 관련 회사들이 우수한 학생들을 유치하기 위해 수시로 방문한다고 한다. 비공식?공식 인터뷰는 물론, 뮤지컬을 함께 보러 가는 자리를 마련한다든지, 파티 등의 자리를 빌어 자연스럽게 입사 제의를 하기도 한다고. 바로 이 때 필요한 것이 능력과 함께 ‘Social Skill’이며 좋은 Social Skill, 즉 좋은 매너로 적절한 농담도 섞어 가면서 인상적인 대화를 이끄는 것은 그것이 공식적인 자리이든, 비공식 자리이든 자신을 돋보이게 할 수 있는 무기가 될 수 있다.
한편, Social Skill이 충분히 훈련되지 않은 사례 하나를 들어주었다.
성적이 너무 뛰어나 고등학교를 조기 졸업하고 17살에 명문 대학에 입학해 대학 역시 20살이 안되어 조기 졸업한 여학생의 이야기이다. 책 읽기를 좋아하고 글도 잘 쓰는 이 학생은 졸업한 지 2년이 지났지만 직업을 찾지 못했다. 부끄러움도 많이 타고 사교성이 없고 인터뷰 때 말을 제대로 못하는 취약점이 있었던 것이다.
이 컨설턴트는 “Social Skill이 원만하게 갖춰지기 위해서는 일반적인 성장 수준에 맞는 단계 반드시 필요하다”며 “고등학교, 대학교 때 꼭 거쳐야 하는 토론, 문화생활, 여행, 쇼핑, 연애 등의 과정은 지성 뿐 아니라 Social Skill에도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데 이 여학생의 경우 이 단계를 거치지 않아 그 수준에 맞는 Social Skill이 충분히 훈련되지 않았고, 지니고 있던 Social Skill이 성숙될 기회가 없었다”고 지적했다.
한편, EGG컨설팅 그룹 대표로 입시 전문가로 활동하고 있는 허인희 컨설턴트는 Social Skill이 의미있는 대학 생활을 보내는 데도 꼭 필요한 부분이라고 강조했다.
허인희 컨설턴트는 “대학 시절 갖는 모임이나 세미나, 또 이를 통해 맺어지는 동료간, 선후배간 인간관계는 인생 전반에 영향을 미치는 네트워킹”이라며 “Social Skill이 부족해 이러한 인맥 형성의 기회를 놓치면 안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사교성이 없을 뿐인데 그런 나쁜 인상을 주다니…”
하버드 비즈니스 스쿨의 Tiziana Casciaro 교수는 “비즈니스 현장에서 더 일하고 싶은 사람은 능력이 뛰어나고 불쾌한 느낌을 주는 사람이 아니라 약간 능력이 뒤처져도 호감이 가는 사람이다”라고 말한다. 또 Social Skill에 따라서 그 사람이 갖추고 있는 능력의 가치도 달라진다고 강조한다. 한 Social Skill 전문가는 80% 이상이 Social Skill의 부족 때문에 결국 해고통지를 받는 것으로 추산된다는 충격적인 사실을 밝히기도 했다.
‘Social Skill’은 오늘날 학교생활, 직장생활을 하는 데 있어서 더욱 중요한 덕목으로 떠올랐다. 신입사원이나 사회 초년생으로서 다른 사람들과 구별될 수 있는 가장 기본적이고도 핵심적인 요소가 바로 ‘Social Skill’이기 때문이다. 1970년대까지는 친구들과 어울리는 이른 바 ‘놀이터 정캄에 관심이 없었던 똑똑한 아동들은 그저 평범하지 않다고 여겨졌을 뿐 사회적으로 그럭저럭 받아들여졌다. 그러나 1980년대 이후로 교육가들은 놀이터를 미래를 위한 필수 트레이닝 장으로 보고 있으며, 놀이터에 원활하게 적응하지 못하는 아이들은 Social Skill과 관련한 별도의 교육을 위해 전문가를 찾아가는 상황에까지 이르렀다.
다음에서는 Social Skill이 부족해 직장생활에 문제가 된 사례 두 개와, 좋은 Social Skill로 성공적인 직장 생활을 하고 있는 사례 하나를 살펴본다.
사례 1> B군(남)
Social Skill은 사회생활을 하고 있는 B군에게 언제나 핵심 토픽이다. B군은 천성적으로 매우 부끄러움을 많이 타는 성격이다. 사람들과 친해지고 나면 친절하고, 이야기도 많이 하는데 그렇게 되기까지는 정말 시간이 오래 걸린다. 몇 년 동안이나 자신의 부족한 Social Skill을 인식하고 이를 증진시키기 위해 노력을 해왔지만 잘 모르는 사람들 앞에서 사교성을 발휘하기란 여간 어려운 일이 아니다. 2년 전 Social Skill 때문에 문제가 생겼다. 일하고 있는 부서에서 수퍼바이저로 승진했을 때 이야기다. 기름은 물과 금방 분리된다고 했던가? 그는 많은 사람들이 자신을 싫어하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됐다. 사람들이 사교적이지 못했던 B군에 대해 나쁜 인상을 갖게 된 것이다. 그러나 그는 누구에게도 의도적으로 못되게 굴거나, 불공평하게 대한 적이 없다. 사람들을 관리 감독해야 하는 직업의 성격상 이러한 상황은 그를 매우 어려운 궁지로 몰고 갔다. 아무도 그를 수퍼 바이저로서 존중하지도 않았다.
B군 일에 충실했고, 그래서 상사에게도 좋은 인상을 주려고 늘 애썼다. 그러나 B군보다 일도 잘 못하는 다른 수퍼 바이저들은 많은 사람들로부터 왠지 더 인정을 받고 호감도 받았다. 그리고 그런 수퍼바이저들은 맡겨진 업무를 더 쉽게 완성해내곤 했다.
이러한 상황은 B군에게는 매우 화나는 일이었다. "나는 이 직장을 친구를 만들기 위해 들어온 것이 아니야"라며 합리화하고도 싶었지만, 자신도 모르게 주변에는 하나 둘 적이 생길 뿐이었다. B군은 결국 회사를 떠나야 했다. 그는 이제 매니저 스타일의 직업을 또 다시 갖는 것이 두렵다. 이런 일이 반복될 것 같다는 걱정 때문이다. B군에게 있어서 함께 일하기를 좋아하는 상사가 되고, 함께 일하는 사람들로부터 호감과 존경을 동시에 받는 동료가 되는 것은 참 어려운 일이다.
사례 2> A군(남)
명문대학에서 MBA 과정을 마친 A군. 나름대로 재치도 있고 지성도 갖춘 인재처럼 보였다. 첫 직장에 다니면서 얼마간은 동료들도 그런 그를 좋아하는 듯했다. 적어도 처음에는.
그러나 동료들이 A군을 더 잘 알아갈수록 그가 실제로는 재치와 부드러움과는 먼 성격의 소유자라는 것을 깨닫게 되었다. 맡겨진 일도 느릿느릿 해내고, 걸핏하면 직장 선배와 부딪치고, 동료들에게 불쾌한 농담을 하고, 회의 시간에도 제일 늦는 것도 바로 그였다. 결국 A군의 이러한 성격이 직장 선배와 반복적인 문제를 일으키자 동료들은 애매한 입장이 되기 싫어 그를 피하기 시작했다. 물론 직장 선배도 그를 경계했다.
아무도 그와 한 팀을 이뤄 일을 하려고 하지 않았다. 결국 그는 부서에서 고립됐고 우울해지기 시작했다. 마침내 자신이 무엇을 잘못했는가를 고민하기 시작했다.
사례 3> L양
L양의 실력과 경험은 다른 직원들과 별 다를 바가 없다. 그러나 놀랍게도 1년이 지나자 그녀는 시니어 트레이너에서 세 단계를 뛰어넘어 어시스턴트 매니저로 승진을 했다. 그녀는 어떻게 그럴 수 있었을까? 사람마다 취향이 다르다는 뜻인 “Different strokes for different folks”라는 격언을 가장 좋아하는 L양은 다른 사람이 보기에도 Social Skill이 아주 좋았다. 모든 사람을 기본적으로 친절과 신뢰로 대하고, 누군가를 만나는가에 따라 그녀의 사람 대하는 기술은 마치 ‘고개맞춤서비스’처럼 다르게 조절되었다. 모든 사람들이 L양이 누구인지를 알았고, 그 조직에서 존경받는 인물로 자리매김해갔다. L양은 옷 입는 센스도 좋고, 많이 웃고, 사람들과 이야기할 때면 항상 눈을 쳐다보았고, 어투는 부드러우나 자신감이 담겨 있었다.
Social Skill을 키우기 위한 방법
Social Skills은 선천적이기도 하지만 학습에 의해 키워질 수 있다고 하는데 교육자들이 제안하는 구체적인 방법을 소개한다.
I. 저학년 학생의 Social Skill 키우기
1. 자녀에게 작은 일을 시킬 것: 2-3세부터 자신이 수행할 수 있는 작은 일을 시킴으로써 지시에 따르고 복종하는 것과 ‘돕는다는 것’이 좋은 일임을 배울 수 있다.
2. 긍정적인 말과 함께 칭찬을 아끼지 말 것: 지시에 따르고 착한 일을 했을 때는 바로 칭찬해주어야 한다. 칭찬할 때는 “Good, Brilliant”와 같은 말을 하면 자신이 착한 일을 하면 상대방이 고마워한다는 것을 알게 된다. 지시한 사항에 따르지 않았어도 부정적인 말은 피하고 다음에 잘하면 된다고 말해야 한다.
3. Thank you, sorry라는 말로 좋은 습관을 격려해줄 것: 항상 ‘Please’ ‘Thank You’라는 말을 사용하고 잘못된 경우에는 ‘I’m sorry’라고 말하는 모습을 보여주면 자녀도 그대로 따라 하게 될 것이다. 자녀는 부모의 습관을 답습
한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4. 자녀와 대화하고 자녀의 응답을 유도할 것: 자녀가 느끼는 감정에 대해 말할 수 있도록 유도하여 자신이 가지고 있는 좌절감을 배출시키도록 한다. 부모는 이런 대화를 통해 자녀를 이해하고 지도할 수 있게 된다.
5. 친구들과 놀 기회를 많이 제공할 것: 이런 기회를 통해 타인과의 접촉에서 오는 긴장감을 극복하는 방법을 터득하게 되며 친구들과 ‘나눔’에 대한 긍정적인 개념도 배운다.
II. 청소년을 위한 Social Skill 키우기 방법
1. 모든 사람에게 웃음으로 대하라. 2. 가능한 많은 이름을 기억하라.
3. “Good morning” “good afternoon” 등 친절하게 인사하라.
4. 주저 말고 질문 하라.
5. 무엇을 말할지 모르겠으면 새로운 질문으로 시작하라.
6. 자신의 실수를 인정하라.
7. 상대방이 중요하게 여기는 것에 관심을 표하라.
8. 깔끔한 외모도 중요하다.
9. 친절한 태도를 가져라.
10. 칭찬을 아끼지 말라.
11. 용서하는 일에 인색하지 말라.
12. 상대방의 기분을 배려하라.
13. 사람과 만나는 것을 기쁘게 받아들이라.
14. 상대방이 하는 말에 집중하라.
15. 자신에 대해 언제, 어떻게, 얼만큼 말할지 조절하라.
16. 적절한 눈맞춤(eye contact)은 중요하다.
17. 말투, 억양, 몸짓도 커뮤니케이션의 핵심요소다.
특히 중학생에게 필요한 Social Skills
중학생이 되면 우선은 친구관계가 복잡해질 수 있고 좀 더 다양한 사회접촉이 시작되기 때문에 올바른 Social Skills을 키우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다음은 중학생들이 친구관계, 학교 수업 그리고 어른들과 접촉 시 필요한 Social Skills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정리해
보았다.
1. 비평 받아들이기
2. 거절 (“No”) 받아들이기
3. 식탁 매너 갖추기
4. 잘못을 인정하기
5. 감정표현과 두려움관리
6. 올바른 자기소개, 지시에 따르기
7. 타인과의 대화, 유머감각
8. 올바른 드레스감각
9. 때와 장소에 맞는 언어사용
10. 질문하기, 약속시간 맞추기
11. 그룹 토론기술, 방해가 되는 주위환경 무시하기
12. 경청하기, Peer Pressure 견디기
13. 새로운 상황에 도전하기
14. 용서하기, 도움요청하기, 갈등해소 능력 15. 대화기술, Bullying 대처능력
16. 슬픔과 위안 표현하기, 감사표시
17. 새로운 친구 사귀기, 친구관계 유지
18. 소문에 대처하기, 요청 거절하기
19. 폭력에 대한 올바른 대응
20. 응급상황 대처능력, 쇼핑방법, 공공장소 에티켓
참고로 Social Skill에 도움이 되는 연령별 도서목록이다.
1. 저학년을 위한 관련도서
Are You Shy? Nuria Roca (ages 4-7)
Friends: Making Them and Keeping Them. Patty Kelley Criswell (ages 8-12)
Our Friendship Rules. Peggy Moss & Dee Tardif
Say Goodbye to Being Shy: a Workbook to Help Kids Overcome Their Shyness. Richard Brozovich & Linda Chase
Speak Up and Get Along! Scott Copper
Teeth Are Not For Biting. Elizabeth Verdick
We Can Get Along: a Child’s Book of Choices. Lauren Murphy
Words Are Not for Hurting. Elizabeth Verdick
What to Do When You’re Sad & Lonely. James J. Crist
2. 10대를 위한 관련도서
Dude, That’s Rude!. Pamela Espeland & Elizabeth Verdick
Getting with It: a Kid’s Guide to Forming Good Relationships and “Fitting In”. Kim Frank & Susan Smith-Rex
Go Ask Anyone! Cards to Spark Great Conversations with Anyone!
How Rude! The Teenagers’ Guide to Good Manners, Proper Behavior, and Not Grossing People Out. Alex Packer
The ‘How Rude!’ Friendship & Dating manners for Teens: Surviving the Social Scene. Alex Packer
How to Say No and Keep Your Friends: Peer Pressure Reversal for Teens & Preteens. Sharon Scott
Say What You Mean and Get What You Want: the Ultimate Self-Assertion Book for Girls. Tricia Kreitman
The Shyness Workbook for Teens. Bernardo Carducci & Teesue Fields
Where Should I Sit at Lunch? The Ultimate Guide to Surviving the High School Years. Harriet Mosatche & Karen Unger
3. 부모를 위한 관련도서 Best Friends, Worst Enemies: Understanding the Social Lives of Children. M. Thompson & C. O’Neill Grace
Changing Children’s Behavior, by Changing the People, Places and Activities in Their Lives. Richard Munger
Helping Your Socially Vulnerable Child: What to Do When Your Child is Shy, Socially Anxious, Withdrawn or Bullied. Andrew Eisen & Linda Engler
The Hidden Gifts Of the Introverted Child: Helping Your child Thrive in an Extroverted World. Marti Olsen Laney
Nobody Likes Me, Everybody Hates Me: the Top 25 Friendship Problems and How to Solve Them. Michele Borba
Raising an Emotionally Intelligent Child: the Heart of Parenting. John Gottman
Teaching Your Child the Language of Social Success. Marshall Duke
성공적인 사회생활의 핵심은 Social Skill 다음의 몇 가지 질문을 해보면 내 자녀의 Social Skill이 어느 수준에 와 있는지 알아볼 수 있다.
1. 학교나 집에서 말썽을 피우지 않고 주위 사람들로부터 ‘범생이(모범생)’, ‘샌님’, ‘nerd’, ‘geek’라는 소리를 듣는다.
2. 얌전하고 조용해서 누가 말을 시키거나 묻기 전에는 먼저 말하지 않는다.
3. 학교 선생님으로부터 수업시간 참여도가 낮다는 지적을 받는다.
7. 자신의 생각과 의견을 강력하게 주장하지 못한다.
8. 그렇지만 책은 열심히 읽고, 공부도 열심히 하고, 학교 성적도 좋다.
Social Skill이란 ‘사람을 사귀는 기술, 타인과의 관계를 유지할 수 있는 능력’이다. 몇 가지 예를 제시한 것이지만 1에서 7번까지는 Social Skill이 부족함을 말하는 것인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공부를 잘한다는 이유만으로 모든 것이 해결될 것이라고 생각하는 학부모도 있다. 그렇지만 세상을 살아간다는 것은 평생 혼자서 공부하고 좋은 시험점수로만 살아가는 것이 아니라 타인과의 사회생활을 의미하는 것이기에 Social Skill은 매우 필수적인 요소가 된다. 모든 인간은 이 세상을 살아가는 동안 수많은 사람들과 관계를 맺는다. 어떤 사람을 만나 그들과 어떤 관계를 맺느냐에 따라 인생의 향방이 정해지기도 하며 대인관계에 의해 행복과 불행, 성공과 실패가 좌우되기도 하기 때문이다.
카네기 공대에서는 social skills의 중요성을 알아보기 위해 1만 명을 대상으로 연구조사 한 결과 기술적 훈련과 두뇌는 성공요인의 15%를 차지하는 반면 뛰어난 social skill 은 성공요인의 85%를 차지한다고 한다. 또한 하버드 직업센터에서는 직장에서 해고당한 수천 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social skills 즉 대인관계가 서툴러서 해고당한 사람이 업무수행 능력 때문에 해고당한 사람의 2배가 넘는다고 한다. 사회생활에서 성공과 실패를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는 올바른 대인관계라고 할 수 있다. 성공한 사람은 거의 다 대인관계에서 성공한 사람이다. 어느 한 분야에서 훌륭한 업적을 세워 성공한 사람도 있지만 여전히 주위의 스승과 동료의 지도와 협조를 필요로 하고 함께 생활하는 배우자, 부모, 자식, 이웃과도 올바른 대인관계를 형성해야 하는 것이다.
Social skill 이 글로벌 시대의 리더십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는 것을 밝힌 유명한 논문을 소개한다. 유명한 심리학자 Daniel Goleman의 “What Makes a Leader?”라는 논문이 1998년 Harvard Business Review에 게재되어 그 해 최고논문으로 선정되었다. Daniel Goleman은 188개의 글로벌 기업을 대상으로 개인의 어떤 능력이 조직의 성과에 얼만큼 기여하는지를 조사하였다. 또한 저자는 개인의 능력을 다음의 3가지로 분류하고 심층적인 인터뷰와 비교연구를 통해 기업의 리더들이 어떤 능력을 가지고 있는지를 조사하였다.
1. 인지능력(Cognitive abilities)
2. 기술적인 능력(Technical skills)
3. 감성지능(Emotional intelligence)
연구분석 결과, 리더의 인지능력이 기업을 성공적으로 이끄는 중요한 요소이지만 감성 지능이 모든 업무 영역에서 인지능력이나 기술능력에 비해 2배 이상 중요하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특히 최고 리더일수록 감성지능의 중요성이 더욱 커져 조직 성과 차이의 90% 이상이 감성지능의 정도에 따라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사실에 주목하여 최근에는 회사의 성공과 리더의 감성지능 사이의 연간관계에 대한 연구 결과들이 많이 나타나고 있다. 감성지능은 자신의 감정을 잘 이해하고 관리하는 능력으로 타인의 감정을 이해하고 관리하는 능력을 가리키는 말이다. 다시 말해 자신의 마음을 잘 다스리고 다른 사람의 마음까지 움직일 수 있는 사람이 성공할 수 있다는 뜻인데 다음의 5가지로 분류된다.
1. 자기 인식 능력(Self-awareness)
2. 자기 통제 능력(self-regulation)
3. 동기부여 능력(Motivation)
4. 공감대 형성 능력(Empathy)
5. 대인관계/사교적인 기술(Social Skill)
Daniel Goldman의 “What Makes a Leader?”라는 논문의 결론은 전통적인 리더십의 요소라고 할 수 있는 지적 능력, 강경함, 경청 능력, 비전 등은 리더십의 필수요소가 되지만 조직을 성공적으로 이끄는 원동력은 리더의 감성지능이라는 것이다. 그리고 Social Skill은 이 감정지능을 구성하는 중요한 요소라는 것이다.
Social Skill의 구체적 행위
교육전문가 Sue Watson씨는 Social Skill이 포함하는 영역을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Cooperation (협동)
Sharing (나눔)
Participation (¿)
Being a Friend (친구)
Helping Others (돕기)
Being Patient (인내)
Following Direction (지침에 따르기)
Taking Turns (차례 지키기)
Accepting Difference (차이점 수용하기)
Listening (들어주기)
Praising Others (칭찬하기)
Positive Communication and Interactions (긍정적 커뮤니케이션과 대인관계)
Being Polite and Courteous (예절 지키기)
Using Good Manners (좋은 매너)
Being Respectful (존경하기)
구직, 인맥 형성에 큰 몫 하는 ‘Social Skill’
대학시절 충분히 훈련돼야
전문가들은 직장생활이나 사회생활을 하는 데 능력만큼 중요한 것이 Social Skill이라고 입을 모은다. 특히 똑똑한 한인 학생들의 주류 진출을 막는 요소 중 하나가 바로 이 Social Skill이라는 것에도 의견을 같이 했다. 보통 아시안계 남학생들이 여학생들보다 직장 생활에서 Social Skill 문제로 고민을 하는 경우가 많으며, 한국에서 태어나 이민을 왔거나 유학을 온 학생들의 경우 이 문제에 더욱 민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입학 컨설턴트로도 활동하고 있는 이부연 기자(LA 비즈니스 저널)는 입학 컨설팅을 하다보면 성적도 좋고 에세이도 잘 쓰고 하버드 등 아이비리그를 충분히 지원할 만한 실력을 갖춘 학생들 중에서도 Social Skill 부분이 취약한 한인 학생들을 종종 볼 수 있다고 말했다. 악수도 제대로 못하거나 사교성도 없고 눈 맞추기(Eye Contact)조차 힘들어 하는 남학생들이 의외로 많다고 한다.
이 컨설턴트는 “대입 인터뷰 때는 물론이고 대학 졸업 후 요즘은 어떤 분야를 진로로 택하든지 명함을 주고받는 태도부터 시작해서 얼마나 융통성 있는 Social Skill이 필요한지 모른다”며 “대학 4년간 다양한 경험을 통해 꼭 훈련해야 할 것이 바로 Social Skill이며, 대학 4년이라는 시간은 학문만 열심히 닦는 시간이 아니라 사회인으로서의 준비를 하는 과정이다”라고 강조했다.
이어 본인의 경험을 들려주었다.
“펜실베이니아대학 재학 시절, 1학년 때 그룹을 지어 책을 읽고 교수님 댁에서 토론도 하고 점심 식사도 같이 하면서 진행하는 수업이 있었습니다. 언제 어떻게 말을 시작해야 하는지, 포크/나이프/디저트 스푼 사용은 어떻게 사용해야 하는지… 난감했던 경험이 있습니다. 명문 사립고등학교를 나온 친구들이나 백인 친구들은 그래도 어느 정도 분위기를 잘 이끌어가는 것 같았습니다. 물어보니 좋은 사립고등학교에는 사교성을 배우는 클래스가 따로 있다고 하더군요”
이 컨설턴트에 따르면 대학 캠퍼스에는 유명 신문사나 잡지사를 비롯해 골드만삭스와 같은 금융 관련 회사들이 우수한 학생들을 유치하기 위해 수시로 방문한다고 한다. 비공식?공식 인터뷰는 물론, 뮤지컬을 함께 보러 가는 자리를 마련한다든지, 파티 등의 자리를 빌어 자연스럽게 입사 제의를 하기도 한다고. 바로 이 때 필요한 것이 능력과 함께 ‘Social Skill’이며 좋은 Social Skill, 즉 좋은 매너로 적절한 농담도 섞어 가면서 인상적인 대화를 이끄는 것은 그것이 공식적인 자리이든, 비공식 자리이든 자신을 돋보이게 할 수 있는 무기가 될 수 있다.
한편, Social Skill이 충분히 훈련되지 않은 사례 하나를 들어주었다.
성적이 너무 뛰어나 고등학교를 조기 졸업하고 17살에 명문 대학에 입학해 대학 역시 20살이 안되어 조기 졸업한 여학생의 이야기이다. 책 읽기를 좋아하고 글도 잘 쓰는 이 학생은 졸업한 지 2년이 지났지만 직업을 찾지 못했다. 부끄러움도 많이 타고 사교성이 없고 인터뷰 때 말을 제대로 못하는 취약점이 있었던 것이다.
이 컨설턴트는 “Social Skill이 원만하게 갖춰지기 위해서는 일반적인 성장 수준에 맞는 단계 반드시 필요하다”며 “고등학교, 대학교 때 꼭 거쳐야 하는 토론, 문화생활, 여행, 쇼핑, 연애 등의 과정은 지성 뿐 아니라 Social Skill에도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데 이 여학생의 경우 이 단계를 거치지 않아 그 수준에 맞는 Social Skill이 충분히 훈련되지 않았고, 지니고 있던 Social Skill이 성숙될 기회가 없었다”고 지적했다.
한편, EGG컨설팅 그룹 대표로 입시 전문가로 활동하고 있는 허인희 컨설턴트는 Social Skill이 의미있는 대학 생활을 보내는 데도 꼭 필요한 부분이라고 강조했다.
허인희 컨설턴트는 “대학 시절 갖는 모임이나 세미나, 또 이를 통해 맺어지는 동료간, 선후배간 인간관계는 인생 전반에 영향을 미치는 네트워킹”이라며 “Social Skill이 부족해 이러한 인맥 형성의 기회를 놓치면 안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사교성이 없을 뿐인데 그런 나쁜 인상을 주다니…”
하버드 비즈니스 스쿨의 Tiziana Casciaro 교수는 “비즈니스 현장에서 더 일하고 싶은 사람은 능력이 뛰어나고 불쾌한 느낌을 주는 사람이 아니라 약간 능력이 뒤처져도 호감이 가는 사람이다”라고 말한다. 또 Social Skill에 따라서 그 사람이 갖추고 있는 능력의 가치도 달라진다고 강조한다. 한 Social Skill 전문가는 80% 이상이 Social Skill의 부족 때문에 결국 해고통지를 받는 것으로 추산된다는 충격적인 사실을 밝히기도 했다.
‘Social Skill’은 오늘날 학교생활, 직장생활을 하는 데 있어서 더욱 중요한 덕목으로 떠올랐다. 신입사원이나 사회 초년생으로서 다른 사람들과 구별될 수 있는 가장 기본적이고도 핵심적인 요소가 바로 ‘Social Skill’이기 때문이다. 1970년대까지는 친구들과 어울리는 이른 바 ‘놀이터 정캄에 관심이 없었던 똑똑한 아동들은 그저 평범하지 않다고 여겨졌을 뿐 사회적으로 그럭저럭 받아들여졌다. 그러나 1980년대 이후로 교육가들은 놀이터를 미래를 위한 필수 트레이닝 장으로 보고 있으며, 놀이터에 원활하게 적응하지 못하는 아이들은 Social Skill과 관련한 별도의 교육을 위해 전문가를 찾아가는 상황에까지 이르렀다.
다음에서는 Social Skill이 부족해 직장생활에 문제가 된 사례 두 개와, 좋은 Social Skill로 성공적인 직장 생활을 하고 있는 사례 하나를 살펴본다.
사례 1> B군(남)
Social Skill은 사회생활을 하고 있는 B군에게 언제나 핵심 토픽이다. B군은 천성적으로 매우 부끄러움을 많이 타는 성격이다. 사람들과 친해지고 나면 친절하고, 이야기도 많이 하는데 그렇게 되기까지는 정말 시간이 오래 걸린다. 몇 년 동안이나 자신의 부족한 Social Skill을 인식하고 이를 증진시키기 위해 노력을 해왔지만 잘 모르는 사람들 앞에서 사교성을 발휘하기란 여간 어려운 일이 아니다. 2년 전 Social Skill 때문에 문제가 생겼다. 일하고 있는 부서에서 수퍼바이저로 승진했을 때 이야기다. 기름은 물과 금방 분리된다고 했던가? 그는 많은 사람들이 자신을 싫어하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됐다. 사람들이 사교적이지 못했던 B군에 대해 나쁜 인상을 갖게 된 것이다. 그러나 그는 누구에게도 의도적으로 못되게 굴거나, 불공평하게 대한 적이 없다. 사람들을 관리 감독해야 하는 직업의 성격상 이러한 상황은 그를 매우 어려운 궁지로 몰고 갔다. 아무도 그를 수퍼 바이저로서 존중하지도 않았다.
B군 일에 충실했고, 그래서 상사에게도 좋은 인상을 주려고 늘 애썼다. 그러나 B군보다 일도 잘 못하는 다른 수퍼 바이저들은 많은 사람들로부터 왠지 더 인정을 받고 호감도 받았다. 그리고 그런 수퍼바이저들은 맡겨진 업무를 더 쉽게 완성해내곤 했다.
이러한 상황은 B군에게는 매우 화나는 일이었다. "나는 이 직장을 친구를 만들기 위해 들어온 것이 아니야"라며 합리화하고도 싶었지만, 자신도 모르게 주변에는 하나 둘 적이 생길 뿐이었다. B군은 결국 회사를 떠나야 했다. 그는 이제 매니저 스타일의 직업을 또 다시 갖는 것이 두렵다. 이런 일이 반복될 것 같다는 걱정 때문이다. B군에게 있어서 함께 일하기를 좋아하는 상사가 되고, 함께 일하는 사람들로부터 호감과 존경을 동시에 받는 동료가 되는 것은 참 어려운 일이다.
사례 2> A군(남)
명문대학에서 MBA 과정을 마친 A군. 나름대로 재치도 있고 지성도 갖춘 인재처럼 보였다. 첫 직장에 다니면서 얼마간은 동료들도 그런 그를 좋아하는 듯했다. 적어도 처음에는.
그러나 동료들이 A군을 더 잘 알아갈수록 그가 실제로는 재치와 부드러움과는 먼 성격의 소유자라는 것을 깨닫게 되었다. 맡겨진 일도 느릿느릿 해내고, 걸핏하면 직장 선배와 부딪치고, 동료들에게 불쾌한 농담을 하고, 회의 시간에도 제일 늦는 것도 바로 그였다. 결국 A군의 이러한 성격이 직장 선배와 반복적인 문제를 일으키자 동료들은 애매한 입장이 되기 싫어 그를 피하기 시작했다. 물론 직장 선배도 그를 경계했다.
아무도 그와 한 팀을 이뤄 일을 하려고 하지 않았다. 결국 그는 부서에서 고립됐고 우울해지기 시작했다. 마침내 자신이 무엇을 잘못했는가를 고민하기 시작했다.
사례 3> L양
L양의 실력과 경험은 다른 직원들과 별 다를 바가 없다. 그러나 놀랍게도 1년이 지나자 그녀는 시니어 트레이너에서 세 단계를 뛰어넘어 어시스턴트 매니저로 승진을 했다. 그녀는 어떻게 그럴 수 있었을까? 사람마다 취향이 다르다는 뜻인 “Different strokes for different folks”라는 격언을 가장 좋아하는 L양은 다른 사람이 보기에도 Social Skill이 아주 좋았다. 모든 사람을 기본적으로 친절과 신뢰로 대하고, 누군가를 만나는가에 따라 그녀의 사람 대하는 기술은 마치 ‘고개맞춤서비스’처럼 다르게 조절되었다. 모든 사람들이 L양이 누구인지를 알았고, 그 조직에서 존경받는 인물로 자리매김해갔다. L양은 옷 입는 센스도 좋고, 많이 웃고, 사람들과 이야기할 때면 항상 눈을 쳐다보았고, 어투는 부드러우나 자신감이 담겨 있었다.
Social Skill을 키우기 위한 방법
Social Skills은 선천적이기도 하지만 학습에 의해 키워질 수 있다고 하는데 교육자들이 제안하는 구체적인 방법을 소개한다.
I. 저학년 학생의 Social Skill 키우기
1. 자녀에게 작은 일을 시킬 것: 2-3세부터 자신이 수행할 수 있는 작은 일을 시킴으로써 지시에 따르고 복종하는 것과 ‘돕는다는 것’이 좋은 일임을 배울 수 있다.
2. 긍정적인 말과 함께 칭찬을 아끼지 말 것: 지시에 따르고 착한 일을 했을 때는 바로 칭찬해주어야 한다. 칭찬할 때는 “Good, Brilliant”와 같은 말을 하면 자신이 착한 일을 하면 상대방이 고마워한다는 것을 알게 된다. 지시한 사항에 따르지 않았어도 부정적인 말은 피하고 다음에 잘하면 된다고 말해야 한다.
3. Thank you, sorry라는 말로 좋은 습관을 격려해줄 것: 항상 ‘Please’ ‘Thank You’라는 말을 사용하고 잘못된 경우에는 ‘I’m sorry’라고 말하는 모습을 보여주면 자녀도 그대로 따라 하게 될 것이다. 자녀는 부모의 습관을 답습
한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4. 자녀와 대화하고 자녀의 응답을 유도할 것: 자녀가 느끼는 감정에 대해 말할 수 있도록 유도하여 자신이 가지고 있는 좌절감을 배출시키도록 한다. 부모는 이런 대화를 통해 자녀를 이해하고 지도할 수 있게 된다.
5. 친구들과 놀 기회를 많이 제공할 것: 이런 기회를 통해 타인과의 접촉에서 오는 긴장감을 극복하는 방법을 터득하게 되며 친구들과 ‘나눔’에 대한 긍정적인 개념도 배운다.
II. 청소년을 위한 Social Skill 키우기 방법
1. 모든 사람에게 웃음으로 대하라. 2. 가능한 많은 이름을 기억하라.
3. “Good morning” “good afternoon” 등 친절하게 인사하라.
4. 주저 말고 질문 하라.
5. 무엇을 말할지 모르겠으면 새로운 질문으로 시작하라.
6. 자신의 실수를 인정하라.
7. 상대방이 중요하게 여기는 것에 관심을 표하라.
8. 깔끔한 외모도 중요하다.
9. 친절한 태도를 가져라.
10. 칭찬을 아끼지 말라.
11. 용서하는 일에 인색하지 말라.
12. 상대방의 기분을 배려하라.
13. 사람과 만나는 것을 기쁘게 받아들이라.
14. 상대방이 하는 말에 집중하라.
15. 자신에 대해 언제, 어떻게, 얼만큼 말할지 조절하라.
16. 적절한 눈맞춤(eye contact)은 중요하다.
17. 말투, 억양, 몸짓도 커뮤니케이션의 핵심요소다.
특히 중학생에게 필요한 Social Skills
중학생이 되면 우선은 친구관계가 복잡해질 수 있고 좀 더 다양한 사회접촉이 시작되기 때문에 올바른 Social Skills을 키우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다음은 중학생들이 친구관계, 학교 수업 그리고 어른들과 접촉 시 필요한 Social Skills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정리해
보았다.
1. 비평 받아들이기
2. 거절 (“No”) 받아들이기
3. 식탁 매너 갖추기
4. 잘못을 인정하기
5. 감정표현과 두려움관리
6. 올바른 자기소개, 지시에 따르기
7. 타인과의 대화, 유머감각
8. 올바른 드레스감각
9. 때와 장소에 맞는 언어사용
10. 질문하기, 약속시간 맞추기
11. 그룹 토론기술, 방해가 되는 주위환경 무시하기
12. 경청하기, Peer Pressure 견디기
13. 새로운 상황에 도전하기
14. 용서하기, 도움요청하기, 갈등해소 능력 15. 대화기술, Bullying 대처능력
16. 슬픔과 위안 표현하기, 감사표시
17. 새로운 친구 사귀기, 친구관계 유지
18. 소문에 대처하기, 요청 거절하기
19. 폭력에 대한 올바른 대응
20. 응급상황 대처능력, 쇼핑방법, 공공장소 에티켓
참고로 Social Skill에 도움이 되는 연령별 도서목록이다.
1. 저학년을 위한 관련도서
Are You Shy? Nuria Roca (ages 4-7)
Friends: Making Them and Keeping Them. Patty Kelley Criswell (ages 8-12)
Our Friendship Rules. Peggy Moss & Dee Tardif
Say Goodbye to Being Shy: a Workbook to Help Kids Overcome Their Shyness. Richard Brozovich & Linda Chase
Speak Up and Get Along! Scott Copper
Teeth Are Not For Biting. Elizabeth Verdick
We Can Get Along: a Child’s Book of Choices. Lauren Murphy
Words Are Not for Hurting. Elizabeth Verdick
What to Do When You’re Sad & Lonely. James J. Crist
2. 10대를 위한 관련도서
Dude, That’s Rude!. Pamela Espeland & Elizabeth Verdick
Getting with It: a Kid’s Guide to Forming Good Relationships and “Fitting In”. Kim Frank & Susan Smith-Rex
Go Ask Anyone! Cards to Spark Great Conversations with Anyone!
How Rude! The Teenagers’ Guide to Good Manners, Proper Behavior, and Not Grossing People Out. Alex Packer
The ‘How Rude!’ Friendship & Dating manners for Teens: Surviving the Social Scene. Alex Packer
How to Say No and Keep Your Friends: Peer Pressure Reversal for Teens & Preteens. Sharon Scott
Say What You Mean and Get What You Want: the Ultimate Self-Assertion Book for Girls. Tricia Kreitman
The Shyness Workbook for Teens. Bernardo Carducci & Teesue Fields
Where Should I Sit at Lunch? The Ultimate Guide to Surviving the High School Years. Harriet Mosatche & Karen Unger
3. 부모를 위한 관련도서 Best Friends, Worst Enemies: Understanding the Social Lives of Children. M. Thompson & C. O’Neill Grace
Changing Children’s Behavior, by Changing the People, Places and Activities in Their Lives. Richard Munger
Helping Your Socially Vulnerable Child: What to Do When Your Child is Shy, Socially Anxious, Withdrawn or Bullied. Andrew Eisen & Linda Engler
The Hidden Gifts Of the Introverted Child: Helping Your child Thrive in an Extroverted World. Marti Olsen Laney
Nobody Likes Me, Everybody Hates Me: the Top 25 Friendship Problems and How to Solve Them. Michele Borba
Raising an Emotionally Intelligent Child: the Heart of Parenting. John Gottman
Teaching Your Child the Language of Social Success. Marshall Duke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