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녀교육-부모와 자녀간의 바람직한 대화방법
페이지 정보
작성자 엘렌공주 댓글 0건 조회 1,357회 작성일 09-08-10 09:57
본문
부모와 자녀간의 바람직한 대화방법
(1) 부정적인 접근 대화
·자녀의 현실을 고려하지 않는 높은 기대나 과욕을 부린다.
·형제 간에 경쟁을 유발한다.
·이중 기준을 적용한다.
(2) 격려하는 태도의 대화
·자녀를 있는 그대로 수용한다. ·조건 없이 인정한다. ·아이의 고자질을 무시한다. ·긍정적인 태도를 보인다.·자녀의 가능성을 신뢰하면 아이들도 자신감을 갖게 된다.·장점, 잘 하는 것, 친구나 가족을 위해 공헌한 것에 관심을 보인다.·노력과 향상을 인정한다.·칭찬하기보다 격려한다.
(3) 격려하는 말의 실례
·자녀의 행동에 대해서만 가치를 평가하지 않도록 주의한다.
·지나치게 칭찬을 사용할 경우 아이들이 자신을 믿는데 도움이 되기 보다 오히려 부모 자신의 가치나 의견을 나타내는 것으로 될 수 있다.
◎수용을 나타내는 말“네가 그것으로 기뻐하니 기쁘다.”
◎신뢰를 나타내는 말“넌 해 낼 거라 믿어.”"엄마는 네판단을 믿는다.”
◎공헌, 가치를 인정하는 말“고맙다. 정말 많은 도움이 됐어.”
◎노력과 개선을 인정하는 말“그 일에 대해 많이 생각했구나.”
◎주의해야 할 표현“너는 그 일을 정말 열심히 하는 것 같구나. 그런데 왜 항상 그렇지 않니?”
의사소통
-의사소통의 기본
(1) 상호존중
부모와 자녀가 감정적으로 서로 거부한다는 두려움 없이 솔직하게 자신의 신념과 느낌을 표현하도록 허용하는 것. 다른 사람이 말한 것을 받아들인다는 것을 의미.
(2) 경청
·부모가 자녀에 대해 동의하지 않을 때에도 자녀의 감정을 받아들인다는 수용자세.·어휘나 억양을 통해서도 나타낼 수 있다.·효과적으로 듣기 위해서는 집중이 필요하다.·‘내가 듣고 있다’는 자세와 시선 맞추기.·잘 듣기 위해서는 침묵도 필요, 때로는 반응도 필요하다.
-의사소통 과정
(1) 반영적 경청
·자녀가 느끼고 의미하는 것을 파악하는 것.·아이 자신을 좀더 분명하게 볼 수 있는 거울 역할을 한다.·아이의 감정과 의미를 반영하는 개방적인 반응을 의미.·비평가적이여야 한다. ·자신의 이야기를 부모가 듣고 있다고 느끼게 하며 계속 이야기하도록 격려한다.
◎행복한 느낌을 주는 단어
좋다, 대단하다, 훌륭하다, 행복하다, 사랑한다, 자랑스럽다, 안심이다, 존경한다, 기쁘다, 할 수 있다, 멋지다, 믿는다 등
(단 주의할 점은 단정적이지 말 것, 마음을 다 아는 듯한 어투는 피할 것, 억양은 낮게 한다)
◎행복한 느낌을 주는 행동
안아주기, 뽀뽀해 주기, 등 두드려 주기, 간지럼 태우기, 손잡기, 머리 쓰다듬어 주기, 웃음, 사랑스러운 눈 맞춤, 어깨 감싸 안아 주기 등.
(2) 대안 찾기
충고는 아이들을 의존적으로 만든다. 오히려 대안을 찾도록 돕는다.
◎대안 찾기의 단계
·반영적 경청(감정을 분명하게 알기 위해)“기분이 몹시 상했구나!”
·브레인 스토밍을 통해 많은 생각을 하게 하고 여러 가지 대안을 찾는다
·여러 가지 가능성을 평가해 아이가 해결책을 선택하도록 돕는다.
·선택한 해결책의 결과를 예상하며 대화한다.
·최종으로 결정한 해결책을 물어 본다.
·시행 시간을 계획한다.
(1) 부정적인 접근 대화
·자녀의 현실을 고려하지 않는 높은 기대나 과욕을 부린다.
·형제 간에 경쟁을 유발한다.
·이중 기준을 적용한다.
(2) 격려하는 태도의 대화
·자녀를 있는 그대로 수용한다. ·조건 없이 인정한다. ·아이의 고자질을 무시한다. ·긍정적인 태도를 보인다.·자녀의 가능성을 신뢰하면 아이들도 자신감을 갖게 된다.·장점, 잘 하는 것, 친구나 가족을 위해 공헌한 것에 관심을 보인다.·노력과 향상을 인정한다.·칭찬하기보다 격려한다.
(3) 격려하는 말의 실례
·자녀의 행동에 대해서만 가치를 평가하지 않도록 주의한다.
·지나치게 칭찬을 사용할 경우 아이들이 자신을 믿는데 도움이 되기 보다 오히려 부모 자신의 가치나 의견을 나타내는 것으로 될 수 있다.
◎수용을 나타내는 말“네가 그것으로 기뻐하니 기쁘다.”
◎신뢰를 나타내는 말“넌 해 낼 거라 믿어.”"엄마는 네판단을 믿는다.”
◎공헌, 가치를 인정하는 말“고맙다. 정말 많은 도움이 됐어.”
◎노력과 개선을 인정하는 말“그 일에 대해 많이 생각했구나.”
◎주의해야 할 표현“너는 그 일을 정말 열심히 하는 것 같구나. 그런데 왜 항상 그렇지 않니?”
의사소통
-의사소통의 기본
(1) 상호존중
부모와 자녀가 감정적으로 서로 거부한다는 두려움 없이 솔직하게 자신의 신념과 느낌을 표현하도록 허용하는 것. 다른 사람이 말한 것을 받아들인다는 것을 의미.
(2) 경청
·부모가 자녀에 대해 동의하지 않을 때에도 자녀의 감정을 받아들인다는 수용자세.·어휘나 억양을 통해서도 나타낼 수 있다.·효과적으로 듣기 위해서는 집중이 필요하다.·‘내가 듣고 있다’는 자세와 시선 맞추기.·잘 듣기 위해서는 침묵도 필요, 때로는 반응도 필요하다.
-의사소통 과정
(1) 반영적 경청
·자녀가 느끼고 의미하는 것을 파악하는 것.·아이 자신을 좀더 분명하게 볼 수 있는 거울 역할을 한다.·아이의 감정과 의미를 반영하는 개방적인 반응을 의미.·비평가적이여야 한다. ·자신의 이야기를 부모가 듣고 있다고 느끼게 하며 계속 이야기하도록 격려한다.
◎행복한 느낌을 주는 단어
좋다, 대단하다, 훌륭하다, 행복하다, 사랑한다, 자랑스럽다, 안심이다, 존경한다, 기쁘다, 할 수 있다, 멋지다, 믿는다 등
(단 주의할 점은 단정적이지 말 것, 마음을 다 아는 듯한 어투는 피할 것, 억양은 낮게 한다)
◎행복한 느낌을 주는 행동
안아주기, 뽀뽀해 주기, 등 두드려 주기, 간지럼 태우기, 손잡기, 머리 쓰다듬어 주기, 웃음, 사랑스러운 눈 맞춤, 어깨 감싸 안아 주기 등.
(2) 대안 찾기
충고는 아이들을 의존적으로 만든다. 오히려 대안을 찾도록 돕는다.
◎대안 찾기의 단계
·반영적 경청(감정을 분명하게 알기 위해)“기분이 몹시 상했구나!”
·브레인 스토밍을 통해 많은 생각을 하게 하고 여러 가지 대안을 찾는다
·여러 가지 가능성을 평가해 아이가 해결책을 선택하도록 돕는다.
·선택한 해결책의 결과를 예상하며 대화한다.
·최종으로 결정한 해결책을 물어 본다.
·시행 시간을 계획한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