숙제, 발전적 학교생활의 이정표
페이지 정보
작성자 장미 댓글 0건 조회 1,035회 작성일 15-06-01 09:36
본문
새학기가 시작된 지도 이제 몇 주가 지나 학과공부도 적응이 되어 학교생활에서 새로운 재미를 느낄 때이다.
하지만 나이와 학년에 따라 학교에서 요구하는 숙제의 양과 빈도수는 각각 달라서 아직 학교숙제를 하는데 익숙하지 않은 어린이들에게는 자칫 잘못하면 숙제 때문에 부모님과 마찰이 생길 수 있다.
숙제의 중요성과 아이들에게 공부습관을 들이는 방법에 대해 생각해 보자. 학교숙제 때문에 부모님과 아이들 사이에 마찰이 생기는 경우는 대개 다음의 경우이다.
*급하게 해치워 버리기 때문에 깔끔하게 하지 않거나 다 하지 못한다.
*TV 등을 보면서 숙제를 하기 때문에 실수가 많다.
*중요한 프로젝트 등도 마지막 순간까지 미루다가 급하게 한다
*숙제를 잘 하지 않으려고 하고 끝까지 안 하든지 시간이 너무 걸린다
*숙제를 잊어 버리고 집에 가져오지 않는다
*숙제를 도와주다가 아이보다 부모가 더 많이 한다
학교숙제 때문에 학부모와 자녀간에 가져오는 마찰은 학부모가 아이들에게 동기부여하는 방법을 배우고 자녀가 숙제하는 방법을 배움으로써 해소할 수 있다.
숙제는 학습효과를 높이며 학교성적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또한 책임감, 시간관리 능력, 독립심, 자긍심 등 당장 눈에 보이지 않는 가치개발에도 도움을 준다. 숙제는 부모와 학교를 연결하는 다리의 역할을 하며 아이의 교육과정을 보게 해주는 창문이다.
성공하는 학생은 정리정돈, 조직력이 강하고 독립적으로 공부할 수 있는 능력이 있는 학생이다. 보통 초등학교에서는 특별한 노력없이도 좋은 성적을 받기가 쉽다. 그러나 중학교, 고등학교에 들어갔을 때 필요한 이런 정리정돈, 조직력은 어렸을 때 길러주어야 한다.
다음은 아동교육학자인 안드레아 페스트락 박사의 자녀와 학교 숙제 때문에 마찰하는 부모에게 주는 조언이다. Parenting은 쉬운 것이 아니지만 필요한 Motivation skill을 배워서 자녀들의 숙제시간에 도움을 주고 스트레스 적은 부모 자녀간의 관계를 유지하는데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1. 공부할 수 있는 적당한 장소를 제공하라. 가능하면 조용하고 방해가 없는, 조명이 잘되며 아이에게 편안안 느낌을 줄 수 있는 장소로 필요한 장비를 갖춘 ‘공부방’이 필요하다.
2. 정해진 시간에 숙제하는 습관을 길러주고 매일매일의 일과표를 작성하게 하여 아이가 그에 따라 할 수 있도록 도와주라.
3. 자녀에게 스스로 숙제(공부)를 하도록 격려하고 도움이 필요한 경우에는 아이가 먼저 스스로 해 본 후에 도와주도록 한다. 자녀들이 스스로 하도록 가르치지 않으면 자녀들은 부모가 모든 것을 다해 주기를 기대한다.
4. 칭찬을 많이 하라. 칭찬은 자녀의 나이가 많고 적음에 관계없이 좋은 효과를 주며 특별히 동기유발이 어려운 아이일수록 중요한 역할을 한다.
건성으로, 습관적으로 하는 칭찬이 아닌 진심이 들어있는 칭찬을 하라. 아이가 계속적으로 노력하도록 격려하라.
몸짓으로(hug or pat on the shoulder) 표시하라. 자녀에게서 최선을 기대하고 그들을 승리자로 대접해 주라.
아이들은 누가 자기에게 그렇게 기대하고 대우할 때 동기유발이 된다. 아이들이 성공하기를 바라는 부모는 계속 자녀에게 같은 신호를 보낸다 “너는 특별해, 넌 할 수 있어, 나는 네가 할 수 있다고 믿어, 나는 너를 포기하지 않아.” 이같은 신호는 말로써, 행동으로, 또 부모가 자녀를 대하는 태도에서 계속 나타내어야 한다.
5. 자녀가 좋아할 만한 상을 준비한다. 말로만 하는 칭찬은 나이가 어린 자녀에게는 충분하지 못할 때가 있다. 스티커나 영화구경, 부모와 함께 지내는 특별한 시간 등으로 보상해 준다.
6. 부모는 자녀에게 숙제의 책임을 다하는 것을 기대한다는 점을 분명하게 이야기 하고 자녀가 부모에게 말로 다투려고 할 때에는 다툼을 피하라.
같이 다툼으로써 부모는 감정이 격화되어서 자녀의 숙제에 대한 책임감의 문제에서 부모의 공정성(fairness)으로 문제의 초점이 바뀌어진다.
말로 듣지 않을 때에는 자녀로 하여금 숙제를 하든지 아니면 숙제를 마칠 때까지는 자녀가 좋아하는 특별한 게임이나 TV시간을 갖지 못하게 하는 선택을 하게 하라.
7. 학부모와 학교 선생님과의 파트너십으로 건강한 공부습관을 기르는데 도움을 준다. 학교와 부모간에 열린 대화의 채널을 통해 아이의 학습발달에 도움을 주고 문제점은 조기에 발견하게 된다.
성적표를 받는 날이나 컨프런스날 까지 기다리지 말고 수시로 연락하여 아이가 학교에서 어떻게 지내는지 확인하라.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