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장호르몬이 잘 분비되는 봄! 우리 아이 키 크기 프로젝트
페이지 정보
작성자 harvard 댓글 0건 조회 1,276회 작성일 11-01-13 11:43
본문
키가 잘 자라지 않는 아이를 보면 부모는 속이 탄다. 이러한 마음에 부모들이 가장 범하기 쉬운 실수 중 하나가 바로 키에 집중하는 것이다. 이보다는 키가 크지 않는 원인을 찾고 키가 클 수 있는 신체 내외의 환경을 조성해주는 것이 현명하다.
내 아이 키 성장, 원인에 집중하라
키가 크지 않는 경우는 여러 가지가 있다. 성장클리닉을 전문적으로 운영하고 있는 하이키한의원에 따르면 밥을 잘 안 먹을 때, 감기를 달고 살 때, 땀을 너무 많이 흘릴 때, 비만이 있을 때, 스트레스가 과도할 때, 아토피나 비염 등 알레르기가 있을 때, 잠을 잘 못 잘 때 키가 자라지 않는다고 한다. 이 중 어떤 이유 때문에 아이가 키가 안 크는지를 확인해 그 이유를 없애는 것이 아이 키 성장의 핵심이 돼야 한다.
하이키한의원 박승만 대표원장은 “만성적 전신 질환이나 호르몬 분비 이상, 선천적 질환이 있는 등 성장호르몬 요법이 반드시 필요한 경우도 있다”며 “그러나 그렇지 않은 대부분의 아이들은 키 성장을 저해하는 원인을 찾아 이를 억제해 키가 잘 자랄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키는 아무 때나 자라는 것이 아니다. 장애가 있다면 성장판이 닫히기 전에, 2차 성징이 일어나기 전에 조치를 취해야 한다.
어떤 부모들은 고등학교 가서 뒤늦게 확 크는 아이들도 있다면서 방심하기도 한다. 만약 부모가 뒤늦게 컸고, 아이가 돌 전후에는 작았으나 점차 남들처럼 1년에 평균 5~6cm씩 자라고 있다면, 뒤늦게 성장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지켜보는 것도 괜찮다. 이런 아이들은 체질상 성장이 뒤늦게 나타나 단기간에 급성장해 정상 범위 안에 포함된다. 하지만 기다리다가 성장판이 아예 닫혀버린다면 영영 돌이킬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체질적으로 뒤늦게 자랄 수 있는 것인지 역시 전문가에게 검사를 받아야 한다.
키 크는 시기 놓치면 안 돼
그러면 언제쯤 치료를 받는 것이 좋을까. 아이가 1년에 4cm도 자라지 않으면서, 또래들의 평균키보다 10cm 이상 작다면 초등학교 1학년 정도에는 원인을 찾아 치료를 시작하는 것이 좋다. 만약 부모가 모두 작고, 아이도 매우 작다면 24개월 정도부터는 적절한 처방을 받아 성장을 도와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이 키 성장을 위해서는 봄을 놓쳐서는 안 된다. 봄이 되면 우리 몸의 혈액순환과 신진대사가 활발해져 성장호르몬이 잘 분비될 수 있는 몸속 환경이 만들어진다. 이 때 성장호르몬이 잘 나올 수 있도록 촉진시키는 치료를 해 성장호르몬 분비를 원활하게 하면 키가 더 잘 클 수 있다.
한국식품연구원과 공동 연구를 통해 개발한 신물질인 KI-180을 개발해 성장촉진제로 특허를 받은 하이키한의원의 박 대표원장은 “성장호르몬 촉진 치료는 성장호르몬을 외부에서 주입하는 인위적인 방법이 아니라 성장호르몬이 잘 분비되도록 자연 촉진시키는 것”이라며 “이와 함께 뼈 성장에도 도움을 줘 건강하게 키가 자라는 데 도움을 준다”고 강조했다. 아이의 키가 잘 자라도록 하기 위해서는 성장에 저해가 되는 요인들을 함께 치료하는 것이 중요하다. 밥을 안 먹는 아이는 비위를 다스려주고, 땀을 많이 흘리는 아이에게는 기를 보충해주는 등의 치료를 할 수 있다. 특히 아토피, 천식, 비염 등 알레르기 때문에 키가 안 크는 아이들이 많은데, 이 경우에는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항원을 억제시키는 치료를 한다.
|
키가 크지 않는 경우는 여러 가지가 있다. 성장클리닉을 전문적으로 운영하고 있는 하이키한의원에 따르면 밥을 잘 안 먹을 때, 감기를 달고 살 때, 땀을 너무 많이 흘릴 때, 비만이 있을 때, 스트레스가 과도할 때, 아토피나 비염 등 알레르기가 있을 때, 잠을 잘 못 잘 때 키가 자라지 않는다고 한다. 이 중 어떤 이유 때문에 아이가 키가 안 크는지를 확인해 그 이유를 없애는 것이 아이 키 성장의 핵심이 돼야 한다.
하이키한의원 박승만 대표원장은 “만성적 전신 질환이나 호르몬 분비 이상, 선천적 질환이 있는 등 성장호르몬 요법이 반드시 필요한 경우도 있다”며 “그러나 그렇지 않은 대부분의 아이들은 키 성장을 저해하는 원인을 찾아 이를 억제해 키가 잘 자랄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키는 아무 때나 자라는 것이 아니다. 장애가 있다면 성장판이 닫히기 전에, 2차 성징이 일어나기 전에 조치를 취해야 한다.
어떤 부모들은 고등학교 가서 뒤늦게 확 크는 아이들도 있다면서 방심하기도 한다. 만약 부모가 뒤늦게 컸고, 아이가 돌 전후에는 작았으나 점차 남들처럼 1년에 평균 5~6cm씩 자라고 있다면, 뒤늦게 성장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지켜보는 것도 괜찮다. 이런 아이들은 체질상 성장이 뒤늦게 나타나 단기간에 급성장해 정상 범위 안에 포함된다. 하지만 기다리다가 성장판이 아예 닫혀버린다면 영영 돌이킬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체질적으로 뒤늦게 자랄 수 있는 것인지 역시 전문가에게 검사를 받아야 한다.
키 크는 시기 놓치면 안 돼
그러면 언제쯤 치료를 받는 것이 좋을까. 아이가 1년에 4cm도 자라지 않으면서, 또래들의 평균키보다 10cm 이상 작다면 초등학교 1학년 정도에는 원인을 찾아 치료를 시작하는 것이 좋다. 만약 부모가 모두 작고, 아이도 매우 작다면 24개월 정도부터는 적절한 처방을 받아 성장을 도와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이 키 성장을 위해서는 봄을 놓쳐서는 안 된다. 봄이 되면 우리 몸의 혈액순환과 신진대사가 활발해져 성장호르몬이 잘 분비될 수 있는 몸속 환경이 만들어진다. 이 때 성장호르몬이 잘 나올 수 있도록 촉진시키는 치료를 해 성장호르몬 분비를 원활하게 하면 키가 더 잘 클 수 있다.
한국식품연구원과 공동 연구를 통해 개발한 신물질인 KI-180을 개발해 성장촉진제로 특허를 받은 하이키한의원의 박 대표원장은 “성장호르몬 촉진 치료는 성장호르몬을 외부에서 주입하는 인위적인 방법이 아니라 성장호르몬이 잘 분비되도록 자연 촉진시키는 것”이라며 “이와 함께 뼈 성장에도 도움을 줘 건강하게 키가 자라는 데 도움을 준다”고 강조했다. 아이의 키가 잘 자라도록 하기 위해서는 성장에 저해가 되는 요인들을 함께 치료하는 것이 중요하다. 밥을 안 먹는 아이는 비위를 다스려주고, 땀을 많이 흘리는 아이에게는 기를 보충해주는 등의 치료를 할 수 있다. 특히 아토피, 천식, 비염 등 알레르기 때문에 키가 안 크는 아이들이 많은데, 이 경우에는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항원을 억제시키는 치료를 한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