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열의 3대 원칙을 지킨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뽕킴 댓글 0건 조회 1,631회 작성일 09-12-05 17:50
본문
보기쉬운 진열이라는 것은 모든 나열된 상품이 보이도록 한다는 것이 아니다. 보기 나쁜 진열을 줄이고 판매하고 싶은 중점상품을 가장 눈에 쉽게 들어오게 하는 것이다.
보기쉽게 진열하는 데는 물리적인 보기쉬움과 심리적인 보기쉬움이라하 는 양면성을 고려하지 않으면 안된다. 물리적이라는 것은 보기쉬운 높이 로, 선택하기 쉽고 바르고, 풍부하게 그리고 배합해서 보는 것이다.
또 심리적인 보기쉬움이라는 것은 느낌이 좋게 상품가치를 높여서 변화 를 주고 즐겁고 아름답게 보이게 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밝기, 높이, 진열의 형태, 상품의 종류 등이 그 요소가 된다.
① 밝기
밝기에 대해서는 점내 전체를 일정기준의 밝기를 유지하는 것만이 아니 라 점두부분, 구석, 전시 진열 주변을 다른 곳보다 밝게 하여 눈에 띄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② 높이
높이라는 것은 눈 높이가 가장 보기 쉽다라는 점에서 이 부분을 유효하 게 사용하는 것이다. 즉 눈 높이에서 가슴부근의 높이까지가 가장 보기쉬 운 범위이고 일반적으로 이것을 황금공간이라고 부르고 있다. 바꿔 말하 면 [최고 유효 진열범위]라고 해도 좋을 것이다.
③ 진열의 형태
진열의 형태라는 것은 정형(定型)을 활용하고 점포 독자적인 진열에 응 용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매장의 진열방법으로는 전반진열(보충진열)과 중점진열의 두가지 방법이 있다.
그리고 이 전반진열을 합리적으로 전개하기 위하여는 그 점포의 [상품 구성에의 적합성], [판매형식에의 적합성], [동선계획에의 적합성],[점포 공간에의 적합성]이라고 하는 네가지 측면에서 세밀하게 검토하지 않으면 안된다.
④ 상품의 종류
상품의 종류라는 것은 상품의 형상, 색체, 가격 등에 의해서 보기 쉬운 진열방법이 달라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일반원칙으로는 다음과 같을 들 수가 있다.
* 형태가 작은 것은 앞에 큰것은 뒤에
* 색체가 어두운 것은 앞에 밝은것은 뒤에
* 가격이 싼 것은 앞에 비싼 것은 뒤에
* 계절상품, 유행상품은 앞에 일반품은 뒤에
도표 4-7은 매장에 있어서 밝음의 표준을 나타낸 것이고 도표 4-8은 황 금공간의 개념을 나타낸 것이다.
도표 4-7 각 공간에서의 밝기의 표준
도표 4-8 가장 보기 쉽고 손이 닿기 쉬운 범위
(2) 선택이 용이한 진열
선택이 용이한 진열이라는 것은 어느 상품이 어디에 진열되어 있는가, 이것 저것 점원에게 물어보지 않고도 고객이 고르기 쉽도록 진열하는 것 이다. 또 선택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은 품목수가 많이 있다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양복 한벌을 선택할 경우에도 색을 결정하든가 형태를 결정 하든가 소재를 결정하든가 가격을 결정하든가 그 어느 것이든 자기의 욕 구에 맞추어 일정한 기준에서 상품폭을 좁혀서 실제로 선택이 시작되는 것이다. 고객의 상품선택 즐거움이라는 것은 이 상품폭을 좁힌 후 선택에 시간을 들인다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우선 상품의 관련성을 생각한 위에 분류진열을 행해 가는 것이 필요하다.
그 분류의 방법이나 배치 장소는 그 점포의 판매방침이나 점포의 규모, 업종. 업태에 의해서 다르게 되지만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① 소재별, 성별, 년령별 등 상품 그룹으로 크게 분류한다.
② 그 다음에 산지별, 메이커별, 용도별 등으로 분류한다.
③ 다음은 가격별, 디자인별, 형태별로 작고 세밀하게 분류한다.
이와같이 어떠한 목적을 갖고 상품을 명확하게 분류하여 진열한다는 것 은 고객측에 대해서는 매우 [선택하기 쉽다]고 하는 편리성을 제공하게 것이 된다. 또한 단순히 선택하기 쉽다는 측면만이 아니라 점포측에서도 그것에 의해 상품관리가 용이하게 된다는 효용도 있는 것이다.
(3) 손에 닿기 쉬운 진열
이것은 쉽게 만져볼 수 있다고 하는 것이다. 닿기 쉽다라는 것은 발돋 움하지 않고, 진열대위에 올라서지 않고서도 무리하지 않고 용이하게 꺼 낼 수 있다고 하는 것이다. 그와 동시에 손에 닿고도 상품이 떨어지거나 손상하게 되는 일이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손에 닿기쉬운 진열, 손에 잡기쉬운 진열이라는 것은 또한 보기쉽고 손 에 잡히기쉬운 유효진열 범위 가운데에서 가장 중요한 순서를 설정하여 판매하고 싶은 중점상품을 효율좋은 위치에 진열하는 것이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