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가상각
페이지 정보
작성자 angelica 댓글 0건 조회 1,971회 작성일 14-01-29 05:02
본문
자산 중 토지처럼 시간의 경과에 따라 가치의 감소가 일어나지 않는 자산을 제외한 건물이나 기계장치 등은 감가상각이란 것을 통하여 자산의 원가를 일정한 기간동안 비용화하게 된다. 즉, 회계에서 말하는 감가상각은 자산의 가치평가의 개념이 아니라 취득원가의 배분 개념을 의미한다. 즉, 수익과 비용을 적절한 대응을 위해 “취득원가를 자산의 내용연수에 걸쳐 체계적이고 합리적인 방법으로 배분하는 과정”으로 본다.
1. 감가상각대상자산
1. 감가상각대상자산
유형자산의 대표적인 것으로는 건물(부속설비를 포함) 및 구축물, 차량 및 운반구, 공기구 및 비품, 기계 장치가 있으며 그 외에도 선박 및 항공기나 동물 및 식물도 이에 속한다.
2. 감가상각의 요소
(1) 취득원가
자산이 취득 되어 원래의 목적대로 사용될 수 있는 상태에서 이르기까지 필요한 모든 지출액을 말한다.
(2) 내용연수
유형자산이 처분되는 이유는 물리적인 요인과 경제적인 요인으로 구분할 수 있다. 물리적 요인은 마모, 쇠퇴, 재해손상 등을 들 수 있으며 경제적 요인으로는 신제품, 신기술, 신공정 등의 발달로 인한 자산의 진부화, 대체 등이 있다.
내용연수란 이러한 요인들을 고려하여 당해 자산을 사용, 수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는 기간을 말한다.
내용연수란 이러한 요인들을 고려하여 당해 자산을 사용, 수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는 기간을 말한다.
(3) 잔존가치
내용연수 종료 후 외부에 처분되는 처분가치를 말한다.
(4) 감가상각방법
기업회계기준에서는 ‘합리적이고 체계적인 감가상각비의 배분’을 중요시하므로 감가상각방법은 다양하다. 그 중 대표적인 감가상각방법은 다음과 같다.
⊙ 정액법
자산의 가치감소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비례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매 회계기간에 동일한 금액으로 상각하는 방법이다.
자산의 가치감소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비례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매 회계기간에 동일한 금액으로 상각하는 방법이다.
⊙ 정률법
매 기간에 그 때까지 아직 상각되지 않고 남아 있는 자산의 장부가액에 일정한 상각률을 곱하여 상각액을 계산하는 방법이다. 그러므로 정률법을 따르는 경우 초기에는 감가상각비가 많이 계상되고 후기에는 감가상각비가 적게 계상된다.
매 기간에 그 때까지 아직 상각되지 않고 남아 있는 자산의 장부가액에 일정한 상각률을 곱하여 상각액을 계산하는 방법이다. 그러므로 정률법을 따르는 경우 초기에는 감가상각비가 많이 계상되고 후기에는 감가상각비가 적게 계상된다.
⊙ 생산량 비례법
광산, 유전, 삼림 등 생산량(매장량) 또는 사용량에 비례하여 가치가 소멸되는 유형 자산의 감가상각에 적용하는 방법이다.
광산, 유전, 삼림 등 생산량(매장량) 또는 사용량에 비례하여 가치가 소멸되는 유형 자산의 감가상각에 적용하는 방법이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