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가변동과 재고자산의 평가방법
페이지 정보
작성자 angelica 댓글 0건 조회 1,895회 작성일 14-01-29 04:59
본문
제조업 등을 영위하는 기업은 물가가 변동 하는 경우 재고자산(원재료, 재공품, 제품등)의 평가방법의 선택에 따라 기업의 이익을 조절 할 수 있는데, 재고자산의 평가방법에는 선입선출법, 평균법, 후입선출법이 있다. |
재고자산을 평가하는 것은 매출에 대비되는 매출원가를 산정하기 위해서는 기초의 재고자산에 당기 매입한 금액을 합한 금액에 기말 재고자산의 가액을 차감하는데 이 때 기말 재고자산 금액을 결정하기 위함이다.

기말 재고자산이 가장 최근에 구입한 재고자산의 원가라고 가정하여 평가하는 방법이 선입선출법, 가장 오래 전에 구입한 재고자산의 원가라고 가정하여 평가하는 방법이 후입선출법, 그리고 평균원가라고 가정하는 것이 평균법이다.
즉, 선입선출법은 먼저 들어온 재고자산이 먼저 나간다는 가정이고, 후입선출법은 나중에 들어온 재고자산이 먼저 나간다는 가정이며, 먼저와 나중의 구분없이 나간다는 가정이 평균법이다.

선입선출법을 적용한 기업이 평균법이나 후입선출법을 적용한 기업보다 기말 재고자산가액이 가장 최근의 항목으로 매입(생산)한 항목으로 구성되므로 기말재고평가액이 더 클 것이며, 과거의 낮은 단가의 항목이 매출원가를 구성할 것이다. 따라서 이익이 많이 나는 회사는 물가변동이 심할수록 후입선출법>총평균법>선입선출법의 순서로 기업의 이익을 줄여 절세할 수 있는 방향으로 선택할 수 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