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산의 속성과 정의 > 회계&세무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회계&세무


 

자산의 속성과 정의

페이지 정보

작성자 angelica 댓글 0건 조회 1,927회 작성일 14-01-29 04:55

본문

1. 자산의 정의
기업이 경영활동을 하기 위해서는 현금, 상품, 비품, 건물 등의 재화가 필요하며 그 경영활동에 따라서 각종의 채권을 가지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이 기업이 소유하고 있는 현금, 상품 등의 재화와 매출채권, 대여금, 등의 채권을 자산이라고 한다. 이를 정의하면 다음과 같다.
자산이란 과거의 거래나 사건의 결과로서 특정 실체가 취득하였거나 통제할 수 있는 미래의 경제적 효익이다.

2. 자산의 속성과 성질
앞의 정의에서 미래의 경제적 효익이란 직접적 혹은 간접적으로 미래에 현금유입을 증가시키거나 현금지출을 감소시키는 능력을 말하며, 용역 잠재력이라고도 한다. 따라서 특정 실체에 영향을 미치는 경제적 사건 중 자산으로 분류되기 위해서는 그 특정 자원이 미래의 경제적 효익이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예컨대 매출채권이나 대여금 등의 채권은 미래에 현금으로 회수될 것이기 때문에 미래의 현금유입을 증가시키며, 상품은 매출활동을 통하여 미래의 현금유입을 증가시킨다. 또한 비품, 건물, 토지 등은 생산 및 판매활동에 사용되어 간접적으로 미래의 현금유입을 증가시키며 만약 이들 자산을 매각한다고 할 경우에도 현금유입을 가져올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자산들은 직접적으로 현금유입을 증가시키는 것이다.
이와 같이 매출 채권이나 대여금 등의 채권과 상품, 비품, 건물, 토지 등의 재화는 미래의 경제적 효익이 있기 때문에 자산으로 볼 수 있으며, 이들 이외에도 기업실체에 영향을 미치는 경제적 사건 중 미래의 경제적 효익이 있는 것은 기업실체의 자산으로 분류된다.

3. 자산의 평가
자산은 역사적 원가의 원칙에 의해서 자산을 취득할 때의 대가로 지불한 현금 또는 현금등가액으로 평가하며 취득 후에 그 가치가 변동하더라도 취득 당시의 교환가격을 그대로 유지한다. 여기서 자산을 취득할 때 지불한 현금 또는 현금등가액이란 그 자산을 목적하는 바의 활동에 사용하기까지 투입한 모든 현금 지출액을 의미한다.
현행 기업회계기준은 자산과 부채를 취득원가로 평가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지만, 예외적으로 당해, 자산, 부채의 보유목적이나 특성을 고려하여 시가로 평가하는 것을 인정하고 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