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익과 비용의 인식
페이지 정보
작성자 angelica 댓글 0건 조회 2,073회 작성일 14-01-29 05:07
본문
회계에서 인식이란 “특정 거래 또는 경제적 사건을 화폐액으로 측정하고 이를 자산, 부채, 자본, 수익, 비용 등으로 구분하여 재무제표에 계상하는 것”을 말한다. 만일, 어느 고객이 자동차를 소위 찜해두었다가 1달 후에 계약하고, 대금은 3년에 걸쳐 결재하기로 했다면, 자동차 대리점은 어느 시점에서 자동차판매로 인한 수익을 계상해야 할까? 구두로 약속했던 시점, 계약시점 또는 대금을 받을 때마다 등등 다양한 해석이 있을 수 있다. 즉, 수익의 인식 또는 비용의 인식이란 어느 시점에서 재무제표에 계상하여야 하는가의 문제라고 볼 수 있다. |
▶ 수익의 인식
수익은 경제적 효익의 유입가능성이 매우 높고 그 효익을 신뢰성 있게 측정할 수 있을 때 인식한다. 수익은 경제적 효익이 유입됨으로써 자산이 증가하거나 부채가 감소하고 그 금액을 신뢰성 있게 측정할 수 있을 때 인식한다. 이를 보다 구체화하면 다음과 같다.
(1) 일반적인 재화의 판매 : 재화의 인도시점에 인식 (2) 위탁판매 : 위탁자가 상품을 판매했을 때 인식 (3) 시용판매 : 매입자가 매입의사를 표현했을 때 인식 (4) 장기할부매출 : 이자수익에 해당하는 부분을 제외한 판매가액을 재화의 인도시점에 인식 (5) 용역의 제공 : 용역제공의 성과를 신뢰성 있게 추정할 수 있을 때 진행기준에 따라 인식 |
▶ 비용의 인식
회계상 비용을 인심함에 있어서 전통적으로 “비용은 수익을 따라서 인식”이라는 원칙을 사용해오고 있는데, 이를 “수익 · 비용 대응의 원칙”이라고 한다. 비용은 현금지출 시기가 아니라 수익을 창출하는 데 기여했다고 인정되는 시기에 인식한다. 비용의 인식방법에는 다음의 세가지가 있다.
(1) 직접적 대응
직접적 대응이란 인식한 수익과 직접적인 인과관계를 가지는 비용을 수익과 대응시키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매출원가, 판매수수료 등은 매출과 직접적인 인과관계가 있으므로 직접 대응에 따라 인식한다.
(2) 간접적 대응
수익과 관련성은 있으나 특정 수익과 관련짓기가 어렵거나 혹은 수익창출을 기대하기 어려울 때에는 지출 시에 비용으로 인식한다. 급여, 광고비 등이 이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3) 원가의 합리적인 배분
수익과 관련성은 있으나 수익에 공헌한 금액이 얼마인지 계산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그 지출이 효익을 제공하리라고 기대되는 기간에 걸쳐 체계적이고 합리적인 방법에 따라 비용으로 인식한다. 대표적인 예로 감가상각비, 무형자산상각비 등을 들 수 있다.
직접적 대응이란 인식한 수익과 직접적인 인과관계를 가지는 비용을 수익과 대응시키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매출원가, 판매수수료 등은 매출과 직접적인 인과관계가 있으므로 직접 대응에 따라 인식한다.
(2) 간접적 대응
수익과 관련성은 있으나 특정 수익과 관련짓기가 어렵거나 혹은 수익창출을 기대하기 어려울 때에는 지출 시에 비용으로 인식한다. 급여, 광고비 등이 이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3) 원가의 합리적인 배분
수익과 관련성은 있으나 수익에 공헌한 금액이 얼마인지 계산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그 지출이 효익을 제공하리라고 기대되는 기간에 걸쳐 체계적이고 합리적인 방법에 따라 비용으로 인식한다. 대표적인 예로 감가상각비, 무형자산상각비 등을 들 수 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