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계획서의 형식 > 사업계획서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사업계획서


 

사업계획서의 형식

페이지 정보

작성자 뽕킴 댓글 0건 조회 1,245회 작성일 09-12-05 14:26

본문

사업계획서의 형식

1) 사업계획서 작성원칙

가) 신뢰성

(1) 사업계획서가 외부 투·융자 관련자를 설득하기 위해서는 신뢰성을 확보해야 함.

(2) 사업계획서에 대한 신뢰성은 객관적인 자료에 근거하여 전문가적인 분석과정을 통해 사업계획서가 작성되었음을 제시함으로써 확보할 수 있음.

(3) 사업계획서를 작성하기 위해서는 시장 수급자료 경쟁업체 생산 판매자료 동업계 정보 등 다양한 객관적 자료의 입수가 요구되며 입수된 정보 및 자료를 과학적으로 해석하여 계획사업의 실현 가능성을 기술하여야 함.

나) 일관성

사업계획서를 작성함에 있어 각 부문 계획간의 논리적 일관성이 유지되어야 하며 생산계획과 판매계획 투자계획과 재무계획 등 각 부문 계획간의 논리적 불일치가 존재할 경우 사업계획 전반에 대한 불신감을 증대시키게 되므로 사업계획서 전반에 걸친 일관성 유지는 사업계획서 작성시 요구되는 가장 중요한 원칙이 됨.

다) 이해가능성

(1) 사업계획서는 자기가 판단할 자료로 삼기도 하지만 외부 투자자나 금융기관에 제출하여 투융자를 요청하는 자료로 사용되므로 외부 투자자나 금융기관이 이를 이해할 수 있도록 작성해야 함.

(2) 최근의 계획사업은 기술의 중요성 때문에 기술적으로 비전문가인 금융기관 관계자가 계획사업을 이해 하는 데는 어려움이 있음 따라서 제조업의 사업계획서의 경우 제품 생산공정 공법 설비 등을 비전문가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작성하여야 함

라) 독창성

(1) 신규 사업계획서를 작성하는 경우에는 기존사업 또는 타 경쟁업체와는 품질 원가 용도 제법 등에서 어떤 특징을 갖고 있으며 그 특징으로 인해 계획사업의 성공가능성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명확히 할 필요가 있음.

(2) 신규 계획사업이 타 업체에 비해 독창성이 없을 경우 후발업체로서 성공할 가능성이 높지 못하므로 외부 투융자 관련기관에서 관심을 갖지 않을 수 있으므로 계획사업이 갖는 특수성을 강조하여 사업계획서에 나타낼 필요가 있음.

마) 낙관성

(1) 계획사업을 추진하는 주체는 게획사업의 대내외 여건을 낙관적으로 보는 경향이 있음.

(2) 사업계획서도 낙관적으로 작성되는 경우가 많으며 비관적인 입장에서 보는 것 보다는 낙관적인 경우가 설득력이 있음.

(3) 경우에 따라서는 지나치게 대내외 여건을 낙관적으로 인식하여 현재 또는 잠재적 문제점을 간과하는 경우에는 오히려 사업계획서의 신뢰성을 크게 저하시킬 수 있으므로 낙관적인 입장에서 사업계획서를 작성하되 발생 가능한 문제점을 지적하고 이에 대한 대응책을 제시하는 것이 신뢰성을 제고하는 방법이 될 수 있음.

2) 사업계획서의 내용

가) 점포개요

점포명, 소재지, 설립일자, 주요영업내용, 연혁, 경영주 이력 등.

나) 계획사업개요

계획사업명, 계획사업추진배경, 계획사업효과계획제품의 개요 및 특성.

다) 판매계획

계획제품의 용도주요 판매처 국내외 수급현황 및 전망 국내외 경쟁업체 현황 및 전망 판매전략, 중장기매출계획, 신제품개발계획.

라) 시설계획

주요 시설내용 공사일정계획 시설능력.

마) 소요자금 및 자금조달계획

시설투자소요자금 기타소요자금 조달내역.

바) 재무계획

중장기손익추정제조원가산정, 중장기자금수지예상, 중장기대차대조표. 각종 추정자료의 추정근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