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 분야별 고려사항 > 이색 창업아이템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이색 창업아이템


 

사업 분야별 고려사항

페이지 정보

작성자 뽕킴 댓글 0건 조회 1,168회 작성일 09-12-05 14:14

본문

사업 분야별 고려사항

가) 제조업 선정시 고려사항

제조업은 도ㆍ소매업에 비해서 풍부한 경험을 필요로 하는 분야이다. 따라서, 제조업을 경영하고자 하는 창업 예비자는 최소한 제조업체에 직접 근무한 경험이 있거나 간접적으로 깊은 관계가 있는 경우에 선택하여야 한다. 보다 사업 성공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제조업체에 근무하는 동안 생산, 관리, 판매의 3대 분야 중 적어도 2개 이상의 분야에서 직접 근무한 경험을 쌓을 필요가 있다.

나) 도소매업의 선정시 고려사항

도소매업은 흔히 제조업이나 서비스업에 비해 비전문가가 도전하기 쉬운 분야로 알려져 있다. 도소매업은 대개 중간 내지 최종소비자와 직접 만나는 분야이므로 어느 업종 못지않게 고도의 서비스 정신과 시장 감각이 필요한 분야이다. 도소매에서 주로 다루는 소비재는 취급하는 품목에 따라 편의품, 선매품, 전문품으로 구분된다. 여기서 편의품은 손님이 근처 가게에서 사는 식료품이나 일용 잡화 등이고, 선매품은 손님이 여러 가게에서 상품을 둘러본 후에 사는 가구나 의료품 등이며, 전문품은 취미에 따라 기호도가 높은 고급의류나 귀금속이 등이다.

이중 편의품점은 대개 착수하기가 쉽고, 선매품점은 경험이나 상술이 필요하기 때문에 초보자인 사람에게는 어렵다. 전문품은 상품에 대한 전문 지식이 필요하고 자본금이 많이 들기 때문에 창업에 신중을 기해야 한다. 하지만 편의품 중에서도 정육이나 생선은 특수기능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어렵고, 선매품이라도 문구, 꽃, 스포츠용품 등은 취급하기 쉬운 편이다.

다) 서비스업의 선정시 고려사항

서비스업은 창업자의 능력 자체가 사업의 핵심 요소가 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제조업과는 또 다른 적성과 자질을 필요로 한다. 서비스업을 영위하기 위해서 창업자 자신이 모든 업무수행에 필요한 자격요건이나 능력을 갖출 필요는 없지만 최소한 사업 분야의 전체 흐름에 대한 이해는 할 수 있는 수준 이상이어야 한다.

서비스업 분야에서 새로 창업할 때 흔히 사업의 운영에 필요한 자격요건을 갖춘 이를 고용하고 스스로는 관리자 내지 경리의 역할만 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그다지 바라직하지 못한 것이다. 왜냐하면 창업자 자신이 업무에 정통하여 전체 흐름을 주도하면서 새로운 아이디어와 방향 제시로 사업을 이끌어 가야만 성공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라) 사업분야 선정의 기타 고려사항

그 외에도 업종 선택에 있어 주의해야 할 사항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인기상품이라고 해서 쉽게 덤벼들었다가는 낭패를 보기 십상이다. 번창하고 있는 업종에는 경쟁이 치열하기 때문이다.

둘째, 신문이나 잡지광고에서 자주 볼 수 있는 ‘고수입이 확실한 아이디어 업종’이라는 말에 현혹되지 말아야 한다. 실제로 해보면 고수입을 올리는 것이 결코 쉬운 일이 아님을 깨닫게 되고 그것이 대개 과장이나 심지어 사기일 경우가 많다.

셋째, 너무 새로운 업종이나 채 검증되지 않은 업종은 가급적 피하는 것이 좋다. 창업자는 흔히 남이 전혀 생각하지 못한 아이템이나 업종에 집착하는 경향이 있다.

넷째, 남의 성공 아이디어를 참조하되 그대로 따라 해서는 성공하기 힘들다. 창업에 성공한 이들은 나름의 비결이 있다. 하지만 밖에서 보아서는 그것을 제대로 알기도 어려울 뿐만 아니라, 그대로 따라할 경우에는 이미 시대의 흐름에 뒤쳐지는 경우가 많다.

마) 사업분야 및 사업아이템 선정순서

업종 및 사업 아이템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해 선택하는 것이 좋다.

(1) 창업 희망 업종에 대한 정보수집

(2) 체험자 또는 종사자의 면담

(3) 후보 사업 아이템의 구체적 정보 수집

(4) 후보 아이템에 대한 정밀분석, 검토

(5) 사업 타당성 분석

(6) 최적 업종 및 사업 아이템 선정

사실상 창업업종 내지 사업아이템의 선정은 창업과정 중에서 가장 어렵고 많은 시간이 요구되는 것이다. 이는 자신이 고려하는 사업 업종 , 아이템에서의 성공가능성을 추정할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선택업종에서의 성공가능성을 어느 정도 추정할 수 있으면 선택에 도움이 될 것인데 이를 위해서는 전문가의 창업컨설팅을 받아 보거나 각종 가상 창업업종 선택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한 결과를 참고하는 것도 한 방법이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