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중 수제떡 전문점 > 이색 창업아이템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이색 창업아이템


 

궁중 수제떡 전문점

페이지 정보

작성자 뽕킴 댓글 0건 조회 1,280회 작성일 10-08-16 18:12

본문

전통 먹거리인 떡과 커피향기가 지배하는 서양식 카페의 조합은 분명 뭔가 어색한 구석이 있다. 하지만 다소 투박할 것 같은 떡에 화려한 옷을 입히면 얘기가 달라진다. 버나비 한인타운 내에 새롭게 문을 여는 궁중 수제떡 전문점 ‘미담’은 떡에 대한 고정관념을 살짝 비틀어놓은 공간이다. ‘방앗간이 있는 찻집’을 표방하는 이곳에서는 각양각색의 맛깔스런 떡뿐 아니라, 전통 죽이나 음료, 그리고 커피까지 고루 즐길 수 있다.


‘미담’의 대표인 전혜원씨는 요즘 막바지 창업 준비로 분주하다. 현재도 떡을 판매하고 있지만, 미담의 온전한 모습은 6월 25일경에 공개된다. 창업까지 ‘뜸을 들이는 과정’은 꽤 길었으며, 진지했다. 떡이나 한번 만들어 볼까, 하는 단순한 생각에서 시작된 사업이 아니기 때문이다. 98년 가족과 함께 밴쿠버에 정착한 전혜원씨는 ‘떡케잌 전문점’을 차리기로 결심한 이후, 전문가가 되기 위한 수순을 밟았다.

200906181050358.jpg
“2003년 한국에서 대학원을 다니게 됐는데, 그때 매 주말마다 떡을 배우러 다녔어요. 요리하는 것을 좋아했거든요. 그러다가 다시 밴쿠버로 돌아온 후 떡과 관련된 일을 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그래서 다시 한국으로 돌아가 (사)한국전통음식연구소에서 좀 더 세밀하게 떡에 대해서 배웠답니다. 지난 해 7월에는 관련 자격증도 취득했지요.”


소위 ‘신세대’로 보이는 전씨가 우리네 전통음식, 그 중에 떡에 관심을 갖게 된 이유는 무엇일까. 왜 굳이 사업 아이템으로 떡을 선택하게 된 걸까.
“빵은 냉장보관만 잘 하면 일주일이 지나도 상하지 않잖아요. 하지만 떡은 달라요. 하루만 지나도 굳고, 떡의 재료인 쌀은 조금만 관심을 기울이지 않으면 금새 쉰내가 나죠. 왠지 떡이 좀 더 솔직한 먹거리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하지만 보관이 어렵다는 바로 이런 점 때문에 떡의 세계화가 힘들어진 것도 사실이지요. 이것이 제가 극복해야 하는 과제라고 생각합니다. 떡도 세련된 음식이라는 것을 타민족 출신들에게도 꼭 알려주고 싶어요.”


그래서 ‘미담’은 한인타운 속에 위치해 있지만, 한인뿐 아니라 중국계도 주요 고객으로 삼고 있다. 중국계 대형마켓에 입점하는 것도 전혜원씨의 계획 중 하나다. 전씨는 그 꿈을 위해 고된 노동도 마다하지 않는다. “새벽 다섯 시에 일어나 떡을 만들기 시작합니다. 가게 문은 아침 9시에 열고 밤 9시가 넘어야 닫지요. 거의 하루 종일 떡에 매달려서 살고 있는 셈이지요.”


전혜원씨가 쏟는 것은 시간뿐 만이 아니다. 떡에 대한 그녀의 태도 또한 무척 남다르다.
“대추, 오미자, 영지버섯 등 쌀을 제외한 모든 재료는 한국에서 가져오고 있습니다. 이곳에도 그런 재료들은 구할 수 있지만, 왠지 맛이 나지 않거든요. 떡의 맛을 지키는 것, 이것이 저의 몫인 것 같습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