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 구매시 종합적 사전조사 '듀딜리전스' > 점포인수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점포인수


 

비즈니스 구매시 종합적 사전조사 '듀딜리전스'

페이지 정보

작성자 harvard 댓글 0건 조회 1,927회 작성일 10-12-31 09:20

본문

비즈니스를 사고 팔 때 '듀 딜리전스(Due Diligence)'는 매우 중요하다.

 듀 딜리전스란 비즈니스 구입을 할 때 계약기간 내에 바이어가 해당 비지니스의 경영상태, 재무구조, 자산상태, 건물 하자, 부채 등을 종합적으로 사전 조사하는 것을 뜻한다.

 일반적으로 중소규모 비즈니스의 경우 7~21일의 듀 딜리전스 기간을 갖는다. 그렇다면 이 기간동안 바이어는 어떤 것들을 점검해야 하는지 살펴보자. 듀 딜리전스 조사를 마치기 위해서는 CPA나 전문 컨설턴트의 도움을 받는 것이 좋다.

 1.과거 3~5년 동안의 택스 리턴

 2.과거 3~5년 동안의 재정 증명서 - 대차대조표

 3.현재의 임시 재정상태

 4.현재 인벤토리 리포트

 5.비지니스와 함께 판매하는 재산 리스트

 6.현재 지급받아야 할 어카운트

 7.현재 지급해야 할 어카운트

 8.지난 3~5년간의 첵북 레지스터

 9.고객 리스트

 10.종업원 리스트 - 현재와 과거의 페이롤 기록

 11.주 종업원과 매니저와의 대화시간

 12.비지니스와 관련된 모든 라이센스 카피

 13.현재 임대계약서 카피

 14.에스크로를 통해 모든 채무 유무를 확인한다.

 15.과거의 어떠한 환경, 감정, 법적 리포트 또는 정보가 있는지 물어본다.

 16.셀러의 공개진술서 사인을 확인한다.

 17.현재 벤더 리스트와 계약 관계를 점검한다.

 18.모든 계약서와 임대 계약에 대한 복사본 - 장비, 광고, 물품 등 포함

한가지 주의할 점은 셀러가 제공하는 재정 정보는 바이어가 비즈니스 구입을 결정하는데 절대적인 만큼 믿을 만해야 한다.
 
그런데 대부분 바이어들이 정보가 믿을 만한 것이라고 판단되면 그것이 숫자적으로도 정확한 것으로 이해하고 있다.
 
하지만 실제로는 정확한 재정 정보 역시도 조작되는 경우가 있다.
 
믿을 수 있는 정보는 정확하고 또한 비지니스의 운영에도 실질적으로 반영돼 있어야 한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