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심삼일을 반복하는건 자연스런 행동!
페이지 정보
작성자 장미 댓글 0건 조회 878회 작성일 15-06-07 06:18
본문
우리는 원하는 것을 얻기 위해 수많은 '목표'를 세우고, 이를 실천하는데 많은 시간과 노력을 투자한다. 내 집 마련을 원하는 신혼부부가 저축 목표를 세우고 절약 생활을 하거나, 뱃살이 늘어난 아빠가 다이어트 목표를 세우고 운동을 하는 것이 그 예. 하지만 누구에게나 처음 세운 목표를 완벽히 달성하기란 여간 어려운 일이 아니다.
그래서 현실에서는 중도에 포기하는 사람이 생기기도 한다. 또 목표를 낮추거나 방법을 바꾸는 등 계획을 조정해 다시 도전하는 사람도 종종 볼 수 있다. 캐나다 연구진이 최근 이렇게 목표를 세우고 계획을 수정하기도 하는 사람들의 행동을 분석했다.
연구진은 왈리(Wally)라는 가상의 인물을 통해 목표 설정 과정을 소개했다. 처음 왈리는 다음 달까지 20파운드의 체중을 줄이겠다고 마음을 먹고 다이어트를 시작했다. 하지만 며칠이 지나고 왈리는 자신의 목표가 달성하기 어려운 수치라고 느꼈다. 왈리는 2주에 5파운드씩 빼는 목표를 달성하는 게 더 현실적이라는 생각도 했다. 연구진은 이런 목표 재설정이 "사람들이 목표를 향해 달려가다 종종 자신의 위치를 재점검 하기 때문에 일어나는 일"이라고 설명했다.
연구진은 사람들이 이렇게 목표를 다시 정하는 과정에는 일정한 규칙이 있다고 분석했다. 연구진은 당초 목표치와 지금까지 성취한 것의 차이에 비례해 사람들이 목표를 다시 설정하는 횟수가 늘어난다고 설명했다. 이상과 현실의 괴리가 클수록 목표를 자주 수정한다는 것. 이런 일은 계획을 세운 초기에 주로 나타나는데, 사람들은 이런 과정을 거쳐 실제 달성이 가능한 목표를 세우고 가장 현실적인 방법을 찾게 된다.
이 단계를 지나고 실제 노력한 성과가 나타나 스스로 만족하는 시기가 되면 사람들은 매 순간 목표를 높여 잡는 모습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미 자신감이 붙었기 때문에 더 빨리 또는 더 멀리 달려가고픈 욕망이 생기는 것이다. 목표 달성에 대한 열망이 극대화된 시기에도 목표를 높이기는 마찬가지다. 이런 시기에 사람들은 성공과 실패 요인들을 점검하며 목표 달성에 더 노력하게 된다.
연구를 주도한 브리티시 컬럼비아대 첸 왕 교수는 "이렇게 목표를 세우고 조정하는 과정을 먼저 이해하면 실제 목표를 더 효율적으로 세우고 그 곳에 도달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했다. 연구결과는 학술지 '소비자연구' 최근호에 실렸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