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롭박스 월요금 10분의 1로 인하..클라우드 요금 전쟁
페이지 정보
작성자 장미 댓글 0건 조회 1,257회 작성일 15-07-15 10:50
본문
클라우드 저장공간 서비스들 중 가장 유명한 드롭박스가 요금을 인하하면서 클라우드 요금 전쟁이 더욱 치열해지고 있다.
드롭박스는 27일(현지시간) 월 10달러 요금으로 쓸 수 있는 저장 용량을 기존의 10배인 1 테라바이트(TB)로 늘린다고 밝혔다.
지금까지는 500 기가바이트(GB)를 사용하려면 월 50달러를 내야 했으나, 이제는 이의 2배에 해당하는 용량을 월 10달러에 사용할 수 있게 됐다.
드롭박스는 또 공유한 링크에 암호 걸기, 공유한 링크에 유효기간 설정하기, 공유 폴더에 대해 읽기만 허용하기, 기기가 분실·도난됐을 때 데이터 지우기 등 기능을 지원키로 했다.
드롭박스의 요금 인하는 구글,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아마존 등이 올해 들어 클라우드 저장 서비스의 요금을 잇따라 파격적으로 내리고 있는데 대한 대응이다.
드롭박스는 전세계에 3억명의 사용자를 지닌 이 분야 선도 기업이지만, 플랫폼의 힘과 낮은 가격을 앞세워 밀고 들어오는 초대형 정보기술(IT)업체들과 경쟁하기 위해 가격 인하를 하지 않을 수 없었던 것이다.
구글은 지난 3월 '구글 드라이브' 1 TB의 월 사용료를 50달러에서 10달러로 인하했으며, 올해 하반기에 마이크로소프트 '원드라이브'와 애플 '아이클라우드'도 무료 저장 공간을 늘리고 요금을 인하했다.
아마존은 지난 6월 자체 스마트폰인 '파이어폰'을 발표하면서 이 단말기를 쓰는 고객이 아마존 클라우드에 사진을 무제한 무료로 저장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이처럼 초대형 정보기술(IT) 기업들이 클라우드 서비스 가격 경쟁에 나선 것은 고객을 자사 플랫폼과 단말기·서비스에 묶어 둘 수 있는 가장 효과적 방법이라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개인 고객용 클라우드 서비스는 모바일 기기나 프로그램에서 동기화나 백업 등으로 자동으로 연동되는 경우가 많으며, 저장 서비스라는 속성상 한 번 특정 서비스를 쓰기 시작하면 다른 서비스로 옮기기도 쉽지 않다.
연합뉴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