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차대조표(Balance Sheet)를 이용한 분석 기법 > AI 창업아이템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AI 창업아이템


 

대차대조표(Balance Sheet)를 이용한 분석 기법

페이지 정보

작성자 뽕킴 댓글 0건 조회 1,478회 작성일 09-12-05 15:07

본문

대차대조표(Balance Sheet)를 이용한 분석 기법

가) 대차대조표의 의미

대차대조표는 결산일 현재 재산의 잔액을 나타내는 잔액표이며 잔액이란 수시로 변하는 것이므로 기준이 되는 날짜가 반드시 있어야 한다. 대차대조표는 자금의 조달과 운용의 상태를 나타내는 표로서 왼쪽은 재산 중에서 눈에 보이는 것인 자산을 나타내며 오른 쪽은 눈에 보이지 않는 재산인 부채와 자본을 나타낸다. 

나) 자산의 내용

대차대조표의 좌측인 차변에 적혀 있는 것이 자산으로 기업에 쓰인 돈이 어디에 깔려 있는가 하는 자산의 운용상태를 나타내는 것이 자산의 내용이다.

다) 부채의 내용

부채란 자금의 출처에 있어 타인으로부터 빌린 타인자본을 부채라고 한다.

라) 자기자본의 내용

자기자본은 자본금과 자본잉여금, 이익잉여금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자본금은 주로 주주가 불입한 금액으로 법정자본을 말하며 자본잉여금은 주식의 납입 주금의 환급 등 통상적인 영업활동 이외의 자본거래를 통하여 나타난 잉여금을 말한다. 그리고 이익잉여금이란 영업활동을 통하여 발생된 순이익을 그 원천으로 한 잉여금으로 주주에의 분배액과 자본금계정에의 대체 액을 공제한 금액을 말한다.

마) 대차대조표를 보는 요령

기업의 재산 상태를 나타내는 대차대조표는 사람으로 비교하면 외형상 나타나는 신체구조로서 그 내용의 상호연관성을 이해하면 된다. 간추려 보면 다음과 같다.

(1) 부채와 자본의 구성관계

(2) 유동자산과 고정자산의 관계

(3) 유동자산과 유동부채의 관계로서 대차대조표의 상반신을 볼 수 있다.

(4) 고정자산과 자본의 비율 또는 고정자산과 자본 , 고정부채의 관계.

바) 대차대조표를 통하여 볼 수 있는 분석 지표

(1) 자기자본이 얼마나 구성되어 있는가를 보는 자기자본비율

(2) 기업의 재산 중에서 자산이 구성되어 있는 정도를 보는 자산구성 율

(3) 유동부채와 유동자산의 관계를 알아보는 유동비율

(4) 고정자산과 자기자본의 비율을 보는 고정비율 등을 볼 수 있다.

사) 대차대조표를 개선시키는 방법

분석지표를 통하여 그 기업의 재산상태가 양호하다면 문제가 없겠지만, 재산상태가 불량하다면 재산구조를 개선시켜야 하는데 그 방법 중에서 대표적으로;

(1) 자기자본을 증가시킨다.

이 방법은 이익을 많이 올려 내부유보를 많이 하게 되면 자기자본이 증가하게 된다. 곧, 기업이 이익을 많이 나도록 하기 위해서는 불필요한 비용의 억제, 판매활동의 강화, 구입원가의 개선 등이 복합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2) 자산을 압축시킨다.

자산이란 사람의 체중과 같다고 하였으니 사람의 몸무게가 비대하다면 움직이는데 여간 어렵지 않을 것이다. 그래서 기업의 몸무게를 줄이기 위하여 불필요한 고정자산을 팔아버린 다거나 매출채권인 받아야 할 돈을 빨리 회수하는 방법 등이 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