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랜드도 라이프사이클이 있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angelica 댓글 0건 조회 1,683회 작성일 10-06-09 10:25
본문
[조준호 칼럼니스트] 모든 제품은 제품수명주기(Product Life Cycle)가 있다.
제품이 처음 생산되어 도입기-성장기-성숙기-쇠퇴기 라는 흐름을 걷는다.
아마도 우리가 일상생활용품 중 현실적으로 느낄 수 있는 모든 제품들이 해당 될 것이다.
프랜차이즈 아이템들도 제품과 마찬가지로 라이프 사이클을 겪는다.
흔히들 유행아이템들이 이러한 사이클에서 빠르게 생겨났다 사라지곤 하며 그 기간들은 도입기 순간부터 쇠퇴기 시점까지 1년 남짓 유지 되었다.
유망아이템이라고 하여도 3년을 넘기기가 쉽지 않은 것이 근래의 현실이다.
왜 이런 현상이 발생되는 것일까?
현대는 소비자의 요구가 빠르게 변화하는 시기이다
제품 및 아이템을 구상하고 조사하여 소비자들에게 내 놓으면 소비자의 트랜드는 벌써 저 만치 앞서가기에 프랜차이즈 본사들은 매번 트랜드 시기를 놓치다 보니 사업전개가 계획대로 전개되지 않거나 기존 매장 매출 감소들로 어려움을 많이 겪게 된다.
프랜차이즈 본사의 CEO들은 항상 가맹점의 숫자에 민감하다. 그건 물류에 대한 공급경쟁력 때문이라는 생각을 하게 된다. 그렇다 보니 이제는 가맹점모집에는 어지간히 달인이 되어가는 듯하다.
그렇지만 중요한 부분을 놓치고 있지 않나 하는 생각은 제품의 R&D가 부족한 부분을 극복하지 못하며 결국에는 본사와 가맹점의 수입이 감소하고 직원들의 이직과 가맹점 폐점으로 이어지고 있다.
참신한 신입직원을 선발 육성시켜 보다 폭넓은 인재풀을 구성 업계 및 산업발전에 기여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새로운 대안으로 제2,3브랜드를 런칭으로 방향을 돌리는 것.
결국 신입보다는 경력직원을 채용하여 진행시키는 것이 훨씬 속도나 능률 면에서 효과적이라고 판단되어 업계의 신입직원의 장벽은 높기만 한 것이 사실이고 R&D를 통한 신제품, 메뉴 출시로 가맹점 매출에 도움을 주는 부분보다 후속브랜드 런칭으로 이어지는 악순환이 계속되고 있다.
세계의 뛰어난 프랜차이즈 브랜드들은 단 1개의 브랜드로 승부한다.
오랜 역사와 전통을 유지하며 항상 새로운 고객 트랜드에 발맞춰 R&D를 해나가며 성장해오고 있으며 고객들에게 사랑 받고 있다.
우리의 경우는 신규브랜드를 런칭하여 성장기로 갈 때 쯤 되면 R&D에 힘을 쏟아 새로운 메뉴,제품을 출시 고객에게 선보이며 평가받기 보다는 또다시 후속브랜드 런칭을 시도하는 본사들이 많다.
그만큼 자신의 브랜드가 초기부터 프랜차이즈 기획이 계획적이지 못하다 보니 유지 또한 힘들어 후속브랜드로 방향전환하는 부분도 많을 것이다.
우리나라 휴대폰 시장만 보더라도 매월 새로운 휴대폰을 출시해가며 소비자를 유혹한다.
덕분에 소비자들은 폭넓은 선택 속에서 자신의 취향대로 휴대폰을 선택한다.
대기업에서 뭐가 아쉬워서 지속적인 R&D를 통하여 제품을 개발하는가?
그것은 소비자의 진화가 빠르게 움직이고 있다는 뜻이다.
모든 출시 제품이 성공적으로 판매되지는 않겠지만 그 중 소비자에게 사랑 받는 제품은 대박을 터뜨릴 것이고 기업에게 투자한 만큼의 이익을 안겨줄 것이다.
우리 프랜차이즈 시장에서도 多브랜드도 좋지만 한 브랜드가 고객의 변화하는 트랜드에 맞춰 오랫동안 사랑 받을 수 있는 대표 브랜드로 거듭 날 수 있기를 바란다.
제품이 처음 생산되어 도입기-성장기-성숙기-쇠퇴기 라는 흐름을 걷는다.
아마도 우리가 일상생활용품 중 현실적으로 느낄 수 있는 모든 제품들이 해당 될 것이다.
프랜차이즈 아이템들도 제품과 마찬가지로 라이프 사이클을 겪는다.
흔히들 유행아이템들이 이러한 사이클에서 빠르게 생겨났다 사라지곤 하며 그 기간들은 도입기 순간부터 쇠퇴기 시점까지 1년 남짓 유지 되었다.
유망아이템이라고 하여도 3년을 넘기기가 쉽지 않은 것이 근래의 현실이다.
왜 이런 현상이 발생되는 것일까?
현대는 소비자의 요구가 빠르게 변화하는 시기이다
제품 및 아이템을 구상하고 조사하여 소비자들에게 내 놓으면 소비자의 트랜드는 벌써 저 만치 앞서가기에 프랜차이즈 본사들은 매번 트랜드 시기를 놓치다 보니 사업전개가 계획대로 전개되지 않거나 기존 매장 매출 감소들로 어려움을 많이 겪게 된다.
프랜차이즈 본사의 CEO들은 항상 가맹점의 숫자에 민감하다. 그건 물류에 대한 공급경쟁력 때문이라는 생각을 하게 된다. 그렇다 보니 이제는 가맹점모집에는 어지간히 달인이 되어가는 듯하다.
그렇지만 중요한 부분을 놓치고 있지 않나 하는 생각은 제품의 R&D가 부족한 부분을 극복하지 못하며 결국에는 본사와 가맹점의 수입이 감소하고 직원들의 이직과 가맹점 폐점으로 이어지고 있다.
참신한 신입직원을 선발 육성시켜 보다 폭넓은 인재풀을 구성 업계 및 산업발전에 기여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새로운 대안으로 제2,3브랜드를 런칭으로 방향을 돌리는 것.
결국 신입보다는 경력직원을 채용하여 진행시키는 것이 훨씬 속도나 능률 면에서 효과적이라고 판단되어 업계의 신입직원의 장벽은 높기만 한 것이 사실이고 R&D를 통한 신제품, 메뉴 출시로 가맹점 매출에 도움을 주는 부분보다 후속브랜드 런칭으로 이어지는 악순환이 계속되고 있다.
세계의 뛰어난 프랜차이즈 브랜드들은 단 1개의 브랜드로 승부한다.
오랜 역사와 전통을 유지하며 항상 새로운 고객 트랜드에 발맞춰 R&D를 해나가며 성장해오고 있으며 고객들에게 사랑 받고 있다.
우리의 경우는 신규브랜드를 런칭하여 성장기로 갈 때 쯤 되면 R&D에 힘을 쏟아 새로운 메뉴,제품을 출시 고객에게 선보이며 평가받기 보다는 또다시 후속브랜드 런칭을 시도하는 본사들이 많다.
그만큼 자신의 브랜드가 초기부터 프랜차이즈 기획이 계획적이지 못하다 보니 유지 또한 힘들어 후속브랜드로 방향전환하는 부분도 많을 것이다.
우리나라 휴대폰 시장만 보더라도 매월 새로운 휴대폰을 출시해가며 소비자를 유혹한다.
덕분에 소비자들은 폭넓은 선택 속에서 자신의 취향대로 휴대폰을 선택한다.
대기업에서 뭐가 아쉬워서 지속적인 R&D를 통하여 제품을 개발하는가?
그것은 소비자의 진화가 빠르게 움직이고 있다는 뜻이다.
모든 출시 제품이 성공적으로 판매되지는 않겠지만 그 중 소비자에게 사랑 받는 제품은 대박을 터뜨릴 것이고 기업에게 투자한 만큼의 이익을 안겨줄 것이다.
우리 프랜차이즈 시장에서도 多브랜드도 좋지만 한 브랜드가 고객의 변화하는 트랜드에 맞춰 오랫동안 사랑 받을 수 있는 대표 브랜드로 거듭 날 수 있기를 바란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