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절 남은 음식 어떻게 하나…종류별로 구분보관 해야
페이지 정보
작성자 장미 댓글 0건 조회 724회 작성일 15-06-15 06:02
본문
추석이 기다려지는 이유는 무엇보다 먹을거리가 많기 때문이다. 송편과 모듬전, 잡채, 떡 등 입맛을 돋우는 음식들이 넘쳐난다. 문제는 추석 연휴가 끝난 후다. 남은 음식들을 어떻게 처리해야 할지 골머리를 앓는 것이다.
애경에스티의 도움을 받아 효과적인 명절음식 보관법에 대해 알아본다.
◇남은 음식, 보관부터 깔끔하게

주부에게는 명절에 먹고 남은 음식과 재료를 정리하는 것도 큰 고민거리다.
우선 정리해야 할 음식의 종류와 양이 평소 대비 2~3배 이상 많으므로 투명용기를 사용해 한눈에 알아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자투리 야채는 씻지 않은 상태로 신문지에 싸서 플라스틱 그릇에 담아 싱싱하게 보관토록 한다.
전은 밀폐 보관하지 않으면 쉽게 상할 뿐 아니라 기름과 공기가 접촉하면서 산화작용을 일으켜 인체에 해로운 활성산소를 만들게 된다. 따라서 종류별로 구분해 랩에 싸 밀폐용기에 담아 보관한다.
육류는 시간이 흐를수록 신선도가 떨어지면서 색이 변색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럴 때는 식용유를 살짝 발라주면 고기에 보호막이 형성되어 세균침투를 막아줘 보다 오랫동안 보관이 가능하다.
생선은 비린내 때문에 보관하기 가장 까다로운 식재료다. 생선을 보관할 때 가장 중요한 것은 물기제거다. 생선을 깨끗이 씻은 다음 거즈나 키친타올 등으로 물기를 꼼꼼히 제거한 후 소금을 뿌려 랩으로 꽁꽁 싸 밀폐용기에 넣어주는 것이 좋다.
◇냉장고 청소로 보다 위생적으로 보관하기
많은 양의 음식을 보관하기 전에 냉장고를 미리 청소해두면 보다 위생적으로 보관할 수 있다.
냉장고 안쪽에 따뜻한 물을 분무기로 뿌려 성에를 녹인 후 마른 걸레로 닦아준다. 선반을 분리해 씻어내는 게 좋지만 명절 뒷처리로 바쁠 때는 식초나 소다수를 이용해 닦아내도 살균효과를 누릴 수 있다.
박근서 애경에스티 팀장은 "가정에서 음식은 먹을 만큼만 조금씩 준비한다고 해도 막상 명절이 되면 남은 음식이 생기기 마련"이라며 "명절증후군을 막기 위해 효과적인 명절음식 보관법과 냉장고 관리법을 숙지하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뉴시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