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과 사람을 생각하는 똑똑한 여름 세탁
페이지 정보
작성자 장미 댓글 0건 조회 620회 작성일 15-06-15 03:52
본문
고온다습한 여름에는 세탁의 횟수가 잦아진다. 더운 날 시큼한 땀 냄새를 지우고 비 오는 날 퀴퀴한 빨래 덜 마른 냄새를 지우기 위해 세제 양이 늘어난다. 그러나 세제 양을 늘린다고 세탁 효과가 좋아지기만 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피부를 상하게 하고 옷감을 손상시킬 수 있다. 적당한 세제 사용량과 올바른 세탁방법으로 똑똑한 여름 세탁을 실천하자.
듬뿍 넣는 세제, 세탁 효과는 있을까?
더위로 인해 땀이 늘고, 야외 생활로 오염되는 옷이 많아지면서 덩달아 세제 사용량도 늘고 있다. 특히 옷에서 퀴퀴한 냄새가 나거나 얼룩이 심해지면 세제양은 기준 없이 늘어난다. 그러나 주부들의 기대와는 달리 세제의 양을 지나치게 늘리면 세탁물이 오히려 오염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세제의 양을 늘리면 세탁이 잘 된다고 믿는 것은 잘못된 생각이다. 표준사용량을 지키지 않은 과다한 세제사용은 세제가 물속에서 완벽하게 분해되지 않고 그대로 섬유에 스며들게 된다. 그렇게 옷에 남은 세제찌꺼기는 피부를 자극해 아토피나 부스럼, 알레르기 등의 피부염을 일으킬 수 있으며 섬유 사이에 끼어 옷감을 변색시키거나 섬유 뒤틀림을 유발한다. 그렇다고 적은 세제량의 사용이 해결책은 아니다. 기준보다 적은 세제량은 작은 오염물조차 제거하지 못할뿐더러 냄새도 제거되기 힘들다.
건강하고 쾌적한 여름 빨래를 위해서는 변화가 필요하다. 옷을 깨끗하고 건강하게 그리고 오래 입으려면 세제의 적정량을 사용하고 올바른 세탁법을 실천해야 한다.
여름 빨래를 위한 건강한 세탁 습관
빨래를 소량으로 자주 한다
최소량을 정해 자주 세탁해야 오염물이 깨끗하게 제거될 수 있다. 귀찮아서 땀과 오염물이 묻은 빨래를 오래 놓아두면 빨래 후에도 냄새가 가시지 않아 세제 사용과 헹굼 횟수가 늘 수 있다. 젖은 옷이 있다면 따로 구분하거나 말려 넣고 빨래 바구니에 소다 가루를 뿌려두면 냄새 제거 효과를 볼 수 있다.
최소량을 정해 자주 세탁해야 오염물이 깨끗하게 제거될 수 있다. 귀찮아서 땀과 오염물이 묻은 빨래를 오래 놓아두면 빨래 후에도 냄새가 가시지 않아 세제 사용과 헹굼 횟수가 늘 수 있다. 젖은 옷이 있다면 따로 구분하거나 말려 넣고 빨래 바구니에 소다 가루를 뿌려두면 냄새 제거 효과를 볼 수 있다.
빨랫감을 구분한다
빨랫감의 소재와 특성을 파악해 알맞은 세탁법과 세제를 사용한다. 물들기 쉬운 흰색 옷감과 섬세한 속옷은 따로 구분해 빨래하는 것이 좋다. 마 소재는 강한 산성 표백제를 사용하면 쉽게 변색된다.
빨랫감의 소재와 특성을 파악해 알맞은 세탁법과 세제를 사용한다. 물들기 쉬운 흰색 옷감과 섬세한 속옷은 따로 구분해 빨래하는 것이 좋다. 마 소재는 강한 산성 표백제를 사용하면 쉽게 변색된다.
세탁 양에 맞게 적량의 세제를 사용한다
세제사용지수는 1회 빨래 시 기준이 되는 세탁량에 따라 적정 세제 사용량을 제시한 것이다. 13㎏까지는 3, 7㎏ 까지는 7, 10㎏까지는 10, 14㎏이하는 14로 세탁량에 따른 올바른 세제사용 지수가 4가지로 구분된다. 지식경제부 기술표준원의 ‘세제 바로 알고 잘 쓰기’ 운동의 일환으로 시행되는 ‘세제사용지수 계량컵’은 현재 CJLION의 파워비트에만 도입된 상태다. 앞으로 국내 브랜드 세탁 세제에 적용될 예정이다.
세제사용지수는 1회 빨래 시 기준이 되는 세탁량에 따라 적정 세제 사용량을 제시한 것이다. 13㎏까지는 3, 7㎏ 까지는 7, 10㎏까지는 10, 14㎏이하는 14로 세탁량에 따른 올바른 세제사용 지수가 4가지로 구분된다. 지식경제부 기술표준원의 ‘세제 바로 알고 잘 쓰기’ 운동의 일환으로 시행되는 ‘세제사용지수 계량컵’은 현재 CJLION의 파워비트에만 도입된 상태다. 앞으로 국내 브랜드 세탁 세제에 적용될 예정이다.
tip 7㎏ 세탁량의 정도는?
세제사용지수는 1회 빨래 시 기준이 되는 세탁량에 따라 3, 7, 10, 14의 숫자로 구분되며 세제 구입 시 제공되는 계량컵에 눈금이로 표시된다. 우리나가 4인 가족 기준 1회 빨래 시 세탁량이 7kg이라고 할 때 세제사용지수는 ‘7’이다.
세제사용지수는 1회 빨래 시 기준이 되는 세탁량에 따라 3, 7, 10, 14의 숫자로 구분되며 세제 구입 시 제공되는 계량컵에 눈금이로 표시된다. 우리나가 4인 가족 기준 1회 빨래 시 세탁량이 7kg이라고 할 때 세제사용지수는 ‘7’이다.
고농축 세제를 이용한다
최근 강력한 세척력을 기반으로 한 고농축 세제가 출시되고 있다. 일반 세제보다 적은 양을 사용해도 효과가 같아 세제양을 줄일 수 있는 제품이다. 세제 크기가 콤팩트해 사용이 편리하다.
최근 강력한 세척력을 기반으로 한 고농축 세제가 출시되고 있다. 일반 세제보다 적은 양을 사용해도 효과가 같아 세제양을 줄일 수 있는 제품이다. 세제 크기가 콤팩트해 사용이 편리하다.
냄새가 나지 않게 건조시킨다
부엌 옆의 다용도실은 음식이나 쓰레기 냄새가 배기 쉬우므로 피한다. 바닥에 널면 맞닿은 쪽에 습기가 생겨 쉰 냄새가 나기 쉬우므로 통풍이 잘 되는 곳에 걸어 말린다. 에어컨 주변은 제습제 기능을 하는 빨래를 널기 좋은 장소다. 건조 시간을 단축시키는 것도 중요하다. 세탁이 끝나면 빨래 통에서 바로 꺼내 탈탈 털어 넌다.
긴 옷과 짧은 옷, 두꺼운 옷과 얇은 옷을 번갈아 걸면 공기의 흐름이 생겨 건조 시간이 단축시킬 수 있다. 와이셔츠 목둘레나 바지 허리춤 같이 두꺼운 곳은 수건으로 물기를 제거한 뒤 다리미로 살짝 다려 널면 빨리 마를 수 있다.
부엌 옆의 다용도실은 음식이나 쓰레기 냄새가 배기 쉬우므로 피한다. 바닥에 널면 맞닿은 쪽에 습기가 생겨 쉰 냄새가 나기 쉬우므로 통풍이 잘 되는 곳에 걸어 말린다. 에어컨 주변은 제습제 기능을 하는 빨래를 널기 좋은 장소다. 건조 시간을 단축시키는 것도 중요하다. 세탁이 끝나면 빨래 통에서 바로 꺼내 탈탈 털어 넌다.
긴 옷과 짧은 옷, 두꺼운 옷과 얇은 옷을 번갈아 걸면 공기의 흐름이 생겨 건조 시간이 단축시킬 수 있다. 와이셔츠 목둘레나 바지 허리춤 같이 두꺼운 곳은 수건으로 물기를 제거한 뒤 다리미로 살짝 다려 널면 빨리 마를 수 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