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리스마스 나무
페이지 정보
작성자 princeton 댓글 0건 조회 1,700회 작성일 10-08-11 11:24
본문
겨울에 열리는 빨간 열매가 돋보이는 '겨울 나무'
*서양에서 호랑가시나무를 크리스마스 나무라고 부르는 것은 이 빨간 열매가 크리스마스를 축하하는 데에 좋다는 데에서 온 이름이에요.서양의 크리스마스 카드에
뾰족뾰족한 잎사귀에 빨간 열매가 구슬처럼 맺힌 나무가 화려한촛불과 함께
그려진 것을 흔히 볼 수 있는데,바로 그게 크리스마스 나무인 호랑가시나무입니다
호랑가시나무는 유럽 중국 등 전 세계에 퍼져 있습니다.
우리나라에도 전라북도 변산반도의 부안군 산내면에 호랑가시나무 군락이 형성돼 있어요. 우리나라의 호랑가시나무 자생지인 이곳은 천연기념물 제122호로
지정돼 있습니다. 그러나 호랑가시나무는 변산반도 이남의 따뜻한 지역에서만 볼 수 있는 까닭에 우리나라에서는 서양처럼 별로 주목받지 못하고 있습니다.
호랑가시나무의 영어 이름은 '성(聖)스럽다'는 뜻의 'Holy'에서 나온 'Holly'입니다. 서양에는 크리스마스의 장식으로 이 나무를 선물하기도 하는데, 이때 선물 받은 나무 잎의 가시가 억세면 그 가정에서 아버지의 권위가 강해지고, 부드러우면 어머니가 집안의 발언권에 강해진다는 속설이 있습니다. 그런 이유에서 가시가 억세면, He-Holly, 부드러우면 She-Holly 라고 부르기도 한답니다.
또한 주술적인 의미도 있습니다.
유럽에서는 황가시나무의 가시를 악마가 무서워 한다고 해서 마굿간이나 집 주변에
걸어두어 병마를 물리쳤으며,일본에서는 입춘 전날 정어리의 머리에 이나무를 끼워
문에 달아 마귀를 없애는 풍습이 있고,중국에는 음력 새해 축제 때 사원과 공화당 장식에 이용하였고 아일랜드에서는 성스런 나무라 하여 생목을 불태우지 않는다.
그리고, 집 주변을 장식하여 삼림의 정령을 맞이하는 풍습이 있다.
우리나라에서 '호랑가시나무'라 이름붙은 것은 잎 끄트머리의 가시가
마치 호랑이 발톱을 닮았기 때문이라고도 하고, 호랑이도 무서워 할 정도로 가시가 단단한 나무라는 뜻에서라고도 합니다. 또 일부 전북 지방에서는 호랑이가 등이 가려울 때 등 긁개로 썼던 나무라 해서
호랑이등긁개나무'라는 이름으로 부르기도 합니다.
*서양에서 호랑가시나무를 크리스마스 나무라고 부르는 것은 이 빨간 열매가 크리스마스를 축하하는 데에 좋다는 데에서 온 이름이에요.서양의 크리스마스 카드에
뾰족뾰족한 잎사귀에 빨간 열매가 구슬처럼 맺힌 나무가 화려한촛불과 함께
그려진 것을 흔히 볼 수 있는데,바로 그게 크리스마스 나무인 호랑가시나무입니다
호랑가시나무는 유럽 중국 등 전 세계에 퍼져 있습니다.
우리나라에도 전라북도 변산반도의 부안군 산내면에 호랑가시나무 군락이 형성돼 있어요. 우리나라의 호랑가시나무 자생지인 이곳은 천연기념물 제122호로
지정돼 있습니다. 그러나 호랑가시나무는 변산반도 이남의 따뜻한 지역에서만 볼 수 있는 까닭에 우리나라에서는 서양처럼 별로 주목받지 못하고 있습니다.
호랑가시나무의 영어 이름은 '성(聖)스럽다'는 뜻의 'Holy'에서 나온 'Holly'입니다. 서양에는 크리스마스의 장식으로 이 나무를 선물하기도 하는데, 이때 선물 받은 나무 잎의 가시가 억세면 그 가정에서 아버지의 권위가 강해지고, 부드러우면 어머니가 집안의 발언권에 강해진다는 속설이 있습니다. 그런 이유에서 가시가 억세면, He-Holly, 부드러우면 She-Holly 라고 부르기도 한답니다.
또한 주술적인 의미도 있습니다.
유럽에서는 황가시나무의 가시를 악마가 무서워 한다고 해서 마굿간이나 집 주변에
걸어두어 병마를 물리쳤으며,일본에서는 입춘 전날 정어리의 머리에 이나무를 끼워
문에 달아 마귀를 없애는 풍습이 있고,중국에는 음력 새해 축제 때 사원과 공화당 장식에 이용하였고 아일랜드에서는 성스런 나무라 하여 생목을 불태우지 않는다.
그리고, 집 주변을 장식하여 삼림의 정령을 맞이하는 풍습이 있다.
우리나라에서 '호랑가시나무'라 이름붙은 것은 잎 끄트머리의 가시가
마치 호랑이 발톱을 닮았기 때문이라고도 하고, 호랑이도 무서워 할 정도로 가시가 단단한 나무라는 뜻에서라고도 합니다. 또 일부 전북 지방에서는 호랑이가 등이 가려울 때 등 긁개로 썼던 나무라 해서
호랑이등긁개나무'라는 이름으로 부르기도 합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