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래식 분위기 연출
페이지 정보
작성자 뽕킴 댓글 0건 조회 1,383회 작성일 10-08-16 21:15
본문
클래식 스타일은 천정이 높고 비교적 넓은 장소에 기품 있게 어울리고 풍요로움과 여유 있는 전통적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가족들에게 잘 어울리는 분위기이다. 콘도의 경우에도 천정이 낮고 비교적 좁은 공간이지만 대칭적인 공간 배치로 마감재 또는 가구, 조명, 소품, 원단 등의 매칭으로 고급스러운 분위기 연출이 가능하다.
클래식 분위기의 바닥재에 마루를 시공 할 경우 가구보다 짙은 색상이 어울리며 쪽 마루와 같이 일정한 방향과 형태로 끼우는 것이 좋다. 조명의 경우, 덩치가 큰 조명기구보다 이곳 저곳으로 옮겨 놓을 수 있는 작은 부분 조명이 더 큰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물론 천정엔 샹들리에를 설치하여 고급스러움과 여유로움을 한껏 표현해 볼 수 있다. 천정과 벽이 만나는 부분에 몰딩 처리를 하는 것도 화려함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장소가 넓지 않은 곳에 가구가 짙은 색으로 꽉 찬 느낌이라면 답답해 보일 수 있으므로 조심해야 할 사항이다.
클래식 스타일의 색상은 차분하고 가라앉는 느낌을 주는 중후하고 깊은 색상이 잘 어울린다. 큰 규모의 방엔 청록색이나 자주색과 같은 깊고 진한 색을 매칭한다면 화려한 느낌을 줄 수 있다. 작은 규모의 방엔 파스텔 계열 색상에 금색 장식을 매칭하여 부드럽고 밝은 분위기를 연출 할 수 있다. 바닥 목재를 사용할 경우 어두운 톤이 적절하며 가구 역시 체리, 마호가니 모두 어울리는 칼라 톤이다.
클래식 스타일은 전통을 고수하고 사외적으로 안정적인 계층의 사람들이 선호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모던 이미지 연출과는 다르게 풍요로움과 럭셔리 함이 느껴져야 할 것이다. 원단 선택에 있어서도 잔잔한 여성스러움의 표현인 레이스 분위기 연출부터 차분하고 격조 있는 느낌을 주기 위해 채도가 낮은 컬러의 원단이나 화려한 색상의 원단까지 다양한 범위로 쓰인다. 패턴 선택은 꽃무늬나 추상적 곡선이 자주 쓰인다.
커튼은 밸런스가 있는 전통적 커튼이나 두꺼운 직물과 화려한 색의 중량감이 느껴지는 드레이퍼리가 잘 어울리며 두꺼운 벨벳 또는 자카드 원단은 중후한 고급스러움을 나타낼 수 있다. 그림은 오일 페인팅이나 수채화가 잘 어울리며 추상화, 사실화나 인물화 등 어떤 것이든 취향과 공간 이미지에 맞게 선택할 수 있다. 식물 인테리어의 경우, 화려한 칼라와 풍성한 볼륨 감이 있는 꽃 장식이 어울린다. 예를 들면, 우아함을 나타내는 장미가 추천할 만하다.
전통적 스타일에 대한 기품 있는 아름다움의 표현은 아무리 세월이 흘러도 많은 사람으로부터 영원한 사랑을 받을 것이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