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오너가 피해야할 리모델링 아이템 6가지
페이지 정보
작성자 신선초 댓글 0건 조회 2,193회 작성일 12-05-25 01:10
본문
집을 갖고 있다보면 여러가지 리모델링을 생각하게 된다. 낡은 부엌과 화장실을 업그레이드하고 창문을 새로 갈고, 좁은 리빙룸을 넓히기도 한다. 생활에 유용한 리모델링은 투자회수율을 높여주기 때문이다.
그러나 홈 오너 취향에는 맞지만 바이어 입맛에 맞지않는 리모델링은 돈만 쓰고 가치상승을 기대할 수 없는 경우도 발생한다.
홈 오너가 피해야할 리모델링 아이템 6가지를 소개한다.
1. 멋진 수영장
친구집이나 옆집에 수영장이 있다면 즐기기에 괜찮은 시설이다. 그러나 이 수영장이 내 집에 있다면 위험한 존재가 될 수 있다.
어린자녀가 수영장에서 놀다가 안전사고라도 발생한다면 비극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다른 집 아이가 놀다가 사고가 생기면 법적 소송까지 당할 수 있다. 수영장은 사람들이 놀기에는 큰 대가가 따르는 시설이라고 보면 된다. 큰 돈을 들여 수영장을 만들었는데 집을 팔때 이에대한 보상이 없다면 투자효과는 떨어지게 된다.
뒷마당에 수영장을 파려면 최소 1만달러에서 10만달러이상이 소요된다. 수영장을 완공하고나면 청소와 수질관리 등 유지비용도 만만치 않다.
투자가치를 목적으로 수영장을 지으려한다면 하지 않는 것이 좋다.
2. 지나친 증축
집을 늘리는 증축공사는 동네 수준에 맞게 해야 된다. 단층주택이 있는 곳에 2층을 올리는 것은 효율적이지 못하다.
단층주택에서 2층을 올리려면 공사규모에 따라 10만달러이상 들어간다. 집 가격이 30만달러인 지역에서 2층을 올리면 집 가치는 계산상 40만달러가 된다. 그러나 바이어한테 40만달러의 예산이 있다면 증측이 아닌 기본 가격이 40만달러대인 곳을 찾게 된다.
다시말해 싼 동네에서 넓게 리모델링된 집을 사느니 1층이라도 고급스러운 곳으로 가겠다는 것과 같다.
3. 화려한 조경
바이어들은 집 앞에 펼쳐지는 파란 잔디와 나무 뒷마당의 공원 같은 정원을 보면 집 구입충동을 느낀다. 하지만 이러한 조경은 집 가치에 큰 영향을 주지 못한다는 것을 명심해야 된다.
이유는 간단하다. 정원은 집 주인이 부지런해야 멋있게 유지될 수 있다. 만약 바이어가 셀러처럼 집을 꾸밀 시간적 여유가 없다면 푸른 잔디와 나무는 화려함의 옷을 벗게된다. 바이어 역시 이 사실을 알고 있다.
즉 주택의 조경환경은 집 주인의 취향이나 성격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는 뜻이다.
4. 화려한 업그레이드
증축과도 연관이 있다. 집 가격은 30만달러이면서 실내 장식을 100만달러짜리 주택수준으로 바꾸는 것은 비효율적인 리모델링이다.
고급스러운 두짝짜리 현관문을 설치하고 집 안 바닥을 대리석으로 깐다면 동네수준과 맞지 않는다.
집 내부 업그레이드는 항상 주택가격 수준에 맞춰 새롭게 하는 것이 좋다.
5. 끊임없는 카펫
주택 내부의 벽에서 벽까지 모두 카펫을 까는 것은 지루함을 느끼게 해준다.
또한 먼지 알러지가 있는 사람에게는 별로 건강스럽지도 못하다.
카펫과 나무 타일을 적절하게 배분해서 실내 바닥을 꾸며야 한다. 방은 카펫 리빙룸은 나무 부엌은 스톤타일로 한다면 집 가치를 높여준다.
6. 보이지 않는 투자
에어컨/히팅 시스템을 새롭게 업그레이드하고 플러밍 파이프를 비싼 자재로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리모델링은 현재 거주하는 홈 오너한테는 편리함이나 생활수준을 업그레이드 시킬 수 있다. 그러나 가치적인 측면에서 본다면 별로 좋은 방법은 아니다.
바이어입장에서는 셀러가 냉난방이나 플러밍 설비에 돈을 썼다고 해서 그 가격만큼 가치를 인정해주지 않는다.
부동산 전문가들은 "리모델링은 주택 수준에 맞고 안전하고 눈에 보이는 곳에 투자해야 회수율을 높일 수 있다"고 말한다.
그러나 홈 오너 취향에는 맞지만 바이어 입맛에 맞지않는 리모델링은 돈만 쓰고 가치상승을 기대할 수 없는 경우도 발생한다.
홈 오너가 피해야할 리모델링 아이템 6가지를 소개한다.
1. 멋진 수영장
친구집이나 옆집에 수영장이 있다면 즐기기에 괜찮은 시설이다. 그러나 이 수영장이 내 집에 있다면 위험한 존재가 될 수 있다.
어린자녀가 수영장에서 놀다가 안전사고라도 발생한다면 비극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다른 집 아이가 놀다가 사고가 생기면 법적 소송까지 당할 수 있다. 수영장은 사람들이 놀기에는 큰 대가가 따르는 시설이라고 보면 된다. 큰 돈을 들여 수영장을 만들었는데 집을 팔때 이에대한 보상이 없다면 투자효과는 떨어지게 된다.
뒷마당에 수영장을 파려면 최소 1만달러에서 10만달러이상이 소요된다. 수영장을 완공하고나면 청소와 수질관리 등 유지비용도 만만치 않다.
투자가치를 목적으로 수영장을 지으려한다면 하지 않는 것이 좋다.
2. 지나친 증축
집을 늘리는 증축공사는 동네 수준에 맞게 해야 된다. 단층주택이 있는 곳에 2층을 올리는 것은 효율적이지 못하다.
단층주택에서 2층을 올리려면 공사규모에 따라 10만달러이상 들어간다. 집 가격이 30만달러인 지역에서 2층을 올리면 집 가치는 계산상 40만달러가 된다. 그러나 바이어한테 40만달러의 예산이 있다면 증측이 아닌 기본 가격이 40만달러대인 곳을 찾게 된다.
다시말해 싼 동네에서 넓게 리모델링된 집을 사느니 1층이라도 고급스러운 곳으로 가겠다는 것과 같다.
3. 화려한 조경
바이어들은 집 앞에 펼쳐지는 파란 잔디와 나무 뒷마당의 공원 같은 정원을 보면 집 구입충동을 느낀다. 하지만 이러한 조경은 집 가치에 큰 영향을 주지 못한다는 것을 명심해야 된다.
이유는 간단하다. 정원은 집 주인이 부지런해야 멋있게 유지될 수 있다. 만약 바이어가 셀러처럼 집을 꾸밀 시간적 여유가 없다면 푸른 잔디와 나무는 화려함의 옷을 벗게된다. 바이어 역시 이 사실을 알고 있다.
즉 주택의 조경환경은 집 주인의 취향이나 성격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는 뜻이다.
4. 화려한 업그레이드
증축과도 연관이 있다. 집 가격은 30만달러이면서 실내 장식을 100만달러짜리 주택수준으로 바꾸는 것은 비효율적인 리모델링이다.
고급스러운 두짝짜리 현관문을 설치하고 집 안 바닥을 대리석으로 깐다면 동네수준과 맞지 않는다.
집 내부 업그레이드는 항상 주택가격 수준에 맞춰 새롭게 하는 것이 좋다.
5. 끊임없는 카펫
주택 내부의 벽에서 벽까지 모두 카펫을 까는 것은 지루함을 느끼게 해준다.
또한 먼지 알러지가 있는 사람에게는 별로 건강스럽지도 못하다.
카펫과 나무 타일을 적절하게 배분해서 실내 바닥을 꾸며야 한다. 방은 카펫 리빙룸은 나무 부엌은 스톤타일로 한다면 집 가치를 높여준다.
6. 보이지 않는 투자
에어컨/히팅 시스템을 새롭게 업그레이드하고 플러밍 파이프를 비싼 자재로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리모델링은 현재 거주하는 홈 오너한테는 편리함이나 생활수준을 업그레이드 시킬 수 있다. 그러나 가치적인 측면에서 본다면 별로 좋은 방법은 아니다.
바이어입장에서는 셀러가 냉난방이나 플러밍 설비에 돈을 썼다고 해서 그 가격만큼 가치를 인정해주지 않는다.
부동산 전문가들은 "리모델링은 주택 수준에 맞고 안전하고 눈에 보이는 곳에 투자해야 회수율을 높일 수 있다"고 말한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