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티에서의 사회(MC) 진행법
페이지 정보
작성자 뽕킴 댓글 0건 조회 1,485회 작성일 11-05-27 13:58
본문
파티에서의 사회(MC) 진행법
1. 사회의 뜻과 필연성
1) 사회자란?
- 회의 등의 진행을 맡아 봄, 공식적인 모임이나 예식 등에서 그 일의 진행을 순서대로 이끌어 감으로써
회의나 모임, 행사나 파티의 목적을 위한 길잡이가 되어야 한다.
2) 사회자의 역할
- 사회자는 커뮤니케이션(communication)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 이 말의 기원은 라틴어의 커뮤니스(com
munis), 즉 ‘공통성’이란 뜻에서 나왔다고 하는데, 이것은 대인관계에서 ‘어떠한 사실에서의 공통성’을 말하
는 것이다. 사회자는 회의나 모임, 행사나 파티에 참석한 사람들의 공통 관심사를 찾아 서로의 유대관계를
맺어주고 어떠한 순서대로 질서를 잡아주거나 의견과 대립, 방법과 방법의 차이, 앞뒤와 종횡 등 서열에 대
한 정리, 분위기를 유도하는 등... 이것들이 사회자에 의해서 요리 될 난제요, 과제인 것이다.
3) 사회자의 태도
- 행사나 파티에 어울리는 단정한 복장과 외모라면 더욱 좋다. 사회를 진행함에 있어 쉬운 말과 정확한 발음
이 가장 중요하다. 또한 부드럽고 호감이 가는 말씨와 태도로 매너있는 자세로 임해야 할 것이다.
4) 사회의 요령
① 인사말 : 사회자의 첫 인사말이 그 모임과 성과 실패를 좌우한다고 하겠다. 어떤 인사말을 하느냐에 따라
분위기는 달라질 것이다. 시작 3분에서 5분이 가장 중요한 시간이라고 하겠다. 분위기를 부드럽게
하든지 때에 따라서는 엄숙한 태도로 진지한 무드를 만들어 나가야 할 것이다.
② 무드 : 파티의 성격에 따라 여러 가지의 분위기가 형성된다. 이때 사회자는 민첩하게 그 분위기를 파악하
지 않으면 안 된다. 분위기는 그 모임의 환경적 요소에 따라 달라지는 것이므로 파티의 목적과 테마,
참석자들의 연력과 교양, 성별과 직업 등 다양한 요소를 고려하고 장소와 공간의 분위기에 어울리는
사회자의 능력을 요구하게 되는 것이다. 전체적으로 어우러질 때 무드는 잡힐 것이다.
5) 사회자가 좋은 분위기로 유도하기 위해서
① 밝고 명랑해야 할 것 : 중심이 되는 사회의 표정과 인상이 분위기를 좌우한다. 웃는 얼굴에 침 못 뱉는 격이
므로 좋은 인상을 가지고 대하는 것이 중요하다.
② 성의를 다하는 모습이 있어야 할 것 : 마음을 다하는 모습이 비추어져야 한다. 기계적인 태도의 진행은 참
석자와 괴리감을 주게 되어 더욱 분리되는 상황으로 만든다.
③ 파티에 참석한 대중의 뜻을 위주로 할 것 : 사회자는 자기자랑이나 광고하는 것이 아니다. 참석한 사람들이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파악하여 이야기를 나누어야 할 것이다.
④ 건전한 유머의 주인공의 될 것 : 다소 딱딱한 모임이라도 사회자의 건전한 유머는 따뜻한 바람을 일으킨다.
또한 분위기의 반전을 위해서도 파티에 어울리는 유머와 멘트를 비해야 할
것이다.
⑤ 파티 목적에 따른 주관이 확고할 것 : 사회자가 파티를 위한 의미를 바로 새기고 주관을 가지고 일관되게
진행하면 참석자들 또한 사회자의 리드에 이끌려 자연스럽게 따라 올
것이다.
⑥ 솔직할 것 : 누구나 실수를 한다. 진행 중 실수나 잘못이 있으면 즉시 사과하는 모습이 더 아름답다. 체면
이나 자존심 때문에 어물어물 넘기려 하다보면 참가한 사람들의 기분을 흐리게 된다. 오히려
이중과오로 나타나 파티 분위기를 망칠 위험이 있다.
⑦ 책임감을 가져야 한다 : 사회자가 한 말과 한 일에 대한 책임을 지는 모습은 믿음을 준다. 책임을 회피하는
모습은 비겁해 보이고 신뢰감을 주지 못한다는 점을 기억해야 할 것이다.
⑧ 센스가 빠를 것 : 파티 전반적으로 진행되는 상황을 재빨리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눈치가 빨라야 젯밥도
얻어먹는다는 말과 같이 사회자는 그때그때 일어나는 일들을 깨닫고 처리해야 한다. 이때
스텝들도 상황을 전달해 주거나 도움을 주어야 한다.
※ 이중에서도 가장 핵심적인 요소는 유머와 위트, 센스 있는 재치를 필요로 한다. 유머는 타고 나는 것이 아니
라 경험과 노력에 의해서 터득될 수 있다.
6) 무대에서의 사회
① 무대에서의 주인공은 출연자들이지 사회자가 아니다.
② 출연자와 관객의 대변자가 되어야 한다.
③ 순서와 순서사이를 부드럽게 연결하여야 한다.
④ 출연자와 순서의 특기사항을 잘 파악하여야 한다.
⑤ 적당한 쇼맨십이나 연기력이 필요하나 과다하면 좋지 않다.
⑥ 그때그때의 분위기를 잘 파악하여 중복되거나 지루해지는 시간을 최소화한다.
⑦ 항상 돌발 상황에 대처한다. 이때 에는 유머가 가장 좋다.
⑧ 무대의 특성과 관객들의 특성에 맞춘 적절한 복장과 태도에 신경 써야 한다.
⑨ 무대의 조건은 사전에 충분히 익혀둔다.
1. 사회의 뜻과 필연성
1) 사회자란?
- 회의 등의 진행을 맡아 봄, 공식적인 모임이나 예식 등에서 그 일의 진행을 순서대로 이끌어 감으로써
회의나 모임, 행사나 파티의 목적을 위한 길잡이가 되어야 한다.
2) 사회자의 역할
- 사회자는 커뮤니케이션(communication)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 이 말의 기원은 라틴어의 커뮤니스(com
munis), 즉 ‘공통성’이란 뜻에서 나왔다고 하는데, 이것은 대인관계에서 ‘어떠한 사실에서의 공통성’을 말하
는 것이다. 사회자는 회의나 모임, 행사나 파티에 참석한 사람들의 공통 관심사를 찾아 서로의 유대관계를
맺어주고 어떠한 순서대로 질서를 잡아주거나 의견과 대립, 방법과 방법의 차이, 앞뒤와 종횡 등 서열에 대
한 정리, 분위기를 유도하는 등... 이것들이 사회자에 의해서 요리 될 난제요, 과제인 것이다.
3) 사회자의 태도
- 행사나 파티에 어울리는 단정한 복장과 외모라면 더욱 좋다. 사회를 진행함에 있어 쉬운 말과 정확한 발음
이 가장 중요하다. 또한 부드럽고 호감이 가는 말씨와 태도로 매너있는 자세로 임해야 할 것이다.
4) 사회의 요령
① 인사말 : 사회자의 첫 인사말이 그 모임과 성과 실패를 좌우한다고 하겠다. 어떤 인사말을 하느냐에 따라
분위기는 달라질 것이다. 시작 3분에서 5분이 가장 중요한 시간이라고 하겠다. 분위기를 부드럽게
하든지 때에 따라서는 엄숙한 태도로 진지한 무드를 만들어 나가야 할 것이다.
② 무드 : 파티의 성격에 따라 여러 가지의 분위기가 형성된다. 이때 사회자는 민첩하게 그 분위기를 파악하
지 않으면 안 된다. 분위기는 그 모임의 환경적 요소에 따라 달라지는 것이므로 파티의 목적과 테마,
참석자들의 연력과 교양, 성별과 직업 등 다양한 요소를 고려하고 장소와 공간의 분위기에 어울리는
사회자의 능력을 요구하게 되는 것이다. 전체적으로 어우러질 때 무드는 잡힐 것이다.
5) 사회자가 좋은 분위기로 유도하기 위해서
① 밝고 명랑해야 할 것 : 중심이 되는 사회의 표정과 인상이 분위기를 좌우한다. 웃는 얼굴에 침 못 뱉는 격이
므로 좋은 인상을 가지고 대하는 것이 중요하다.
② 성의를 다하는 모습이 있어야 할 것 : 마음을 다하는 모습이 비추어져야 한다. 기계적인 태도의 진행은 참
석자와 괴리감을 주게 되어 더욱 분리되는 상황으로 만든다.
③ 파티에 참석한 대중의 뜻을 위주로 할 것 : 사회자는 자기자랑이나 광고하는 것이 아니다. 참석한 사람들이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파악하여 이야기를 나누어야 할 것이다.
④ 건전한 유머의 주인공의 될 것 : 다소 딱딱한 모임이라도 사회자의 건전한 유머는 따뜻한 바람을 일으킨다.
또한 분위기의 반전을 위해서도 파티에 어울리는 유머와 멘트를 비해야 할
것이다.
⑤ 파티 목적에 따른 주관이 확고할 것 : 사회자가 파티를 위한 의미를 바로 새기고 주관을 가지고 일관되게
진행하면 참석자들 또한 사회자의 리드에 이끌려 자연스럽게 따라 올
것이다.
⑥ 솔직할 것 : 누구나 실수를 한다. 진행 중 실수나 잘못이 있으면 즉시 사과하는 모습이 더 아름답다. 체면
이나 자존심 때문에 어물어물 넘기려 하다보면 참가한 사람들의 기분을 흐리게 된다. 오히려
이중과오로 나타나 파티 분위기를 망칠 위험이 있다.
⑦ 책임감을 가져야 한다 : 사회자가 한 말과 한 일에 대한 책임을 지는 모습은 믿음을 준다. 책임을 회피하는
모습은 비겁해 보이고 신뢰감을 주지 못한다는 점을 기억해야 할 것이다.
⑧ 센스가 빠를 것 : 파티 전반적으로 진행되는 상황을 재빨리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눈치가 빨라야 젯밥도
얻어먹는다는 말과 같이 사회자는 그때그때 일어나는 일들을 깨닫고 처리해야 한다. 이때
스텝들도 상황을 전달해 주거나 도움을 주어야 한다.
※ 이중에서도 가장 핵심적인 요소는 유머와 위트, 센스 있는 재치를 필요로 한다. 유머는 타고 나는 것이 아니
라 경험과 노력에 의해서 터득될 수 있다.
6) 무대에서의 사회
① 무대에서의 주인공은 출연자들이지 사회자가 아니다.
② 출연자와 관객의 대변자가 되어야 한다.
③ 순서와 순서사이를 부드럽게 연결하여야 한다.
④ 출연자와 순서의 특기사항을 잘 파악하여야 한다.
⑤ 적당한 쇼맨십이나 연기력이 필요하나 과다하면 좋지 않다.
⑥ 그때그때의 분위기를 잘 파악하여 중복되거나 지루해지는 시간을 최소화한다.
⑦ 항상 돌발 상황에 대처한다. 이때 에는 유머가 가장 좋다.
⑧ 무대의 특성과 관객들의 특성에 맞춘 적절한 복장과 태도에 신경 써야 한다.
⑨ 무대의 조건은 사전에 충분히 익혀둔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