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수복
페이지 정보
작성자 타라곤 댓글 0건 조회 5,044회 작성일 12-06-13 10:59
본문
슈트(Suit)

▣ 건식 잠수복(Dry Suit)
찬 물에서는 건식 잠수복을 선호한다. 습식 잠수복 보다 훨씬 가격이 비싸지만(방수로 만들기 위해 수반된 노동 때문에) 그 만큼 편안함에 대한 가치가 있다. 이 잠수복은 손목 밀봉, 목 밀봉, 방수 지퍼를 사용하여 물에 젖지 않도록 되어 있다. 건식 잠수복도 크게 세미드라이(그림 1-4), 드라이 슈트로 분류되며 원단의 종류도 매우 다양하다. 네오프렌을 사용하지 않는 건식 잠수복을 입을 때는 속옷을 잠수복 밑에 입어 단열 효과를 증가시켜 몸을 따뜻하게 한다. 건식 잠수복은 습식 잠수복보다 입기 쉽지만, 적절한 사용을 위해서는 전문적인 또는 부가적이 훈련이 필요하고 납을 더 많이 차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1. 종류 : 건식 잠수복은 원단의 종류가 다양하다.
- 거품 네오프렌 : 이 재질의 잠수복은 방수지퍼와 손목과 목에 씰(Seal)이 있는, 하나로 연결된 잠수복이다. 이 잠수복은 잠수복 내부가 건조해 있고 잠수복의 공기와 잠수복 자체가 단열재 역할을 하기 때문에 같은 재질로 만든 습식 잠수복보다 따뜻하다.
- 고형 네오프렌 : 이 재질의 잠수복은 부가적인 단열재로서 잠수복 아래에 속옷을 입는 것으로, 입어야 하는 단열재의 양은 수온에 따라 달라진다. 이 잠수복은 거품 네오프렌보다 입고 벗는데 편한 점이 있다(그림 1-5)
- 나일론 잠수복 : 넉넉하고 느슨하게 입어도 되기 때문에 많은 활동을 할 수 있고 더 편안하다. 이 잠수복 또한 속옷을 입을 필요가 있다. 이외의 다른 소재의 다양한 제품이 나오고 있는데 고가의 가격형성이 단점이다(그림 1-6)
2. 부력조절
건식 잠수복은 공기를 넣는 주입 밸브와 공기를 배출시키는 배출 밸브로 잠수복의 공기량을 조절하는 부력조절이 필요하다.(부력조절에 대한 충분한 이해는 다음 강좌에서 설명되어진다). 깊이 잠수하면서 잠수복에 공기를 넣고 수면으로 올라올 때 배출시킨다. 공기 주입 밸브가 가슴의 중앙이므로 부력자켓(BC)에 방해 되지 않고 배출 밸브는 상승하면 자동으로 공기를 배출시키는 밸브이다. 밸브의 종류에 따라 모델마다 다른 비율로 공기를 배출하며 공기가 빨리 빠지게 하는 밸브가 좋은 밸브이다.
▣ 후드와 후드 조끼
▶ 환경에 적합한 잠수복 고르기
대부분의 잠수 활동에서는 단열재가 필요하며 환경에 적합한 잠수복을 고르는 것이 잠수를 즐기는 핵심 사항 중의 하나이다. 사람마다 추위에 대한 적응정도가 다르다. 사는 지역의 대기 온도에 의해 추위에 대한 적항이 다르며, 여성과 남성, 마른 체형인가 비만 체형등에 의해서 다르다. 어떤 종류의 잠수복을 입어야 할지 잘 모를 때는 다음의 일반적인 추천사항을 참조한다.
- 27°C(80°F)이상의 수온 : 다이브 스킨 잠수복을 추천
- 24°C에서 27°C(75°F에서 80°F)사이 : 2mm에서 3mm의 습식 잠수복을 추천
- 13°C에서 24°C(55°F에서 75°F)사이 : 5mm에서 7mm의 습식 잠수복을 추천
- 2°C에서 13°C(35°F에서 55°F)사이 : 건식 잠수복을 추천
- 2°C(35°F) 이하의 찬 물 : 이 정도의 찬 물에서 잠수 할 때에는 특수 훈련과 장비가 필요하다.
▶ 슈트의 관리
잠수가 끝난 후 매번 민물로 잠수복을 씻어야 한다. 장기간 보관하기 전에는 슈트전용 세척제로 깨끗이 세척후 보관해야 한다.
습식 잠수복 - 특별히 설계된 넓은 옷걸이에 걸어서 보관하거나 접지 말고 펴서 보관해야 한다.
건식 잠수복 - 모든 건식 잠수복은 자주 안팎을 씻어야 하며, 지퍼는 파라핀 왁스, 밀랍, 또는 제작자가 제공하는 약으로 매끄럽게 작동되게 해야하며, 열과 오존 생성 기계로부터 멀리하고 둘둘 말아서 가방에 보관해야 한다. 밸브, 지퍼, 씰은 전문 수리 기술자에게 매년 검사를 받아야 한다.
다이버는 보온과 신체보호를 위해 따뜻한 물에서도 반드시 잠수복을 입어야 한다. 어디에서 잠수를 하던 환경에 알맞은 잠수복을 입어야 하는데 잠수복 단열재의 필요한 두께는 수온, 잠수 활동의 정도. 그리고 체격, 체지방, 등과 같은 여러 요소에 달려 있다. 무엇보다 자기 몸에 잘 맞게 입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잠수복의 종류는 다음과 같이 크게 세 가지가 있다.
▣ 다이브 스킨(Dive Skin)
열대 바다에서 잠수할 때 베이거나, 긁히고, 찔리는 것에서부터 몸을 보호하기 위해 얇고 하나로 된 잠수복이다. 다이브 스킨이라는 용어는 다양한 재질로 만들어진 비슷한 제품에 대해 넓은 의미로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두 가지 재질은 라이크라(Lycra)와 폴라텍(polartec)이다.
▣ 습식 잠수복(Wet Suit)
습식 잠수복은 합성 고무인 거품 네오프렌(Form Neoprene)으로 만들어졌는데 거품 네오프렌은 속에 수천 개의 작은 기포로 가득 차 있으며 겉은 보통 나일론 재질로 습식 잠수복의 색상을 결정한다. 물 속에 들어가면 피부와 잠수복 내부 표면 사이의 얇은 층에 물이 갇히게 된다. 그 다음 체온에 의해 물이 데워지고 단열복이 물과 몸을 따뜻하게 유지시킨다. 습식 잠수복은 단순성과 비교적 낮은 가격 때문에 보온용으로 다이버들에게 가장 널리 사용되는 재질이다.
1. 종류 : 습식 잠수복 원단의 두께가 2~7mm까지 다양하고 많은 모양이 있다. 모양별로 보면 짧은 습식 잠수복과(그림 1-1) 2~3mm의 긴팔원피스는 열대 온도에서 많이 입는다. 찬물 다이빙에서는 5~7mm 긴팔원피스(그림1-2)와 반팔원피스에 자켓을 콤비네이션 하는 파머존원피스(그림 1-3)가 있다. 우리나라 동해기준으로 수온 19도에서는 5mm 긴팔원피스를 권장하며, 그 아래의 수온에서는 긴팔원피스에 후디드 베스트를 콤비네이션하거나 건식 잠수복을 권장한다.
2. 선택사양
- 잠수복은 기성복과 맞춤복이 있다. 본인이 만약 키가 크고, 마르고 근육질 체형을 가진 사람이라면, 즉 기본 체형이 아닌 사람은 맞춤복을 고려해 보아야 한다.
- 잠수복을 입기 쉽게 하기 위한 손목과 발목의 지퍼는 보온 효과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 가장 당부하고 싶은 것은 다이브센터나 다이브 강사에게 적당한 종류의 잠수복을 추천 받는 것이 좋겠다. 그들은 시행착오를 겪었으며 프로이기 때문이다.
▣ 다이브 스킨(Dive Skin)
열대 바다에서 잠수할 때 베이거나, 긁히고, 찔리는 것에서부터 몸을 보호하기 위해 얇고 하나로 된 잠수복이다. 다이브 스킨이라는 용어는 다양한 재질로 만들어진 비슷한 제품에 대해 넓은 의미로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두 가지 재질은 라이크라(Lycra)와 폴라텍(polartec)이다.
▣ 습식 잠수복(Wet Suit)
습식 잠수복은 합성 고무인 거품 네오프렌(Form Neoprene)으로 만들어졌는데 거품 네오프렌은 속에 수천 개의 작은 기포로 가득 차 있으며 겉은 보통 나일론 재질로 습식 잠수복의 색상을 결정한다. 물 속에 들어가면 피부와 잠수복 내부 표면 사이의 얇은 층에 물이 갇히게 된다. 그 다음 체온에 의해 물이 데워지고 단열복이 물과 몸을 따뜻하게 유지시킨다. 습식 잠수복은 단순성과 비교적 낮은 가격 때문에 보온용으로 다이버들에게 가장 널리 사용되는 재질이다.
1. 종류 : 습식 잠수복 원단의 두께가 2~7mm까지 다양하고 많은 모양이 있다. 모양별로 보면 짧은 습식 잠수복과(그림 1-1) 2~3mm의 긴팔원피스는 열대 온도에서 많이 입는다. 찬물 다이빙에서는 5~7mm 긴팔원피스(그림1-2)와 반팔원피스에 자켓을 콤비네이션 하는 파머존원피스(그림 1-3)가 있다. 우리나라 동해기준으로 수온 19도에서는 5mm 긴팔원피스를 권장하며, 그 아래의 수온에서는 긴팔원피스에 후디드 베스트를 콤비네이션하거나 건식 잠수복을 권장한다.
2. 선택사양
- 잠수복은 기성복과 맞춤복이 있다. 본인이 만약 키가 크고, 마르고 근육질 체형을 가진 사람이라면, 즉 기본 체형이 아닌 사람은 맞춤복을 고려해 보아야 한다.
- 잠수복을 입기 쉽게 하기 위한 손목과 발목의 지퍼는 보온 효과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 가장 당부하고 싶은 것은 다이브센터나 다이브 강사에게 적당한 종류의 잠수복을 추천 받는 것이 좋겠다. 그들은 시행착오를 겪었으며 프로이기 때문이다.

▣ 건식 잠수복(Dry Suit)
찬 물에서는 건식 잠수복을 선호한다. 습식 잠수복 보다 훨씬 가격이 비싸지만(방수로 만들기 위해 수반된 노동 때문에) 그 만큼 편안함에 대한 가치가 있다. 이 잠수복은 손목 밀봉, 목 밀봉, 방수 지퍼를 사용하여 물에 젖지 않도록 되어 있다. 건식 잠수복도 크게 세미드라이(그림 1-4), 드라이 슈트로 분류되며 원단의 종류도 매우 다양하다. 네오프렌을 사용하지 않는 건식 잠수복을 입을 때는 속옷을 잠수복 밑에 입어 단열 효과를 증가시켜 몸을 따뜻하게 한다. 건식 잠수복은 습식 잠수복보다 입기 쉽지만, 적절한 사용을 위해서는 전문적인 또는 부가적이 훈련이 필요하고 납을 더 많이 차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1. 종류 : 건식 잠수복은 원단의 종류가 다양하다.
- 거품 네오프렌 : 이 재질의 잠수복은 방수지퍼와 손목과 목에 씰(Seal)이 있는, 하나로 연결된 잠수복이다. 이 잠수복은 잠수복 내부가 건조해 있고 잠수복의 공기와 잠수복 자체가 단열재 역할을 하기 때문에 같은 재질로 만든 습식 잠수복보다 따뜻하다.
- 고형 네오프렌 : 이 재질의 잠수복은 부가적인 단열재로서 잠수복 아래에 속옷을 입는 것으로, 입어야 하는 단열재의 양은 수온에 따라 달라진다. 이 잠수복은 거품 네오프렌보다 입고 벗는데 편한 점이 있다(그림 1-5)
- 나일론 잠수복 : 넉넉하고 느슨하게 입어도 되기 때문에 많은 활동을 할 수 있고 더 편안하다. 이 잠수복 또한 속옷을 입을 필요가 있다. 이외의 다른 소재의 다양한 제품이 나오고 있는데 고가의 가격형성이 단점이다(그림 1-6)

2. 부력조절
건식 잠수복은 공기를 넣는 주입 밸브와 공기를 배출시키는 배출 밸브로 잠수복의 공기량을 조절하는 부력조절이 필요하다.(부력조절에 대한 충분한 이해는 다음 강좌에서 설명되어진다). 깊이 잠수하면서 잠수복에 공기를 넣고 수면으로 올라올 때 배출시킨다. 공기 주입 밸브가 가슴의 중앙이므로 부력자켓(BC)에 방해 되지 않고 배출 밸브는 상승하면 자동으로 공기를 배출시키는 밸브이다. 밸브의 종류에 따라 모델마다 다른 비율로 공기를 배출하며 공기가 빨리 빠지게 하는 밸브가 좋은 밸브이다.
▣ 후드와 후드 조끼
![]() ![]() [후드 조끼] [후드] |
- 후드(Hood) 인체에서 열손실이 큰 부분은 머리, 손, 가슴, 겨드랑이, 사타구니 등 이다. 찬 물에서는 엄청난 양의 열을 머리에서 거의 다 빼앗길 수 있다. 그러므로 보온과 보호를 위해 반드시 후드를 착용해야한다. 대부분의 후드는 물 밖에서 상당히 불편하다. 그러나 수중에서는 거의 느낌이 없으며 후드 착용시에는 귀의 압력평형에 특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 후드 조끼(Hooded Vest) 조끼와 후드가 붙어 있는 형태로 건식 잠수복 안에 또는 밖에 입으므로 보온에 상당한 도움을 준다. |
▶ 환경에 적합한 잠수복 고르기
대부분의 잠수 활동에서는 단열재가 필요하며 환경에 적합한 잠수복을 고르는 것이 잠수를 즐기는 핵심 사항 중의 하나이다. 사람마다 추위에 대한 적응정도가 다르다. 사는 지역의 대기 온도에 의해 추위에 대한 적항이 다르며, 여성과 남성, 마른 체형인가 비만 체형등에 의해서 다르다. 어떤 종류의 잠수복을 입어야 할지 잘 모를 때는 다음의 일반적인 추천사항을 참조한다.
- 27°C(80°F)이상의 수온 : 다이브 스킨 잠수복을 추천
- 24°C에서 27°C(75°F에서 80°F)사이 : 2mm에서 3mm의 습식 잠수복을 추천
- 13°C에서 24°C(55°F에서 75°F)사이 : 5mm에서 7mm의 습식 잠수복을 추천
- 2°C에서 13°C(35°F에서 55°F)사이 : 건식 잠수복을 추천
- 2°C(35°F) 이하의 찬 물 : 이 정도의 찬 물에서 잠수 할 때에는 특수 훈련과 장비가 필요하다.
▶ 슈트의 관리
잠수가 끝난 후 매번 민물로 잠수복을 씻어야 한다. 장기간 보관하기 전에는 슈트전용 세척제로 깨끗이 세척후 보관해야 한다.
습식 잠수복 - 특별히 설계된 넓은 옷걸이에 걸어서 보관하거나 접지 말고 펴서 보관해야 한다.
건식 잠수복 - 모든 건식 잠수복은 자주 안팎을 씻어야 하며, 지퍼는 파라핀 왁스, 밀랍, 또는 제작자가 제공하는 약으로 매끄럽게 작동되게 해야하며, 열과 오존 생성 기계로부터 멀리하고 둘둘 말아서 가방에 보관해야 한다. 밸브, 지퍼, 씰은 전문 수리 기술자에게 매년 검사를 받아야 한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