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 세상 100배 즐기기]⑩블루투스 - 정보통신기기 무선 전송 기술 > 스마트세상 100배 즐기기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스마트세상 100배 즐기기


 

[스마트 세상 100배 즐기기]⑩블루투스 - 정보통신기기 무선 전송 기술

페이지 정보

작성자 세이지 댓글 0건 조회 1,341회 작성일 11-08-14 11:35

본문

스마트 폰을 구입하고 사용하기 시작할 때의 이야기이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화면에 보이는 어플을 실행시키고, 번호를 누르고, 글자를 입력하는 것을 간단하게 터치하므로써 조작된다는 것이 매우 새롭다는 느낌을 받았다. 친구에게 메세지를 보내려고 작성 창을 열었다. 이어서 글자를 입력하기 위해 화면을 터치하는 순간, 저절로 웃음이 나왔다. 너무나 작은 글자판 때문에….

자음, 모음, 영문등 글자 하나 하나를 조심스럽게 터치하여 한 글자, 단어 하나를 천천히 여러 번의 수정 입력을 통하여 짧은 문장을 완성하여 보낸 기억이 있다. 이렇게 별도의 키보드 장치없이 터치스크린을 이용하여 조작하는 기능을 태블릿(Tablet.도형입력판)이라고 한다.

오늘은 이런 스마트 장치들의 불편한 기능을 좀 더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된 블루투스(Bluetooth) 개념과 이를 이용하는 악세서리 제품들은 무엇이 있는지? 연결하여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기로 한다.

블루투스, 지금은 우리가 쓰는 PC·프린터·전화·팩스·휴대전화 등의 정보통신기기는 물론 텔레비전·냉장고 등 가전제품 설명서에 꼭 나타나고 있는 단어다. 그럼에도 ‘무엇인가 좋은 기능?’, ‘무선으로 되는 어떤 기능’이라는 느낌은 있지만, 정확하게 무엇인지 모르는 독자들을 위해 먼저 간략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 기술은 약10년전부터 사용되어지고 있는 기술로, 10-100m 정도 떨어진 거리에 있는 장치들을 무선으로 연결해 주는 세계 표준화된 무선 인터페이스 규격이다. 중간에 장애물이 있어도 통신이 가능한 장점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블루트스 프로파일은 다음과 같이 크게 3가지로 나눌 수 있다.

△Œ HFP(Hands Free Profile)=기본적으로 전화 걸기, 받기, 재다이얼등이 지원되고, 애플의 아이폰은 음성을 통해 전화걸기 기능이 추가로 구현되어 있다. △A2DP(Advanced Audio Distribution Profile)=음악의 스트리밍 전송. 즉 블루투스 연결이 되어 있는 헤드셋이나 자동차의 스테레오 혹은 집안의 스피커를 통해서 음악을 전송할 수 있는 기능이다. △Ž AVRCP(Audio/Video Remote Control Profile)=음악과 비디오 콘트롤, 즉 재생, 멈춤, 앞뒤 이동 기능이다. 음악을 선곡하려고 주머니 혹은 가방에서 스마트폰을 꺼낼 필요가 없다.

스마트폰 악세서리 제품중 많이 사용되는 기기로는 앞에서 이야기한 태블릿 기능의 글자 입력이 불편한 점을 해소해 주는 블루투스 키보드, 이동중 또는 작업중에 스마트 폰을 직접 조작하지 않고 전화 통화를 하거나 스마트기기에 저장되어 있는 음악을 듣기 위해 사용되는 블루투스 이어폰·헤드셋 등이 있다.

블루투스 기능이 있는 스마트 폰과 키보드를 연결하는 방법을 살펴보자. 폰에는 분명히 블루투스를 이용하기 위한 프로그램 설정 메뉴가 있다. 먼저 이 기능을 활성화·On·검색허용 시킨다. 폰에서 주변에 켜져 있는 블루투스 장치 검색을 시작한다. 이어서 키보드 전원을 켠다. 어떤 기기는 전원버튼을 오래 눌러주어야 인식되는 경우도 있다. 폰에 검색되면 PIN번호(보통 0000)를 입력하라는 메시지가 나타나는데 이때 키보드에서 입력해 주면 연결이 완료된다. 한번 인식된 장치는 다음부터는 쉽게 연결된다. 이렇게 기기간에 주파수를 맞춰 연결하는 과정을 페어링(Pairing)이라고 한다. 이제 스마트 폰 화면의 조그만 키보드대신 페어링된 외부 키보드를 통해 메모입력, 메시지 전송, 어플 검색 등을 해 보자.

이런 블루투스를 이용한 무선 네트워크 기능이 주목받는 이유는 벽이나 가방 등 장애물이 있어도, 연결하기 위해 일정한 각도를 유지할 필요가 없어도 사용하기에 편리하다는 것과 전 세계 수많은 국가가 블루투스 표준 규격을 준수하기 때문에 어느 나라를 가든지 모든 정보기기 간의 자유로운 데이터 교환이 이뤄질 수 있다는 매우 좋은 장점이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장점을 기본으로 더 빠른 속도로 기능이 향상되어 모든 분야에 더욱 확대될 기술분야가 될 것이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