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크기에 의한 분류 |
(1) 대분재 대형분재로서 수고가 66cm에서 150cm 미만인 것을 말하며 150cm가 넘는 것은 분재로 취급하기가 곤란하다.(2) 중분재 가장 일반적으로 많이 가꾸어 지는 분재로서 수고가 35cm에서 65cm정도의 크기이다. 이종류의 분재가 비배관리, 정형, 정자등 배양관리 하기가 수월하고, 품위도 있어 감상가치가 가장 높다.(3) 소분재 수고가 15cm에서 35cm정도의 작은 분재로서 취급하기가 용이하고 현대인의 취미 생활에 가장 알맞은 분재이다.(4) 소품분재 손 바닥위에 몇점 얹을 수 있는 귀여운, 수고가 15cm미만의 분재를 말한다. 왜성품종이 많이 개발되고 있으므로 이 소품분재는 취미인이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깜찍하고 귀여운 분재로서 가꾸는 재미는 아기자기하고 좋으나 관수관리가 조금 힘드는 것이 흠이다. |
2. 수종에 의한 분류 |
(1) 수목분재 ● 송백분재 : 소나무, 해송, 진백, 금성, 섬잣나무, 두송, 주목, 편백나무, 삼나무, 가문비, 솔송나무, 낙엽송
● 상엽분재 : 홍엽성 - 당단풍, 참단풍, 산단풍, 담쟁이덩굴, 서나무, 검양옻나무, 마가목, 미구풍나무(느티나무, 소사나무, 마삭줄) 황엽성 - 당단풍, 은행나무, 참느릅나무(느티나무, 소사나무), 개서나무 녹엽성 - 버드나무, 위성류
● 상화분재 : 매화나무, 명자나무, 영춘화, 목백일홍, 수사해당, 벚꽃나무, 겹홍화산사나무, 등나무, 꽃석류, 고부시, 자목련, 산찔레나무, 애기라일락, 애기개나리, 금로매, 치자나무, 동백, 늦동백, 차나무, 사쯔끼철쭉, 백화
● 상과분재 : 애기사과, 애기국광, 을여, 모과나무, 감나무, 배나무, 보리수, 앵두나무, 석류, 구기자, 회잎나무, 화살나무, 홍자단, 낙상홍, 으름덩굴, 윤노리나무, 매자나무, 산사나무, 살구나무, 노박, 덩굴, 심산행당, 다래나무, 멀꿀, 피라칸사, 감귤류, 남오미자
● 죽류분재 : 오죽, 해장죽, 이대, 동백죽, 고려조릿대, 마디대, 왕대, 죽순대, 솜대(2) 초본분재 ● 산야초분재 : 석창, 맥문동, 복수초, 제비꽃, 노루귀, 일엽초, 고사리류, 은방울꽃 등 ● 난 초 분 재 : 풍란, 석곡, 새우난초, 난비난, 타래난초, 병아리난, 산제비난 등 |
3. 배양의 질에 따른 분류 |
(1) 본격분재 : 장기간 고도의 분재기술을 구사한 고급분재로서 분재인이 추구해야할 정통분재이다. (2) 보통분재 : 일반 취미인이 가꾸는 보통의 분재이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