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란의 식물학상의 위치 > 텃밭가꾸기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텃밭가꾸기


 

원예 동양란의 식물학상의 위치

페이지 정보

작성자 챠이브 댓글 0건 조회 2,680회 작성일 11-09-15 00:17

본문

2.jpg
식물계는 크게 포자(胞子)에 의해 번식하는 포자식물(胞子植物)과 생식기관인 꽃을 갖고 열매를 맺으며 씨로 번식하는 종자식물(種子植物)로 나뉜다.

녹색식물은 고사리류를 제외하고는 모두 종자식물에 속하는데 종자식물을 다시 소나무 잦나무등 침렵수류를 주종으로 하는 밑씨가 자방(子房)안에 들어 있지 않은 나자식물(裸子植物)과 밑씨가 자방 속에 싸여있는 피자식물(被子植物)로 구분된다.
녹색식물의 대부분은 바로 이 피자식물에 속한다. 피자식물은 바로 외떡잎인 단자엽식물(單子葉植物)로 난은 식물학상 종자식물의 피자식물중 단자엽식물인 난과식물에 속한다. 좁고 긴잎을 가지며 잎맥은 잎을 따 라 평행으로 생긴다. 뿌리와 잎 외에 줄기에 해당하는 가구경(假球莖 또는 위구경; Pseudo-bulb)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가구경은 영양저장고의 역할을 맡고 있다.
 암,수술이 각기 분리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인 꽃의 형태이나 난은 하나의 굵은 암술에 수술인 꽃가루덩어리(花粉塊)가 같이 있고 암술의 밑에서 꿀이 분비되므로 곤충이나 벌레에 의해 수정(受精)된다 이렇게 수정이 되면 한송이의 꽃에서 십만이 넘는 씨를 갖게된다 이러한 것들이 식물학상 진화가 가장빠른 종류로 난과식물을  꼽게되는 이유가 된다.

동양란중에서도 춘란은 우리나라의 남부지방과 도서지방에서 자생하는 한국춘란 일본열도에서 나오는 일본춘란  중국대륙에서 자생하는 중국춘란 및 대만춘란 모두를 합친 단자식물 가운데 난과식물로 심비디움속(Cymbidium屬)에 속하는 하나의종을 지칭하는 말이다 따라서 한국춘란과 일본춘란 중국춘란 대만춘란을 모두 춘란이라고 부르고 있다 일반적으로 보춘화(報春花)로 불리워지는 한국춘란의 학명은 Cymbidium Goeringii(Cymbidium Virescens Lindley)로 일본춘란과는 식물학상으로 같은 위치에 속한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