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안경으로 별 보기 > 별보기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별보기


 

쌍안경으로 별 보기

페이지 정보

작성자 타라곤 댓글 0건 조회 3,278회 작성일 12-06-18 22:46

본문

흔히 사람들은 밤하늘을 볼 때 커다란 망원경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밤하늘을 가장 깊이 이해하고 느낄 수 있는 방법은
인류가 수 만년 동안 그랬듯 직접 맨눈으로 별을 바라보는 것이다.
천문노트 별자리 가이드북의 서문 첫 문장이다. 그러나 맨눈으로는 플레이아데스를 구별해 보기는 커녕 고대의 시력검사에 쓰였다는 큰곰자리의 미자르와 알코르조차 하나로 보이는 정도라면 쌍안경을 강력히 추천한다.
별들은 망원경으로 보아도 어차피 점으로 보일 뿐이다. 행성이나 성운 성단은 쌍안경으로 보아도 잘 볼 수 있다.
쌍안경으로 별 보기는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1. 값이 싸다. - 필자가 가지고 있는 쌍안경은 모두 4만원 미만이지만 장난감 수준의 망원경 조차 5만원 이상이다.
  2. 이동성이 크다. 아무 곳이나 들고 나설 수 있다. 망원경은 큰 맘 먹고 차에 책겨가지고 가야한다
  3. 세팅이 필요없거나 간단하다.
  4. 활용도가 넓다. 차에 넣어두고 다니면 망원경에 비해 평소에도 여러 용도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5. 보관이 용이하다.
  6. 양안을 사용한다.
  7. 그럼에도 불구하고 많은 성운 성단들을 잘 볼 수 있다.
개인적으로 쌍안경으로 별 보기의 가장 큰 장점은 양안을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이다. 날이 맑은 날 땅에 누워 쌍안경으로 별을 보면 마치 우주에 내가 들어가 있는 듯한 느낌을 받는다.

쌍안경 구입 요령

쌍안경으로 별보기를 시작하겠다고 마음 먹었다면 어떤 쌍안경을 사야 할 것인가가 고민된다.
좋은 쌍안경은 주변부에도 성상이 또렷한 좋은 광학계를 갖추고 있으며, 반사방지 코팅이 되어있어 빛 투과를 높이고 내부의 유령상이 생가지 않는 쌍안경이다.
캐논, 니콘 등의 카메라 제작회사나 짜이스 같은 광학기 회사, 세레스트론과 같은 망원경 제작 회사에서 나오는 쌍안경들은 이러한 것들을 만족시키고 있으나 이러한 쌍안경을 구입하기 위해서는 적지 않은 돈이 든다.
무조건 배율이 큰 쌍안경이 좋은것이 아니다.
그런 쌍안경은 일반적으로 더 어둡고, 상이 좋지 않다. 일반적으로 쌍안경으로 관측할 때 8x42, 8x56 정도면 충분하다.
줌 기능이 되는 쌍안경은 피하는 것이 좋다.
카메라 렌즈도 줌 렌즈보다 단렌즈가 광학적으로 우월하듯이 줌 기능이 되는 쌍안경은 더 어둡고, 광학적으로 떨어지며, 단지 조류 등을 관찰할 때 사용하면 좋은 물건이다.
또한 wide angle 이라고 씌여있는 쌍안경을 피하는 것이 좋다.
이러한 쌍안경은 군용으로 제작된 것이 많다. 넓은 시야각은 경치를 관찰하기에는 좋지만 주변부 시야가 너무 좋지 않기 때문에 성운 성단 등 천체 관측 목적으로는 좋지 않다.
구경이 큰 것이 반드시 좋은 것은 아니다.
망원경과 달리 쌍안경은 어차피 작은 구경이기 때문에 구경이 클수록 좋은것이 아니다. 광학적 성능이 중요하지 구경이 큰 것이 중요한게 아니다!
구경이 큰 쌍안경은 손으로 들고 보기 힘들다. 일반적으로 60mm 이상이면 삼각대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확인할 것은 비노 홀더를 연결할 수 있는 구멍이 있는지이다.
비노 홀더는 카메라 삼각대와 쌍안경을 연결시켜주는 L자 모양의 값싼 장치로서 관측시 편의성을 극대화 시켜준다.
lucid__110.8.190.9__1238849074.gm lucid__110.8.190.9__1238849129.gm
필자가 가지고 있는 비노 홀더(가격 2천원), 오른쪽 사진은 아래에서 본 모습(카메라 삼각대와 연결할 수 있다)
lucid__110.8.190.9__1238849283.gm
lucid__110.8.190.9__1238849319.gm
lucid__110.8.190.9__1238849302.gm
비노 홀더 연결 부위와 연결 방법(캡을 벗기고 비노 홀더의 나사를 조이면 연결 끝)
lucid__110.8.190.9__1238849181.gm
비노 홀더를 이용해 카메라 삼각대에 장착한 모습

쌍안경의 배율 계산하기

lucid__110.8.190.9__1238851472.gm
lucid__110.8.190.9__1238851481.gm
모든 쌍안경에는 위와 같은 스펙이 표시되어있다.
쌍안경의 성능을 표시할 때 10X50, 12X60 등과 같이 표시하는데
앞의 숫자가 배율, 뒤의 숫자가 구경을 말한다.
배율이 21-260 과 같이 범위로 표시되어있는 것은 줌 쌍안경이라는 것이다.
142FT/1000YDS 라는 것은 1000야드 거리에서 봤을 때 쌍안경의 좌우 끝에 보이는 물체가 142 피트 거리라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이용하면 시야각을 구할 수 있다. 1000야드는 3000피트이므로
142ft / 3000ft = 0.047 라디안 = 2.7도 이다.
마찬가지로 아래의 망원경도 구해보면
294ft / 3000ft = 0.098 라디안 = 5.6도 이다.
공식을 요약하면 1000야드에서 N 피트의 시야각을 가지는 쌍안경은
N / 3000 * (180/pi) = N/52.4 도
1라디안이 180/pi = 57.3 라는 공식을 이용하였다.
그러므로 쌍안경에 씌여있는 ft 값을 52.4로 나누면 각이 나오며
1도는 1000야드 거리에서 52.4피트의 넓이를 의미한다.
기억해야 할 한 가지 법칙은 높은 배율의 쌍안경일수록 어둡다는 것이다.
천체 관측을 위한 쌍안경은 6~10배 정도면 충분하다.
 
주의 : 절대 쌍안경으로 태양을 향하지 말 것! 영구적인 시력 장애를 초래할 수 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