굴절망원경 - 광학망원경의 종류와 특징(1) > 별보기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별보기


 

굴절망원경 - 광학망원경의 종류와 특징(1)

페이지 정보

작성자 타라곤 댓글 0건 조회 3,120회 작성일 12-06-18 22:41

본문

(1) 굴절 망원경
 
빛이 경통 앞부분의 대물렌즈를 지나 굴절된 후 초점에 모이는 방식으로 갈릴레이 식과 케플러 식이 있다. 굴절 망원경은 사용하기 쉽고, 조정이 간단하고, 반사망원경에 비해 관리가 쉬운 반면 대물렌즈로 인해 색수차가 크고, 값이 비싸고, 제작하기 어려우며, 천정부근을 관측하기가 힘들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jkeah__58.102.202.15__1185185701
* 갈릴레이 식
접안렌즈에 오목렌즈를 사용하는 방식으로 인류가 처음으로 천체 망원경을 통해 우주를 본 망원경 이다.
망원경을 통해 보는 상이 육안으로 보는 것과 같은 정립상이기 때문에 지상의 물체를 보는데 편리하여, 소형 오페라 망원경이나 지상망원경으로 이용된다. 시야를 넓게 할 수 없는 단점이 있어 천체 망원경으로는 적당하지 않아 현재는 이 방식을 이용하지 않는다.
jkeah__58.102.202.15__1185185773
* 케플러 식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굴절형식이다. 갈릴레이 방식과 달리 접안렌즈에 오목렌즈 대신 볼록렌즈를 사용하는 방법이다. 망원경을 통해 보이는 상이 상하좌우가 거꾸로 나오는 도립상으로 보이는 단점이 있지만 천체 관측에는 지장이 없다.
jkeah__58.102.202.15__118518579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