굴절식 망원경 > 별관측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별관측


 

굴절식 망원경

페이지 정보

작성자 타라곤 댓글 0건 조회 2,665회 작성일 12-06-18 22:31

본문

굴절식 망원경은 크게 두가지로 나누어 진다. 갈릴레이(Galilei)식과케플러(Kepler)식이다.원리는 볼록렌즈를 이용하여 한 점에 빛을 모으고 이렇게 맺혀진 상은 접안렌즈를 이용하여 확대하여 관측하게 되는 것이다.굴절망원경은 대물렌즈와 접안렌즈로 완전 밀폐되어 있어 경통 내부에 상을 악화시키는 공기의 흐름이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안정된 상을 얻을 수 있다. 그러나 굴절망원경은 대구경의 망원경을 만들 수가 없고 색수차라는 문제가 발생한다. 대물렌즈인 볼록렌즈가 프리즘의 역할을 해서 상주위에 무지개 빛이 나타나는 현상을 색수차라고 한다.

갈릴레이 식
gsik-g.gif 대물렌즈 : 볼록렌즈
접안렌즈 : 오목렌즈
최초발명자 : 갈릴레이 갈릴레오
발명년도 : 1610
사용용도 : 쌍안경 및 소형 망원경
갈릴레식 망원경은 가장 오래사용되었으며 가장 원시적인 망원경의 형태이다. 갈릴레오 갈릴레이가 천체용 망원경으로 사용했기 때문에 그의 이름이 붙여진 것이다. 현재 이 망원경은 시야가 좁아서 천체용 망원경으로는 사용되지 않고 쌍안경이나 작은 지상망원경으로만 사용된다. 이 형식은 눈으로 보는것과 똑같은 정립상을 만들어 내는 것이 특징이다.

케플러 식
gsik-k.gif 대물렌즈 : 볼록렌즈
접안렌즈 : 볼록렌즈
최초발명자 : 케플러
발명년도 : 1611
사용용도 : 대부분의 광학 굴절 망원경
일반적으로 천체 관측에 사용되는 망원경은 바로 이 케플러식 망원경이다. 처음 발명자는 케플러이며 그의 저서 '굴절광학'에 이 망원경의 원리가 소개 되었다. 1615년 크리스찬 샤이너가 처음으로 태양흑점 투영망원경으로 제작하였다. 이 형식은 상이 뒤집혀 나오는 것이 특징이며, 현재는 여러 가지 방법으로 색수차를 줄였다. 하지만 상이 넓고 안정적이며 접안렌즈에 눈금을 넣을 수 있어서 조금더 정밀한 관측을 할 수 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