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문학의 종류 > 별보기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별보기


 

천문학의 종류

페이지 정보

작성자 타라곤 댓글 0건 조회 1,054회 작성일 12-06-13 23:52

본문

천문학은 시대적으로는 보통 19C말 이전과 그 이후의 천문학으로 나누어지며 방법론적으로는 어떤 대상이냐 또는 어떤 방법을 가지고 논하느냐에 따라 나눠집니다.

시대적으로 19C말 이전(보통 제 2차 세계대전을 기점으로 합니다.)에 발달된 천체의 운동을 다루는 천체역학(天體力學:gravitational astronomy)분야와 천체의 위치를 정밀하게 측정하여 측지학(測地學:geodesy)의 연구를 하는 위치천문학(位置天文學:positioning astronomy, astrometry ,측성학-測星學이라고도 합니다.)을 들 수 있으며

19C말 이후로는 분광학(分光學) ·열역학(熱力學) 등 물리학의 지식, 또 사진기술의 발달로 천체의 내부구조, 에너지원, 진화등을 연구하는 천체물리학(天體物理學:Astrophysics)을 들 수 있습니다. 천체물리학은 우주물리학(宇宙物理學)이라고도 불리워집니다.

천체물리학 분야를 세부적으로 나누어보면 먼저 우주의 기원, 구성, 진화등을 다루는 우주론(宇宙論:Cosmology), 천체를 분광학적으로 연구하는 천체분광학(天體分光學:astronomical spectroscopy), 별의 등급을 분류하고, 천체의 광량(光量) 측정을 하는 천체측광학(天體測光學:astronomical photometry)이 있습니다.

천문학의 유일한 정보원은 바로 빛(전자기파 電磁氣波:electromagnetic wave)입니다. 물론 달을 다녀오고 화성에 관측기를 보내는 일도 하지만 그것은 우주를 바라보는데 티끌에 지나지 않는다는 것은 누구나 인정할 것입니다. 그러므로 천문학은 우주로부터오는 빛을 어떻게 감지하고 어느 영역의 빛을 감지하느냐에 따라 새로운 이론을 도출될 수 있는 것입니다.

19C말 이전에 발달된 측성학과 천체역학분야는 가시광선(可視光線:visible rays), 즉 우리 눈으로 감지할 수 있는 파장 영역의 전자기파만 감지하는 광학천문학(光學天文學:optical astronomy)이 발달되어 왔습니다.

그러나 제 2차 세계대전 이후로 과학기술이 눈에띄게 발달하여 가시광선뿐만 아니라 전파영역으로의 관측기술의 발달로 전파천문학(電波天文學:radio astronomy)이 발전했습니다. 더욱 나아가 지구의 대기 때문에 제대로 관측될 수 없던 전자기파의 영역인 적외선(赤外線:infrared ray),자외선(紫外線:ultraviolet),X선(X-ray), γ선(γray)도 또한 인공위성을 띄어올림으로써 발달되어 현대천문학이라고 할 수 있는 천체물리학이 크게 발달하게 되었습니다.

요약
구분 19C말 이전 19C말 이후
발달분야 위치천문학 천체역학 천체물리학
우주론 측광학 분광학
관측영역 가시광선 가시광선,전파,적외선, 자외선, X선, γ선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